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일의 독서일기 7
장정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장정일의 독서일기는 책읽기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에겐 편안한 책이 아니다. 읽지도 않은, 게다가 읽지도 않을 책에 대한 독후감들을 읽는 것은 지루함을 넘어서 일종의 고통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책을 좋아하는 이들에게는 더할 나위없이 즐거운 책이다, '더할 나위없다'는 수식어에 대한 정도가 개개인마다 다르겠지만.

독서일기의 첫번째 장점은 장정일의 독서일기를 읽으면서 이 책 속에 등장한 많은 책들을 소개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아무리 엄청난 독서광이라 할 지라도 평생을 두고 이 세상의 책을 다 읽지도 심지어 살 수도 없다. 이건 마치 세상의 모든 곳을 여행하고 싶어하는 이가 다른 이들이 갔다와서 쓴 여행기를 읽는 기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곳(책)엔 이러저러한 것들이 있고 저곳엔 그러저러한 것들이 있다는 얘기를 듣는 것만으로도 뿌듯한 기분이 드는 것이다. 맘에 들면 사고 그렇지 않으면 말고! 두번째는 장정일의 독특한 관점이 담긴 글들을 읽을 수 있다. 주례사식 비평에 식상한 독자들에겐 장정일의 독설은 일종의 청량제와도 같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1권에 비해서 다른 작가들에 대한 적나라한 평가는 없어졌다는 것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장정일만의 독특한 관점을 느낄 수 있다. 세번째는, 사실은 이게 가장 중요한 점인데, '독서'라는 행위가 이력서에 취미로 써내기에도 좀 뭐한 취미라고 생각하고 있는 이 '독서'라는 진부한 행위가 사실은 진지하고 소중한 행위이자 작업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일종의 독서에 대한 철학을 배울수 있다고나 할까?

이 책을 읽은 뒤 부터는 취미란에 독서라는 글자를 좀 더 진하게 꾹꾹 눌러서 쓰게 된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게 해준다는 것이 '장정일의 독서일기' 시리즈가 갖는 최대의 미덕이 아닐까? 독서일기 7권은 언제부터인가 유지해온 '일기'보다는 '독서'와 '글쓰기'에 무게중심이 가있는 형식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원고가 저장된 파일을 다 날렸다는 작가의 말을 읽어서인지 글 속의 논리들이 예전처럼 날카롭지 못하다.

하지만 어쩌랴! 

8권을 기다릴뿐이다. 언제쯤 나올까......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행복한 책읽기와 독서일기
    from 오선지위의 딱정벌레 2007-09-30 23:42 
    얼마전 포스트에 오른 장정일의 독서 일기 7을 보고 장정일의 독서일기가 7권이 나왔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한동안 잊고 있던 독서일기 이다. 포스팅을 할려고 조회를 하니 독서일기를 읽는 몇가지 이유라는 글도 올라와 있다. 다시 읽어 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장정일의 독서일기는 1권과 2권까지 읽고 가지고 있다. 읽을 당시에도 김현의 '행복한 책읽기'와 비교를 하였다. 둘의 차이는 많다. 제목에서 시사하는 바와 같이 차이가 있다. '독서일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