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이 고인다
김애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녀가 어느 잡지의 인터뷰에서 앞으로 어떤 작가가 되고 싶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

“(정색하며) 외모로 승부하는 작가가 되고 싶습니다.”

그녀가 진지하게 정색을 하고 내뱉은 의외의 답변을 읽고 나서 난 다시 한 번 잡지에 실린  사진을 뚫어져라 보았다. 커다란 눈이 인상적이다. ‘외모’로 승부하고 싶은 소설가의 ‘외모’는 어떻게 생겨야 하는 걸까. 그녀가 승부를 걸고 싶어하는 ‘외모’도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일반적인 의미의 ‘외모’를 말하는 것일까. 그러니까 아주 예쁘게만 생기기만 하면? 김애란씨에게는 좀 미안한 얘기지만 그녀의 ‘외모’가 그 정도로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여기에 냉정하고 현실적인 한마디를 덧붙인다면 문학계가 ‘외모’로,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외모’, 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미모’로 승부하기 그리 만만한 곳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글도 잘 쓰고 외모도 훌륭한 여자 문인들이 꽤 있다는 얘기다. 이런 얘기는 하면 할수록 김애란씨에게 미안해지기만 할 뿐! 어쨌든 그녀가 말하는, 또는 생각하고 있는 ‘외모’가 궁금했다. 진짜!

혹시 그녀가 생각하는 ‘외모’에 대한 답이 소설 속에 나와 있지는 않을까? 그렇다면 그 다음 순서는 당연히 김애란의 소설을 읽어보는 것이다. 왜냐하면 작가들은 자신의 모습을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작품 속에 그려 넣기 때문이다. 또 작가들이 내세운 주인공들에 대한 묘사 속에서 어렴풋하게나마 작가의 ‘외모’를 짐작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결국 이 책을 읽게 된 가장 큰 이유는 그녀의 ‘외모’를 보기 위해서, 아니 읽어 내기 위해서였다. 

한 때 잘 나갔던 만두집 딸은 검은 비로 잠겨가는 반지하방에서 피아노를 치고(「도도한 생활」), 학원 강사인 ‘나’는 체육대회에서 파김치가 되어 집으로 돌아온다 (「침이 고인다」). 가난한 연인들은 하룻밤 묵을 자신들의 모텔 방 한 칸을 구하는 것조차 너무 힘이 들고 (「성탄특선」), 칼국수 집 ‘맛나당’의 딸은 엄마의 빈소에서 수많은 칼자국들로 점철된 엄마의 음식들을 떠올린다 (「칼자국」). 책상 위에 놓인 일기를 우연히 보게 된 사람처럼 그녀의 과거와 기억들을 본 독자로서의 '나'는 잠시 당황했다. 기대했던 화려한 ‘외모’는 책 속에 등장하지 않고 엉뚱하게도 ‘생활’이, 아니 가난하고 초라한 삶의 ‘내면’만이 보일 뿐이었기 때문이다. 그녀의 과거는 화려한(?) 매상을 자랑했던 엄마의 만두가게처럼 넉넉하고 인심 좋은 칼국수 면발처럼 푸짐했지만, 현재는 독서실 사물함 K-49만큼이나 비좁고 학원 강사의 일상처럼 치열하고 빡빡하기만 할 뿐이다. 상품이 걸린 체육대회의 살벌한 피구 경기처럼 그녀의 일상은 늘 아슬아슬한 살얼음판이다. 상품을 타기 위해서 이리저리 사람들에게 떠밀려 다니면서 누구의 공에 맞아 코피가 터질지, 언제 이리저리 떠밀려 금을 밟아 ‘아웃’될 지 전혀 알 수 없는 것이다.

이 소설을 처음 읽기 시작할 때 머릿속에 떠올린 질문은 ‘작가는 어떻게 외모로 승부하는가’ 였다. 하지만 책장을 넘기면서 내 질문은 바뀌었다. 가난한 기억들은 어떻게 달콤해지는가. 이야기꺼리가 될 수 없을 것 같은 평범하고 보잘것없는 스무 살 즈음의 일상을, 이십대의 작가는 물먹은 피아노의 ‘도’소리처럼 먹먹하고 은근하게 들려준다. 물먹은 피아노의 ‘도’소리로 시작한 이야기들은 오래전에 받아서 주머니에 꿍쳐 논 인삼껌이 그렇듯 씹는 즉시 입 안 가득 침을 고이게 한다. 초라한 일상이 그녀의 모든 소설 속에 등장하지만 작가는 가난하고 힘겨운 일상에 매몰되지 않는다. 어쩌면 그것은 유효기간이 지난 인삼껌도 여전히 입 안 가득 침을 고이게 만들 수 있다는 평범한 진리와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 초라하고 가난한 기억들은 이 소설집의 가장 뛰어난, 물론 나의 개인적인 견해일 뿐이지만, 단편인 「네모난 자리」에서야 비로소 소중한 현재의 공간으로 형상화한다. 어머니와 나, 나와 선배는 ‘나’를 매개로 기억되지만 ‘네모난 자리’이면서 동시에 항상 불이 환한 저만치의 방으로 연결된다. 출생과 성장이, 나의 과거와 현재의 기억이, 내가 있기 위해서 어둡게 비어있었던 방과 빈집에 갇혀 있는 내 사랑이 절묘하게 교차되면서 연결되는 것이다. 이 단편이 가장 훌륭하다고 느끼는 것은 바로 이 절묘한 ‘교차’ 때문이다.

다시 처음의 질문으로 돌아가 보자. 그녀가 승부하고 싶은 ‘외모’란 대체 어떤 것이었을까. 우선, 과연, 진담일까. 물론 그녀의 답변은 농담이었으리라. 어떻게 작가가 외모로 승부할 수 있겠는가. 이런 생각을 하며『침이 고인다』의 표지 날개에 실린 그녀의 사진을 보았다. 감겨져 있는 큰 눈과 활짝 펴진, 웃음을 참고 있는 듯한 입모양에서 엉뚱하게도 난 발랄하고 씩씩한 상상 속의, 내겐 누이가 없다, 누이를 떠올렸다. 가난한 일상에 매몰되지 않는 이십대 작가의 글이 갖는 건강함과 ‘누이’라는 단어가 갖는 ‘외모’가 왠지 잘 어울렸다. ‘외모’가 세월이 흐르면서 변하는 것이라면 그녀의 ‘외모’가 갖는 의미도 변하는 것이리라. 그렇다면 앞으로 십 년, 아니 그 이상의 세월이 지나면 ‘누이’의 외모는 ‘누나’의 외모가 되고, ‘누나’의 외모는 ‘어머니’의 외모로 변하게 되지 않을까, 물론 누이의 글과 함께. 
작가가 인터뷰에서 밝힌 승부하고 싶어하는 ‘외모’라는 것이 혹 이런 것은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