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의 수수께끼를 풀다
가와이 쇼이치로 지음, 임희선 옮김 / 시그마북스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워낙에 큰 기대를 하고 읽기 시작한 것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실망스러운 것은 어쩔 수 없다. 이 책이 갖고 있는 결정적이면서도 근본적인 한계는 햄릿의 심리를 단순한 수수께끼로만 보았다는 것에 있다. 햄릿이 생존했던 역사적인 인물이 아니라 희곡 속에만 존재하는 허구의 인물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둔다면, 햄릿이 왜 그랬을까? , 다시 말해서, 왜 복수를 지연할까? 에 대한 정답을 구하려는 행위는 의미없는 일이다.  

역사가 무한한 증거를 제시하는 열린 텍스트인 반면에 희곡이라는 텍스트는 막이 오르면 시작하고 막이 내리면 끝나는 닫혀져 있는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아니면 역사에는 컨텍스트가 존재하지만 희곡의 콘텍스트는 독자가 상상하기 나름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러한 '지연'에 정답이 없다는 것이 예술, 특히 햄릿처럼 해석이 모호한 작품을 올리는 재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은 전제부터 잘못되어 있는 것이다. 정답이 없는 수수께끼를 정답이 있는 것처럼 가정하고 시작하였으니 결론이라는 것이 있을리 없다. 그건 마치 '고도를 기다리며'의 '고도' 무엇인지를 알려주겠다는 책과도 같은 것이다.

이를 조금 다른 측면에서 보면 햄릿이라는 작품을 수수께끼를 풀겠다는 측면에서 출발한 것은 너무 편한 선택이다. 그보다는 당대에 유행했던 수많은 복수극 중에서 햄릿이라는 작품이 가진 특징, 또는 셰익스피어가 복수극이라는 형식을 통해서 전달하려고 한 것이 무엇이었을까를 검토했으면 어땠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복수극이라는 형식을 빌리고 있지만 단순한 복수극은 아니라고 주장하는 평자들도 정작 왜 복수극이라는 형식이 왜 유행하였고 왜 셰익스피어가 이러한 형식을 빌어서 햄릿을 만들었는지는 잘 알려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냥 나만 모르는 건가? 

수수께끼를 알려주마 했는데 그 수수께끼에 관심이 없으니 영 읽을 맛이 나지 않는다. 그래도 끝까지 다 읽었다. 하지만 여전히 저자의 답에 동의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