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패러독스 1
피에르 바야르 지음, 김병욱 옮김 / 여름언덕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이 교양이 있으려면 책을 좀 읽어야해', '책도 안 읽고 무식한 소리 하는 것 좀 봐라', '이상한 책좀 읽지말고 제대로 된 책을 읽어라' 수많은 사람들이 책을 읽으라고 강요하고 협박하고 경고한다. 좀 과장해서 얘기하면, 폼나는 미래를 위해서, 훌륭한 직업을 위해서, 멋진 집과 폼나는 차를 구입하기 위해서 지금하는 쓸데없는 짓 대신에 책을 읽을 것을, 그러니까 독서를 하라고 강요한다. 선생님이나 부모님 뿐만이 아니다. 공중파 방송이 앞장 서서 강요하기도 한다. 몇년전 <느낌표>라는 코너에서 한 '책읽기' 강요 프로그램은 이러한 사회적 강요의 하나의 방식일 뿐이다.  

이들의 강요 속에서는 경고가 들어있고 그 경고 속에는 당연히 약간의 협박 비스무래 한 것이 들어있다. 책을 안 읽고, 교양이 없는 사람의 미래에 대한, 또는 그 사람들이 모인 국가의 미래에 대한 암울한 청사진을 제시하면서 협박을 한 수 거든다.   

근데, 독서라는 것이 대체 뭘까? 책을 읽는다는 것은 뭘까? 어째서 책을 읽지 않는 것은 곧 교양없음과 무식으로 곧바로 연결되는 것일까? 어차피 모든 책들은 읽자마자 대부분의 내용을 잊어버리게 되어 있는 것이고, 책을 읽지않고도 책의 내용을 알 수 있는 방법이 많은데 굳이 아까운 시간을 들여가며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책의 저자는 책을 읽지않고 읽은 척 할 수 있는 상황과 방법에 대해서 진지하게 성찰한다. 아니, 책을 읽는 방법도 아니고 책을 읽지 않고 읽은 '척' 하는 방법에 대해서 진지한 성찰을 한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누군가 항변할 지도 모르겠다. 그런 이들에게 차마 이 책을 읽어보라고 하지는 못하겠다. 내 대답은 알아서 생각하라는 것이다. 저자가 책을 읽지 않아도 된다고 진지하게 철학과 문학을 끌어들여가면서 까지 심각하게 얘기하고 있는데 그깟 항변에 굳이 책읽기로 시간을 낭비하라는 충고를 하라고 하고 싶지는 않기 때문이다.  

약간 눈치가 있는 사람은 그러니까 결국 책읽지 않는 법에 얘기하면서 책을 읽으라고 주장하려는 책 아냐?하는 반문을 할 수 있다. 물론 저자가 책을 읽지 말라고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책을 열심히 읽자고 주장하는 것도 아니다.  

내가 읽은 바로는 (이 책을 읽고 나면, 이런 식으로 책의 감상을 시작해야 할 것 같다), 저자는 독서하지 않는 행위-책에서는 '비독서'로 통칭하고 있는데-를 통해서 책을 읽는다는 것은 대체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하고 있다. 그가 하고 있는 것은 분명 '질문'이지 '답'도 '강요'도, 협박도 아니다. 단지 질문과 질문에 대한 성찰이다. 만약 저자가 이 책에서 무언가 주장을 하고 있다면, 그것은 독서 행위가 모든 이들에게 절대적이고 한가지 의미만을 갖는, 또는 한가지 방식만을 갖고 있는 행위가 절대로 아니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