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라/사드
페터 바이스 지음, 최병준 옮김 / 예니 / 2004년 4월
평점 :
품절
이제는 좀 뜸 해졌지만, 사실 요즘 대학극단들이 무슨 연극을 하고 있는지 잘 모른다, 이 작품도 '한때 잘 나가던' 대학극 레파토리 중 하나였다. '한때 잘나가던' 이라는 수식어가 괜한 거부감을 일으키긴 하지만 몇가지 예를 꼽아보면, 황석영의 <한씨 연대기>는 한국적인 브레히트 극이 가장 잘 형식화 된 극으로 80년대 대학가의 유명한 레파토리 였다. 이윤택의 <시민 k>도 80년대 중후반의 대학가를 주름잡던 연극 중의 하나였다. <마라/사드>는 그 정확한 시기를 알 수 없으나, 아마도 비슷한 시기이리라, 여러 대학 극단에서 자주 공연한 연극중의 하나다.
오히려 흔한 레파토리일 것 같은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이나 체홉의 사실주의 극들이 그리 자주 무대로 올려지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너무 어려워서인가? 이건 적절한 이유가 아닐 것 같다. 왜냐하면 훨씬 더 난해한 작품들이 무대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셰익스피어와 체홉의 작품들은 주제나 형식이 난해하기 보다는 그 작품의 깊이를 드러내기 어렵다는데 어려움이 있다. 뭘 말하려는 지는 알겠는데 이걸 우리같은 풋내기들이 할 수 있을까?, 정도의 고민이었던 것 같다.
이런 맥락에서 살핀다면, <마라/사드>는 왜 대학내에서 자주 공연되는 지 알 수 없는 연극중의 하나이다. 우선 대학생들이 접근하기에는 내용이 너무 무겁고 어렵다. 게다가 좀 생소하다. 이 작품이 다루고 있는 내용은 성적이면서 정치적인 내용들이다. 원제는 훨씬 더 길지만 약칭 제목인 <마라/사드>라는 제목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마라와 사드의 대립이 이 연극의 주된 내용이다. 이 둘의 대립을 아주 단순화해서 정리하면, 욕망(사드)과 이성(마라)의 대립이면서 동시에 세계는 개선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인물(사드)과 세계를 개선하느라고 '피로'해진 인물(마라)의 대립이다. 이 둘의 세계관의 대립 주변에는 왕정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의 대립이 존재하고 이 들의 끊임없는 대립은 결국 마라를 피로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세계를 개선하려는 꿈을 꾸었던 인물은 결국 목욕탕 속에서 살해된다.
<사드 씨의 지도하에 샤랑통 요양원의 연극반이 공연한 장 폴 마라에 대한 박해와 암살>, 이것이 이 연극의 원제이다. 이 엄청나게 긴 제목은 연극의 내용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연극의 형식적인 면을 드러낸다. 요양원의 환자들의 데몬스트레이션(demonstration)에 의한 연기는 브레히트 적인 방식이 연극에 도입되었음을 의미한다. 워낙에 브레히트는 혁명의 도구로 '서사극'을 개발하였지만 이 연극에서는 '혁명의 불가능성'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이러니를 보여준다. 아르토의 잔혹극적인 요소들과 브레히트의 서사극 기법들이 섞이면서 이 연극은 형식적으로도 복잡한 형태를 보인다. 이 작품이 대학생들이 공연하기에 그리 만만한 연극이 아니라는 두번째 근거이다.
이 모든 것들은 이 작품을 연극화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이다. 희곡을 읽는 것은 조금 다른 문제이다. <마라/사드>를 읽는 것은 즐겁다. 시적인 대사와 변화무쌍한 형식들. 즐거운 이유는 많다. 다시 얘기할 것 없이 앞서 얘기했던 이 작품이 연극으로 올려지기 어려운 이유들이 고스란히 이 희곡을 읽는 재미가 된다. 사실 이 작품을 피터 브룩이 어떻게 무대화했을까를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이 작품을 읽을만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