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봇 - 슬라브 문학 1
까렐 차뻭 지음, 김희숙 옮김 / 길(도서출판) / 2002년 4월
평점 :
절판
세월이 꽤 지났지만 까렐 차뻭이 '로봇(R.U.R)'에서 보여 준 실험정신은 여전히 신선하다. 그가 이 작품을 통해서 보여준 실험정신의 의미를 좀 자세히 살펴보면 형식면에서는 연극과 SF의 혁명적 만남을 주선한 것이고 내용면에서는 프랑켄슈타인 신화(神話)에 대한 현대적 논의의 불씨를 제공한 것이다.
감히 이 작품이 갖는 두 가지 측면의 역사적 가치 중 어느 쪽이 더 중요하다고 섣불리 판단할 수는 없지만 나는 후자에 더 많은 점수를 주고 싶다. 왜냐하면 연극과 SF의 만남은 현재까지 그리 활발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이 둘의 만남이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라는 낙관론을 펼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이 둘의 만남은 특별한 계기가 없는 한 일회성으로 그치거나, 아니면 다른 방식으로 변형되어 진행될 가능성이 많아 보인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프랑켄슈타인 신화(神話)와 관련된 논의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둘러싼 양측의 입장 역시 단순히 낙관론과 비관론으로 정리해 버리기에는 굉장히 복잡하고 미묘한 문제들을 안고 있다.
비록 희곡 '로봇(R.U.R)'의 내용이 좀 구식이긴 하지만 작품 안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방식의 논의들은 이 후에 소설과 영화를 통해서 계속적으로 진행된 논의의 원형이라고 할만하다. 좀 과장해서 말한다면 이후에 나온 아시모프의 로봇시리즈를 비롯한 로봇과 관련된 수많은 작품들은 희곡 '로봇(R.U.R)'의 주제에 따른 변주곡이라 할 수 있다.
미래에 진행될 이러한 논의들을 예견이라도 하듯 이 작품의 구성 역시 순서대로 차근차근 주제를 진행시킨다. 서막에 나온 로숨(Rossum) 집안의 가족사는 초기 산업사회의 대량생산을 위해 탄생한 로봇 공장의 역사를 통해 기계문명이 가져 올 비인간화를 얘기한다. 1막과 2막은 로봇을 둘러싼 인간들의 동상이몽, 진화(進化)된 로봇들의 반란과 예견된 인류시대의 종말을 보여준다.
하지만 만약 여기서 막을 내렸다면 이 작품은 전형적인 프랑켄슈타인 신화(神話)를 보여준 평범한 희곡이라는 평가 이상을 받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작가는 한 걸음 더 나아간다. 3막은 감정을 가진 로봇 헬레나와 쁘리무스가 등장하고 이들은 서로를 위해 희생을 자처한다. 이에 감동한 유일한 인간 알뀌스트는 생체실험(?) 대신 그들을 세상 속으로 내보내기로 결심한다, 마치 아담을 에덴으로 보낸 야훼처럼.
이 희곡의 각 막마다 제시된 주제만으로도 한 편의 작품을 쓸 수 있을 정도이다. 비록 작가는 이런 엄청난 비중의 주제를 한 편으로 엮는 대담함을 보여주기는 했지만 작품의 완성도라는 측면에서 보면 허술한 극 구조와 평면적인 인물배치라는 역효과를 낳은 셈이 되었다.
하지만 백년 가까이 지난 작품의 완성도를 이제 와서 운운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왜냐하면 '로봇(R.U.R)'을 읽는 재미는 단순히 작품의 완성도를 넘어선 그 무엇이 있기 때문이다. 굳이 비유하자면 매일 먹는 순대 국밥 집말고 원조 순대 국밥 집을 찾아가서 먹는 기분이라면 설명이 될는지. 원조 로봇의 모습과 '로봇(R.U.R)'을 둘러 싼 논의들의 원형을 음미(吟味)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 책의 가치는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