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동문선 문예신서 142
미셸 푸코 지음, 박정자 옮김 / 동문선 / 199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푸코의 관심사인 권력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푸코가 말하는 권력은 단순한 정치적인 권력만이 아니다. 따라서 책 속에서 얘기되고 있는 권력 또한 정치적 권력에 국한되어 있지 않다. 이 책에 실린 푸코의 주장 중 가장 인상적인 것은 생체 권력에 대해서 언급한 마지막 강의이다.

푸코에 따르면, 전제군주 시대의 권력은 '죽음'에 대한 권리였다고 한다. 신민의 삶과 죽음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군주의 권리가 양쪽에 대해서 대칭적인 것이 아니라 비대칭적이라는 것이다. 전제군주가 행사하는 권력은 죽게 만들고 살게 내버려두는 것이다. 하지만 18세기를 지나 19세기가 되면서 권력의 관심은 삶이다. 죽게 내버려 두고(lasser mourir) 살게 만드는(faire vivre) 권력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이러한 권력의 질적인 변화는 '인구'에 대한 관심으로 부터 발생하였다. 푸코는 정확히 말하면 권력이 장악하고 있는 것은, 또는 장악하고자 하는 것은 '죽음'이 아니라 '사망률'이라고 하였다. 이는 역사적으로 인구의 증감에 영향을 주었던 가장 강력한 요소가 18세기에는 풍토병이었고 19세기에는 전염병이었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페스트가 중세유럽을 공포에 떨게 했던 것을 생각해보라!

풍토병과 전염병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것은 권력의 일이었고 이는 공중보건으로 이어진다. 근대의학의 시작이라고 알려져 있는 파리임상학파의 탄생을 다룬 그의 저서 <임상의학의 탄생> 속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이 책은 권력-의학지식 복합체가 어떤 식으로 발생했는지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다. 이 강의에서 푸코는 '생체권력'이라는 개념으로부터 한 걸음 더 나아가 이것이 어떻게 나치의 유대인 청소와 같은 극단적인 전쟁 인종주의들과 연결되는 지를 설명하고 있다. 푸코는 생체권력을 인종주의와 연결시켰다는 측면에서 사회주의 국가들 역시 나치즘과 같은 맥락에 놓여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당연히 (소련같은) 사회주의 국가 안에서는 인종주의-민족적인 인종주의라기보다는 진화론적이고 생물학적인 인종주의-가 정신병자, 범죄자, 정적들에 대해 완벽하게 행사되었던 것이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국가를 위해서였다 (300-1쪽)

여전히 이해가 안되는 부분들이 있지만 <광기의 역사>와 <임상의학의 탄생>을 읽으면서 들었던 몇가지 의문들이 조금은 해결되었다. 푸코의 지적들이 놀라운 것은 지나치게 지엽적인 곳에서 시작해서 이를 거대한 흐름으로 연결시킨다는 것이다. 물론 이 책을 번역했던 박정자씨가 어느 책에 후기에 썼듯 논리의 비약인 부분이 없지는 않다. 그럼에도 여전히 푸코의 책들이 읽을 가치가 있는 것은 자신의 한계에 갇혀 있지않고 최대한 객관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려고 했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