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속의 검은 잎 문학과지성 시인선 80
기형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질투는 나의 힘
                     -기형도-

아주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 
힘없는 책갈피는 이 종이를 떨어뜨리리
그때 내 마음은 너무나 많은 공장을 세웠으니
어리석게도 그토록 기록할 것이 많았구나
구름 밑을 천천히 쏘다니는 개처럼
지칠 줄 모르고 공중에서 머뭇거렸구나
나 가진 것 탄식밖에 없어
저녁마다 물끄러미 청춘을 세워두고
살아온 날들을 신기하게 세어보았으니
그 누구도 나를 두려워하지 않았으니
내 희망의 내용은 질투 뿐이었구나
그리하여 우선 나는 여기에 짧은 글을 남겨둔다
나의 생은 미친듯이 사랑을 찾아 헤매었으나
단 한번도 스스로를 사랑하지 않았노라


내가 쓰고 있는 글의 제목은 기형도의 시 <포도밭 묘지 1>의 마지막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기형도의 시의 매력은 전체적이라기 보다는 지엽적인 부분에서 나온다. 기형도 시인을 좋아하는 이들은 어느 한 문장만을 좋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문장 역시 마찬가지다. 나는 이것이 시에 달린 화려한 장식들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화려한 장식'이라고 쓴 뜻은, 적절한 설명이 생각나지 않지만, 그가 시에서 사용하는 단어나 문장들이 크리스마스 트리의 장식 전구들처럼 화려하다는 의미이다. 영원할 것 같은 그 찬란함! 하지만 이런 찬란함,눈부심들이 왠지 금방스러질것만 같다. 햇빛에 반짝이는 눈처럼 말이다. 그래서 난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반짝이는 전구를 볼 때마다, 혹은 전나무 가지에 녹지 않은 채 남아서 햇빛을 반사시키는 잔눈들을 볼 때마다 기형도의 시가 항상 연상되었다, 라고 하면 거짓말이고 그런 생각을 가끔씩 했다, 고 하는 것이 실상에 가까울 것 같다.  

'빈 기쁨'? 이 단어도 <포도밭 묘지1>의 전체적인 느낌과는 관련없이 굉장히 인상적이고 멋지지 않은가! '어떻게 기쁨이 비어있을 수 있지?'라는 생각을 잠시 접어둘 정도로 이 말이 너무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어서 제목으로 택했다. 굳이 이 말을 어법에 맞도록 해석해본다면, 기쁘기는 하지만 뭔가 허탈한 상황이 아닐까? 제목에서 인용된 싯귀가 인상적인 것은 '참담했던 가을-빈 기쁨-친구'로 연결되는 정서에 있다. 난 이것이 누구에게나 한 번쯤은 있었던 절망과 깨달음을 연상시킨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사랑에 실패한 기억이나 친구나 가족의 죽음, 그리고 무수히 많은 절망에 대한 기억들과 당시에 느꼈던, 지금은 의미없어진 기쁨의 기억들에 대한 늦은 깨달음들은 청춘이라는 짧지만 강렬했던 시간을 지나온 모든 이들에게 남아있는 보편적인 것이 아닐까? 그리고 그 이야기들을 들려주고 싶은 대상은 부모도 연인도 아닌 바로 '친구'이다, 누구에게나. 

<질투는 나의 힘>은 이 시집에 실린 시들 중 내가 가장 좋아하는 시이다. 내가 이 시에서 제일 좋아하는 구절은 '내 희망의 내용은 질투 뿐이었구나'라는 구절이다. 무엇인가를 희망한다는 것은 늘 누군가를 질투한다는 것이라는 이 가슴 속 깊은 곳을 푸욱 찌르는 듯한 진실. 이 시를 읽고 나면 이 말이 늘 귓속을 맴돈다.

내희망의내용은질투뿐이었구나내희망의내용은질투뿐이었구나내희망의내용은질투뿐이었구나내희망의내용은질투뿐이었구나내희망의내용은질투뿐이었구나내희망의내용은질투뿐이었구나내 희망의내용은질투뿐이었구나내희망의내용은질투뿐이었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