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오의 희망곡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315
이장욱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4월
평점 :
오랜만에 시험을 봤다. 그보다 더 오래만에 시집을 샀다. 그리고 그보다 훨씬 더 오랜만에 시라는 걸 써봤다. 이 시집을 읽은 덕분이다. 나이가 드니까 '오랜만에'라는 단어가 자연스러워진다. 쓰지 말아야 겠다. '오랜만에'라는 단어를 천천히 발음하면 마치 긴 한숨이 폐속에 고이는 것 같다. 징글징글하다.
이장욱의 시집 <정오의 희망곡>을 읽다가 문득 시를 쓰고 싶어졌다. 정오마다 희망하는 것이 있는 사람들은 행복한 사람들이다, 라는 생각도 문득 들었다. 정오를 희망하는 건지, 노래를 희망하는 건지는 중요하지 않다. 희망이라는 게 매일 정오마다 생긴다는 것, 그것이 훨씬 중요하다. 하지만 달리 생각해보면 쉬운 희망이라는 것은 쉬운 절망만큼이나 기만적인 것. 매주 복권을 사는 이들에게 희망은 쉬운 거지만 그 근거는 늘 위태롭기 마련이다. 쉬운 희망들은 매주 쉽게 절망하리라.
서평이 이 시집과 점점 관련이 없어진다. 난 이 시가 갖고 있는 낯선 연관들과 외계인같은 시점이 좋다. 혹시 시인이 외계인? 시를 써본 건 아마 대학교 2학년 이후로 처음 인것 같다. 꽤 오랜만이네, 후우- (긴 한숨이 폐 속에 또 한번 고인다). 그럼 한 십 오년쯤? 내게는 '시'란 것이 정오의 희망곡이었나 보다라는 생각을 잠깐. 이 시집을 고르면서 생각난 건데 이상하게 난 386세대의 막내들에게 끌린다. 신입생때 나를 가르쳐 주던 선배들과 비슷한 연배여서 그런가?
<황금빛 모서리>의 김중식, <가끔 중세를 꿈꾼다>의 전대호, 소설가 김영하 등등등. 몇명 더 있을 것 같은데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그리고 이 명단에 이장욱이라는 시인의 이름을 추가해야 겠다. 오랜만에(정말 자주 쓰네!) 맘에 드는 시인을 만났다. 나도 가끔 시를 써봐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