-
-
나무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읽게 된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이다. 그동안 그의 소설을 읽지 않았던 것은 어떤 특별한 이유가 있어서가 아니다. 단지 인연이 안 닿았기 때문이었다. 이 책을 고른 이유 역시 단순하다. 원래는 '나무' 이전에 출판된 장편들 가운데 한 권을 골라 읽어보려 했지만 장편을 읽기는 좀 부담스러웠고 마침 불티나게 팔리고 있는 단편집이 있어 약간의 기대를 가지고 읽게 되었다. 불티나게 팔리고 있는 단편집. 이게 아마 이 책을 읽게 된 가장 큰 동기일 것이다.
우선 결론부터 말하면 이 책의 내용은 기대이하이다. 너무 단번에 평가 절하한 감이 좀 있어서 부연 설명을 한다면 아주 재미없거나 아주 재미있지 않다는 얘기다. 말 그대로 기대치에 못 미친다는 얘기다. 그 기대치란 작가인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명성이 갖고 있는 기대치일 수도 있고 불티나게 팔리는 단편집이 갖고 있는 기대치일 수도 있다. 어느 쪽이거나 이 책에 실린 단편들은 양쪽 모두의 기대치에 못 미친다. 책 서문에 쓰여진 대로 그가 밤에 시간 날 때마다 단숨에 만들어낸 얘기라서 그런가? 왠지 덜 다듬어지고 뭔가 빠져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마지막 단편까지 읽은 후 왠지 허전한 기분이 되어 '빠져 있는 그 뭔가'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그게 뭘까? 좀 구태의연한 답이지만 '주제의식'이라는 말이 가장 적절하리라.
이 책에 실린 대부분의 단편을 읽고 나서 전혀 여운이 남지 않는 것은 바로 각각의 단편들의 행간에 숨겨둔 작가의 주제의식이 부족하거나 혹은 없기 때문이다. 읽는 이로 하여금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만드는 이야기가 아니라 이야기를 위한 이야기 같은 느낌이 드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단편집 '나무'에 실린 모든 단편들을 통해서 작가가 보여준 것은 오직 작가의 글재주뿐인 셈이다. 몇 시간만에 이 정도의 이야기를 만들다니 참 대단한 글재주이긴 하다. 하지만 그 뿐이다. 혹 화려한 글재주를 관람하고 싶은 독자라면 한 번쯤 사서 읽어보는 것도 그리 나쁘진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