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맨은 벨을 두번 울린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9
제임스 M. 케인 지음, 이만식 옮김 / 민음사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을 끝까지 읽고 나서 제일 먼저 드는 생각은 누구나 비슷할 것이다.

"근데, 대체 제목이 왜 이래!?"

이런 불만 아닌 불만이 나오는 것은 우편배달부가 벨을 두번 울리는 것이 이 소설과 전혀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적어도 소설 내용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 소설과 무슨 관계가 있는지는 해설을 꼼꼼히 읽으면 된다.그것도 해설 끝부분에서야! 포스트맨의 등장여부에 대한 관심을 일단 접는다면, 아마도 이 소설이 갖는 최고의 미덕은 빗나간 운명과 사랑을 묘사하는 작가의 절묘한 타이밍에 있다. 물론 이건 절대로 우체부 아저씨가 벨을 울리는 타이밍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 젊은 아내와 떠돌이 남자, 그리고 남편, 이들이 어떤 이야기를 만들어 낼수 있을까? 나 같이 뻔한 상상력을 가진 사람들이라야 고작 아내가 남자와 바람나는 이야기를 하나 정도 상상할 것 같다. 덧붙여 이 소설에 살인사건이 나온다는 정보를 들었다면, 둘이 짜고 남편을 죽이는 이야기 정도?

실제로 이 소설 역시 나의 예상, 또는 대부분 독자들의 예상과 비슷하게 전개된다. 하지만 문제는 남편이 죽지 않는 것이다. 그럼, 그 다음 순서는 남편의 처절한 복수극? 일단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아니오이다. 더이상  이런 질문에 답을 길게 다는 것은, 물론 자문자답이긴 하지만, 독자들이 느낄 수 있는 타이밍을 빼앗는 일이면서 이 소설을 읽는 최대의 재미를 빼앗는 일이다. 

좀 더 두루뭉슬하게 얘기하면, 남편이 죽지 않으면서 이들 셋의 운명은 비비 꼬이기 시작한다. 남자와 여자는 헤어지지도 사랑하지도 못하고 이들의 살인은 처벌 받지도 그냥 넘어가지도 않는다. 그럼 대체 어떻게 되는 걸까? 작가의 전개와 결말이 기막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절묘한 타이밍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