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 에어 납치사건
재스퍼 포드 지음, 송경아 옮김 / 북하우스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신문, 인터넷 등 여기저기 나와 있는 평이 워낙 좋아서 잔뜩 기대를 갖고 읽기 시작한 소설이다. 그런데 중간 부분까지 읽다가 너무 지루해서 하품을 몇 번이나 했는지 모른다. 사실 처음에는 이 사실-내가 하품을 하고 있다는 것과 무지하게 지루해 하고 있다는 것-을 믿을 수 없었다. 아니 그 많은 장르의 장점들을 혼합한 걸작이라는데 어떻게 이럴 수가! 너무 기대를 많이 했던 탓일까? 아니면 요즘 너무 날씨도 덥고 졸린 상태에서 읽어서 그런가? 등등등. 처음에는 이런 저런 방식으로 실망감을 무마해보려 했다. 하지만 중반을 넘어가도 지루함은 크게 줄지 않았다. 책을 덮을 때까지 이 지루함은 거의 같은 정도로 계속되었다. 그리고 책장을 덮는 순간 서서히 화가 나기 시작했다.

일단 아주 단순하게 생각해서 <제인 에어 납치사건>이라는 제목을 달았으면 적어도 소설의 삼분의 일이나 사 분의 일을 넘어가기 전에 제인 에어가 납치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런 문제는 전적으로 작가의 맘이지만 이미 어떤 사건이 일어날 것이라고 독자들이 이미 예상을 하고 있는 이상, 정확히 말하면 제인 에어가 납치 될 것을 이미 독자들이 알고 있는 이상 이 사건은 소설 속에서 빨리 터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인 에어 납치되기 전까지의 이야기가 흥미진진해야 한다. 이것도 저것도 아니라면? 갈 길은 하나다. 대책 없이 지루해지는 것이다.

이 소설이 갖고 있는 문제는 이것뿐만이 아니다. 인물은 왜 이리 많은 것인지. 어쩌면 많다고 느끼는 것은 절대적인 숫자의 문제라기 보다는 인물간의 유기적인 관계나 그 인물이 존재해야 하는 당위성이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SF, 추리, 로맨스의 장르적 장점을 모두 혼합해서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이 작품이 실제로는 앞서 언급된 장르의 모든 단점을 고스란히 다 가지고 있다는 것은 참으로 놀랍다. SF가 갖고 있는 복잡한 설정, 누구나 예상하는 뻔한 범인, 결국 그 사람과 연결될 것이라는 예상을 넘지 못하는 빤한 결말.

아직 사놓고 읽지 않은 독자들에게는 미안한 일이고 재미있게 읽은 사람들에겐 괜한 찬물을 끼얹는 격이지만 어쨌든 살다보면 가끔씩 예상이 엄청나게 빗나가는 수가 있다. 사실 실제 생활이 아니라 소설이 그래야 재밌는 건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