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여행하는 법 땅콩문고
임윤희 지음 / 유유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공에 비해 글의 깊이가 얕아 아쉬운 책. 하나하나의 에피소드가 좀더 깊이 파고들 수 있는 것들인데 그냥 적당히 멈춰버렸다. 그래도 도서관을 여행하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괜찮은 안내서가 될 듯.

한국에서는 IMF 때 많은 해고자들이 도서관을 이용한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다. 그런 기사들을 읽으면서 나는 가슴을 쓸어내렸다. 이 사회의 한구석에 회사에서 내쫓긴 이들에게 내어 줄 자리가 하나쯤은 있구나 싶은 마음이었다고 할까? 최근 사례를 들자면, 에어컨 없이 지내기가 힘든 여름에는 도서관이 극심한 더위를 피하는 피난처가 되기도 한다. 이처럼 도서관이란 돈을 내지 않고도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최후의 사회적 보루중 하나일 것이다. 이 세상 누구도 나를 환대해 주지 않는 것만 같을 때 들를 수 있는 곳, 그런 곳이 세상에 하나쯤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하면 건축이나 시설이 월등한 외국의 멋진 도서관들은 좀 다른 맥락으로 다가온다. 손에 아무것도 쥔 것 없는 이에게 사회가 제공한 공간의 수준이 그 사회가 일반 사회 구성원을 대하는 태도를 보여 준다.
- 28쪽

한국에서 사서는 꽤 많은 오해를 받는 직업이다. 이는 우리가 도서관을 바라보는 시선과 결부되어 있다. 도서관이 독서실로 오해되거나, 단지 내가 원하는 책을 대출하고 반납하는 곳으로만 여겨질 때,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에 대해 두 가지 방향의 오해를 양산한다. 하나는 여유 시간에 책을 읽으면서 안내 데스크를 지킬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 또 하나는 마트의 계산대 앞에 있는 직원처럼 책의 대출과 반납을 위해 바코드를 찍어 주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이 둘은 동전의 양면과 다를 바 없이 밀접하게 결부된, 사실은 하나의 이미지다.
- 97~98쪽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9-10-07 1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서를 누구나 할 수 있는 한가한 직업이라고 생각해서 그런지 도서관을 찾는 몇몇 사람은 사서를 하대해요. 나이 든 사람은 자기보다 젊은 사서에게 반말하고, 사소한 일(도서관 가입)을 다 해달라고 일일이 요구해요. 정말 꼴불견이에요.

독서괭 2019-10-07 16:26   좋아요 0 | URL
ㅎㅎ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도서관 사서 실무> 리뷰 때도 비슷한 댓글 남겨주셨는데, 도서관에 대한 애정이 느껴지네요^^ 그런 사람들은 만만해 보이는 상대에게 갑질하는 거겠죠. 정말 꼴불견이네요.

블랙겟타 2019-10-07 1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도서관을 좋아해서 그런지 이 책을 재미있게 읽었지만.. 양이 좀 아쉬웠어요. ㅠ

독서괭 2019-10-07 16:26   좋아요 1 | URL
그렇죠~ 좀더 깊이 들어갔음 좋았을텐데 말이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