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혁명의 구조 까치글방 170
토머스 S.쿤 지음, 김명자 옮김 / 까치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과학, 혁명, 구조. 이 책이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모두 제목이 품고 있는 단어들 속에 들어있다.  풀어서 얘기하면 토마스 쿤은 이 책속에서  '과학혁명'이라는 것이 어떤 방식으로 일어나는 가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물론 이에 대한 일반인들의 생각은, 아마도 토마스 쿤이 이책을 쓰기 전까지의 주장은, 새로운 주장에 대한 근거와 증명들이 점차 점차 쌓여서 기존의 이론과 다른 이론이  성립되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예를들면,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은 그간 천동설의 관점에서 측정했던 이러저러한 측정치들이 오차를 나타내고 문제를 드러냄에 따라서 새로운 계산법 또는 관점이 필요했고, 이에 대한 근거들이 하나 둘씩 쌓여서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갈릴레오의 주장 순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되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비단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뿐만 아니라 뉴튼이 <프린키피아>에서 제시했던 운동의 세가지 법칙,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돌턴의 원자설, 등등의 혁명적인 사실들이 모두 이런 과정을 통해서 만들어지고 없어지고 했을 것이라는 것이다. 우리들이 배우는 과학교과서 속에서 그렇게 가르치지 않았는가!

정확하지는 않지만, 아마도 뉴튼의 말이었던 것 같은데, 그는 거인의 어깨 위에서 세상을 본다고 하지 않았는가? 하지만 저자가 이 책에서 주장하는 것은 그렇지 않다. 제목으로 사용한 '혁명'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되새겨 보면 저자의 주장을 어느 정도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책 속에서 저자는 '과학혁명'과 '정치적 혁명'의 의미를 비교하면서 설명하고 있다. 저자의 주장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과학혁명은 정상과학(기존의 주장에 충실한 과학활동)의 위기가 발생했을 때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 갑작스럽게, 마치 혁명처럼, 등장하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혁명적 전환이 패러다임의 전환때문에 발생하며, 기존의 정상과학에 종사하는 과학자들이 새로운 사실들을 보지도 쉽게 인정하지도 못하는 경향 역시 그들이 갖고 있는 패러다임의 문제라고 얘기하고 있다. 저자가 사용하는 패러다임의 의미가 포괄적이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과학적인 패러다임이란, 내가 파악한 의미는 ,사실또는 현상을 해석하는  사고의 틀 정도의 의미이다.

이 책을 읽고 든 생각은 이 정도이다. 책 한권을 읽고 든 생각치고는 좀 간략하지만 거기엔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다. 저자가 열심히 설명하고 있는 것을 번역한 이 책의 문장을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었다는 것이다. 원문을 읽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있게 말할 수는 없지만, 토마스 쿤의 주장이 또는 글이 굉장히 복잡하고 형이상학적이어서 이해하기 힘든 것은 아닐 것 같다. 만약 백 번 양보해서 그의 글의 어렵다고 하더라도 이 책처럼 비문 투성이는 아니었을 것 같다. 좀 더 나은, 성의있게 번역된  번역서가 나오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