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로저 애크로이드를 죽였는가? 패러독스 2
피에르 바야르 지음, 김병욱 옮김 / 여름언덕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가사 크리스티의 <애크로이드 살인사건>은 기발하기는 하지만 왠지 정이 안가는 작품이다. 많은 평자들이 지적했던 것 처럼 일종의 '반칙'을 썼기 때문이다. 마치 스테로이드를 복용하고 홈런왕이 되거나, 금지약물을 복용하고 백미터 세계신기록을 낸 거라고나 할까?  

 더군나나 나 역시도 포와로의 추리에 선뜻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기도하다. 피에르 바야르는 이 책에서 포와로의 해석이 망상이라고 주장하면서 자신의 논리를 전개한다. 저자의 주장은 크게 두가지인데, 하나는 진짜 '범인'을 찾아가는 것이다. 포와로 내세운 증거들의 허황됨과 소설 속의 화자가  의도적으로 '생략'한 부분들을 추측하면서 꼼꼼하고 섬세하게 자신의 추리를 전개해나간다. 근데 문제는 저자의 추리가 포와로의 추리처럼 신선하지도 극적이지도 않다는 것이다. 지극히 상식적이고 일반적인 수준의 수사, 또는 추리를 제시하고 저자는 자신이 생각하는 범인군을 제시할 뿐이다. 

포와로의 수사가 억지와 비약이 많고, 포와로 자신이 해석 망상이 있다는 사실은 인정하겠는데...... 그게 뭐? 어차피 포와로는 현실 속의 인물도 아니고 이야기가 실제 사건은 아니잖아? 그러니 진범은 굳이 잡아서 뭐하냐고 라는게 나의 생각이다. 사실 이야기 속에서야 논리적인 '진범' 보다야 극적인 게 낫잖아!

해석, 이론, 망상에 관한 저자의 알쏭달쏭한 설명들이 꽤 길게 이어지면서 이러한 불만은 거의 책을 덮을 지경에 이른다. 하지만 이 책을 읽는 묘미는 바로 여기서 부터이다. 이것이 저자의 두번째 주장이다. 바야르는 애크로이드 살인사건이라는 텍스트를 정신분석적으로 접근하고 정신분석학 적인 진범을 제시한다. 바야르가 제시한 범인은 원작의 진범보다도 훨씬 더 극적이면서 훨씬 더 논리적이다.   

'망상'에 관한 설명을 읽다가 잠들지 말고 반드시 바야르가 제시하는 범인을 읽으라. 진짜 놀라울 따름이다.  

추신: 피에르 바야르가 쓴 다른 책들은 번역이 안되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