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자가 무슨 말을 필립 K. 딕의 SF걸작선 2
필립 K. 딕 지음, 유영일 옮김 / 집사재 / 2002년 6월
평점 :
품절


산성비가 내리는 미래사회의 도시. 폐허같은 도시의 빌딩 위에서 사이보그가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詩)를 읊는다. '블레이드 러너'의 한 장면이다. 리들리 스콧이 만든 이 영화가 그려낸 우울한 미래상은 곧 그의 소설 속을 전반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정서다. 최근에 개봉된 영화와 같은 이름인 소설집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이어 두 번째로 출판된 소설집 '죽은 자가 무슨 말을' 역시 이전에 그가 보여준 미래상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않다.

비록 한국에 나온 두 권의 단편집과 한 권의 장편만을 보고 판단하는 거긴 하지만, 그가 우울한 미래상을 보여주는 방법은 그리 다양하지 않다. '못말리는 M'에서 보여주는 제어가 불가능한 이상한 기계의 등장이라든지, '도매가로 기억을 팝니다'에서 보여주는 정체성의 혼란은 그의 단편들 속에서 반복되는 단골 소재이다. 그의 장기는 비슷한 소재로 만드는 다양하고 번뜩이는 블랙유머이다.

반복되는 소재에도 불구하고 그의 단편들이 여전히 재치있고 흥미로운 것은 그의 풍자의 칼이 세월이 꽤 지났음에도 여전히 날카롭게 번뜩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의 블랙유머가 유쾌하다는 말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그의 소설들은 불쾌하고 끔찍하다. 불쾌함과 끔찍함은 두 번째 변종에서 가장 두드러져 보인다. '두 번째 변종'은 이 책 속에서 소개된 그의 단편 중 가장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기도 하고 그의 색깔이 가장 선명하게 드러난 작품이기도 하다. 적을 살해하도록 프로그램된 기계들이 자신들을 만드는 공장을 스스로 세우고 변종을 만들게 된다는 이 작품은 그의 블랙 유머가 결코 유쾌하지도 즐겁지도 않음을 확실하게 보여준다. '두 번째 변종'에서 보여 준 그의 블랙유머는 SF라기 보다는 오히려 미래사회를 배경으로 한 괴담(怪談)에 가깝다.

하지만 애석한 점은 괴담에 가까운 블랙유머에서 그가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한다는 점이다. 달리 말하면 그가 자신의 문제의식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 하더라도 미래의 모습에 대한 스케치 이상의 것을 보여주었어야 했다는 것이다. 물론 그의 모든 작품들을 읽어 본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지금 읽은 것들을 통해 느낀 것은 필립 K. 딕이 끔찍한 미래상의 겉모습을 그리는 데는 성공했지만 겉모양에 너무 치중한 나머지 핵심을 이야기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남긴다. 인간사에서 가정이라는 것이 워낙에 불가능한 것이지만 '그가 조금만 더 오래 살았더라면'이라는 아쉬움이 여전히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