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 산울림 극장에서 본 '고도를 기다리며'는 전혀 예상 밖이었다. 부조리극이라는 말이 풍기듯 왠지 난해하고 알쏭달쏭한 말 투성이일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산울림의 '고도를 기다리며'는 굉장히 유쾌하고 재미있는 연극이었다. 항상 그렇진 않지만 예상이 빗나가는 것이 가끔은 즐거울 때가 있다. 그런데 희곡 '고도를 기다리며'를 읽는 것 또한 과연 즐거운 일일까?

고전에 속한 희곡들이 대개 그렇듯이 희곡 '고도를 기다리며' 또한 대단한 인내 없이는 끝까지 읽어내기가 쉽지 않다. 아마도 고전 중에 읽기 어려운 작품을 꼽으라면 첫 번째로 꼽히지 않을까 싶다. 혹시 대학에 막 입학하여 지성인이라는 약간의 의무감을 가지고 이 책을 택한다면 그야말로 최악의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지루한 이야기의 전개나 인물의 장황한 대사 때문에 이런 경고를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런 요소를 갖고 있는 고전들은 수두룩하고 책을 읽겠다고 맘먹은 사람이라면 어느 정도 감수를 하는 부분이다. 그런 작품들과는 차원이 다르다.

'고도를 기다리며'를 읽는 것이 어려운 원인은 정작 다른 데 있다. 이 작품을 읽기 힘든 진짜 원인은 지루한 이야기라고 할 만한 이야기조차도 없다는 것이며 거기에 무의미한 대화가 이 작품의 난독(難讀)에 더 큰 몫을 한다는 것이다. 물론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이 고도를 기다린다는 이야기가 있지 않느냐고 반문하는 사람이 있을 지도 모른다. 맞는 말이다. 사실 이 작품의 위대함은 위의 질문에 대한 답 속에 있다. 아니, 어쩌면 그 질문 속에 이미 답이 내포되어 있는 지도 모른다. 이전의 작가들이 쓴 작품들은-소설이나 희곡이나 뭐든 간에-처음과는 다른 어떤 결말을 향하여 이야기가 진행된다. 예를 들면 착한 인물이 결국에 가서 나쁜 사람이 되거나 아니면 그 반대의 경우처럼 말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현실은 어떤 결과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라기 보다는 다람쥐 쳇바퀴처럼 무의미한 행위와 지리한 일상의 끊임없는 반복이다. 좀 더 정확하게 얘기하면 '고도를 기다리며' 속에는 '이야기'가 없다기 보다는 전통적인 이야기의 '형식'이 없다. 브레히트가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의한 예술의 목적인 카타르시스를 부정하면서 이성의 예술이라는 혁명을 이룩했다면 베케트는 전통적인 내러티브 방식을 부정함으로써 무의미의 혁명을 시도한 것이다. '고도를 기다리며'는 무의미를 통해 의미를 만들어 내는 그의 혁명적인 이야기 방식을 보여준 대표적인 작품인 셈이다.

마치 절대로 읽지말아 달라고 당부한 것 같아 한마디 덧붙인다면, 희곡 '고도를 기다리며'를 읽는 것이 최악의 선택일 것이라는 것은 단지 내 개인적인 예상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예상은 언제든 빗나갈 가능성이 있다. 몇 년 전의 경험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