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콜드 블러드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트루먼 카포티 지음, 박현주 옮김 / 시공사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한 해가 거의 다 저물어 간다. 올해 읽은 독서 목록을 보니 40권 정도의 책을 읽은 것 같다. 아마도 독서목록에 누락되거나, 전에 읽었던 것을 중복해서 읽은 것들이 있을 것 같다. 올해 새롭게 읽은 분야 중의 하나는 '야구'이다. 당연한 얘기지만, 기아타이거즈의 성적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각설하고, 알라딘 서점을 포함하여 '올해의 책'을 뽑느라 분주하다. 비단 알라딘 뿐이 아닐 것이다. 아니, 어디 책뿐이랴, 수많은 영화제들과 방송 대상들과, 올해의 선수, 골든 글러브, 올해의 교수등을 여기저기서 곧 뽑게 될 것이다. 하지만 모두 나랑 관련이 없는 일이고...... 그래서 나만의 올해의 책을 뽑아 보기로 했다. 만약 나의 '올해의 책'을 꼽으라면,  

그전에 후보작을 먼저 얘기해야 하나?  

에잇, 그냥 넘어가자. 

둥둥둥둥둥  

바로,  

이 책, <인콜드블러드>이다. 올해 읽었던 책들 중에서, 문학, 비문학을 통틀어서 가장 훌륭한 책이다. 내인생의 책장- 물론 내 마음 속에 있는-에 꽂아 놓기로 했다. 2008년 최고의 책이었던, 물론 내게, <나쁜사마리아인들>옆에 평생토록 꽂혀 있게 될 것이다. 이 책의 뛰어난 점은 여러가지 인데, 우선 첫번째 점을 꼽으라면, 그건 디테일이다. 이 소설이 묘사하고 있는 상황, 살인자들과 살해된 자들, 그리고 그들 주변의 인물들의 심리에 대한 상세한 묘사는 너무나 치밀해서 소름이 끼칠 정도이다. 논리적인 추리력으로 무장한 탐정이 등장하지도, 화려한 첨단 과학을 무장한 과학수사대가 등장하지도 않음에도 이 책이 흥미진진 한 것은 바로 이 '디테일'때문이다.  

두번째는 이 책의 스타일이다. 대체 이 '책'은 뭔가? 소설인가? 아닌가? 추리소설인가? 아닌가? 이런 질문들에 대해서 답을 하기 어려운 것은 작가가 이 책을 기술한 방식이 독창적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실제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또 실제의 인물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씌어졌지만, 철저하게 작가의 기억에 의해서 재구성 되었다. 살인자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한 실제이야기이면서 동시에 작가의 상상력에 의해 재구성된 이야기이다. 트루만 카포티는 실제와 허구를 적절하게 조화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택한 것이다. 실제 증언만을 가지고 책을 구성하면 헛점이 많아지고, 상상력만을 가지고 재구성하면 디테일이 약한 평범한 소설이 되어 버린다. 이 두가지 약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 방식이 바로 작가가 택한 방식이다. 왜냐하면 소설가 김영하의 말처럼 실제는 허구보다 훨씬 더 허술하고 비논리적이기 때문이다. 덧붙여 작가가 택한 스타일 속에 이 책의 주제가 담겨 있다.  

허구보다 더 허술한 현실!  

세번째는 디테일과 형식을 통해서 이 책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이다. 이 책이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은 살인의 동기에 있다. 대체 그들은 어째서 얼굴도 모르는 가족들을 몰살시킨 것일까? 가족의 몰살은 아주 단순한 이유였다. 이 책의 제목이 '냉혈한(인콜드블러드)' 인 것은 아마도 그 때문일 것이다. 자신들이 놓여 있는 참을 수 없는 존재의 비루함. 이 책 속의 비극은 살인을 계획할 때부터 차근차근 준비된 것이 아니라, 일확천금을 꿈꾸면서 침입한 그들이 동전 몇푼만 가지고 돌아가야 하는 자신들의 운명을 깨닫는 순간애 갑자기 시작된다. 믿을 수 있는가! 단지 비루한 자신의 처지 때문에 다른 이들을 죽일 수 있다니. 끔찍한 살인의 중심에 이런 하찮은 동기가 자리잡고 있다는 것. 어마어마한 돈과 명예와 여자가 연관되지 않고도 끔찍한 살인들이 얼마든지 일어난다는 것.  

덧붙여 삶과 죽음이라는 것이 그리 거룩한 이유들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  

트루만 카포티씨, 올해의 책에 당선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상품이나 상금은 없지만 제 마음 속의 책장에 평생 꽂아 놓을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