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1.2권 합본) - 우리 소설로의 초대 4 (양장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적어도 내 기억으론, 우린 처음으로/시간을 얘기한거야/역사가 아닌 시간을 말야/누가 그렇게 한마디 보태자/ 모두 술을 들거나 담배를 빨았다

(전대호의 시 '시간을 얘기하다' 중에서) 

성웅 이순신에 대해 쓴다는 것은 너무 흔해 빠진 유행가를 부르는 일과 같다. 아무리 잘 해봤자 본전이 될 가능성이 너무 많다는 얘기다. 불패의 명장이자 당대 세계 최고의 일본 해군을 벌벌 떨게 했던 조선의 해군 지휘관. <칼의 노래>가 다루고 있는 것은 이 흔해빠진(?) 이야기꺼리가 된 위인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이순신이라는 소재가 갖고 있는 그 모든 상투성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은 참신하다. 왜?

우선 밝혀 둘 것은 워낙에 참신하지 않은 소재는 원래 없는 법이다, 단지 참신하지 않은 방식만이 존재할 뿐. 이런 맥락에서 연결해보면 이순신의 이야기를 다루었음에도 이 소설이 참신한 것은 방식 때문이라는 얘기가 된다. 명랑해전의 대승과 몇십배의 규모인 적의 해군을 상대로 연승하는 조선의 명장은 더이상 이 소설의 주인공이 아니다. 왕의 경쟁심을 끊임없이 의식하는 불안한 신하이며, 전쟁의 무의미함에 대해서 깊이 회의하는 지식인.

이 모든 것들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역사 속의 이순신이 아닌  시간 속의 이순신을 이야기 하는 것이 이 소설의 참신함이다. 시간을 이야기하는 것은 영웅이 아닌 개인에 대해서 얘기하는 것이며, 화려함이 아닌 초라함에 대해서 얘기하는 것이며, 승리가 아닌 회의에 대해서 얘기하는 것이다.

이 소설이 가르쳐 주는 것은 이러한 '시간'의 의미이다, 그것이 사실이든 아니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