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 - 다치바나 식 독서론, 독서술, 서재론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언숙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라딘 리뷰에서 읽었던 것 같은데, 마루야마 겐지의 <소설가의 각오>가 끔찍한 책이란다. 당시에는 그 책이 정말 그 정도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그 사람의 심정을 조금 알 것 같다.  

마루야마 겐지는 외모만 봐도 왠지 소설가라기 보다는 수도승에 가깝다. 그의 소설론을 담은 <소설가의 각오>를 읽어보면, 이런 그의 외모가 괜한 '가오'는 아님을 알 수 있다.  이 책이 끔찍하다는 글이 겨냥하고 있는 것은 고행하듯이 써야 한다는 그의 글쓰기 철학일 것이다. 그의 말마따나 마루야마 겐지의 말처럼 글을 써야 한다면, 참으로 끔찍한 일일 것 같다.  

내년 수업때 독서론에 대한 것을 강의하기 위해 고른 책이다. 이 책을 읽은 느낌을 말하자면, 한마디로 '끔찍하다'는 것이다. 그의 말처럼 책을 읽는다면, 물론 본인은 즐겁겠지만, 독서라는 것이 참으로 끔찍한 일일 것이다. 마루야마 겐지에게 글쓰기가 고행의 과정이라면, 다치바나 씨에게 독서는 일종의 전투의 과정이 아닐까 싶다. 한 분야를 알기 위해서는 1미터 높이의 책을 읽어야하고,자신은 어떤 분야에 대한 책을 쓸 때 4-5미터 정도의 책을 읽고 쓴다는 등, 독서를 가시화(?) 하고, 독서량을 몇미터 단위로 수치화시키는  그의 독서론은 가히 전투적이라 할 만하다.  

하긴 먹는 것을 전투로 삼는 푸드 파이터(food fighter)도 있는 마당에 리딩(reading) 파이터가 존재하는 것이 그리 이상한 일도 아닐 것 같긴하지만......  

하지만 의외로 이 책 속에는 기존의, 혹은 나의 생각과 다른 몇가지 점들을 제외하고는 별 내용이 없다. 다치바나 다카시의 다른 책을 읽어봐야 겠다. 그의 독서적 기행?, 아니면 기행적 독서? 를 제외하고 이 책 속에서 인상에 남는 몇가지를 지적해보면,  고전이 된 문학들을 읽지 말라는 것, 굳이 통독을 하려고 애쓸 필요가 없다는 것 정도 등이다. 그의 주장이 과격하고 극단적이 면이 있지만 어느 정도 설득력이 있다. 나 역시도 재미를 느끼지 못한다면 고전이 된 문학들을 읽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문학 전체를 읽을 필요가 없다는 그의 주장은 좀 지나치지 않나 싶다.  

그의 주장이 과격하고, 그가 독자들에게 제시하는 독서 방법이 조금 끔찍하지만, 과격하고 극단적인 주장들을 정답인 것처럼 밀어붙이는 저자의 내공이 대단하다. 사실 독자들은 이런 내공에 감동하는 법이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앞으로 이렇게 물어야 할 것 같다.   

근데, 너 몇미터나 읽어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