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 베를린 연대기 발터 벤야민 선집 3
발터 벤야민 지음, 윤미애 옮김 / 길(도서출판)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지나간 과거를 개인사적으로 돌이킬 수 없는 우연의 소산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돌이킬 수 없는 필연적인 것으로 통찰함으로써 감정을 다스리려 애쎴다. 이러한 통찰의 결과로 이 책의 회상 작업에서는 경험의 깊이가 아니라 연속적 흐름 속에서 드러나는 개인사적 면모들은 뒷전으로 물러났다... 만약 시골의 유년시절에 대한 기억이라면 수백 년 동안 지속된 자연감정에 따르는 어떤 형식에 담아서 표현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나의 대도시 유년시절의 이미지들은 아마 미래의 역사적 경험을 미리 형상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될 것이다. _ 발터 벤야민,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베를린 연대기> 서문 中, p35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의 유년시절 회상기.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 1871~1922)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의 독일어 번역을 했던 저자였기에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베를린 연대기> 안에서 프루스트의 시간을 느끼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유년기에 대한 회상 속에서 어떤 소리가 들려오고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가는 기억 주체의 의도적 노력의 결과가 아니다. 프루스트와 마찬가지로 벤야민은 회상에서 주체의 의식적 노력을 배제함으로써 의식과 회상을 분리시킨다. 즉 자아는 더 이상 회상의 주인이 되지 못한다. 마치 카메라 렌즈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 전부가 의식적 지각의 대상이 아닌 것처럼. _ 발터 벤야민,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베를린 연대기> 해제 中, p12


 그렇지만 동시에 프루스트의 시간과 벤야민의 시간은 같지 않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가 화자라는 개인의 경험이라면,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베를린 연대기>의 화자는 집단적, 역사적 화자다. 프루스트의 화자는 예술가다. 아우라(Aura)를 지닌 자신만이 갖는 독특한 정형성을 갖는 경험이 마들렌의 과자를 통해 시간을 거슬러 눈 앞에 의식적으로 드러난다. 


 벤야민에 의한 기억의 감광판에 어떤 이미지가 찍히는가의 여부는 거기에 필요한 '조명'에 달려 있다. 순간적으로 조명이 이루어지는 순간은 관습의 지배를 받는 일상적 자아를 벗어나는 순간이자 보다 깊은 곳에 위치한 심층적 자아가 충격을 받는 순간이기도 하다. 이때 체험 내용을 시간 속에서 배열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구심점으로서의 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 _ 발터 벤야민,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베를린 연대기> 해제 中, p13


 반면, 벤야민의 유년시절은 기술복제 시대에 해석된 시간이다. 일회적이고 지속적인 개인의 경험 대신 일시적이고 반복적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된 시간.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과 <베를린 연대기>의 서로 다른 기억과 중첩된 기억의 사실성은 이미 벤야민에게 중요한 것이 아니다. 시간의 전통적 권위가 흔들리는 대신 그 안에서 발견하는 역사성이 발견된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유리 창문에서 발견한 유물론적인 문구의 의미는 과거의 벤야민이 발견한 것이었을까, 그렇지 않으면 어린 시절의 작은 사건에 의미를 부여한 현재의 벤야민이 발견한 것일까. 그리고, 이러한 의미가 앞으로의 그의 미학(美學)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그런 면에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가 고전시기 시대정신을 담고 있는 예술작품이라면,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베를린 연대기>는 기술복제 시대 시대정신이 표현된 정치물이라고 해석해야 할까를 생각하며 글을 마무리한다...


 나중에 나는 티어가르텐의 새로운 구석들을 발견하게 되었고, 또 다른 곳들도 계속 알게 되었다. 그러나 내게 이처럼 새로운 장소들을 알려준 것은 어느 소녀도, 어떤 다른 체험도, 어떤 책도 아니다. 30년 뒤 지리에 밝은 한 베를린의 농부가 오랫동안 함께 베를린을 떠났다 돌아온 나를 데리고 나섰다(p38)... 나는 유리창문에서 다음과 같은 문구를 알아챘다. "노동은 시민의 명예이고, 축복은 수고의 대가이다." _ 발터 벤야민,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베를린 연대기>, p39


 유년시절 회상에서 "은폐가 필연적"이라고 한 벤야민 자신의 말처럼, 일견 사적이고 개인적인 것처럼 보이는 회상 뒤에 집단적 역사에 대한 성찰이 은폐되어 있다. 비록 베를린 유년시절에 대한 벤야민의 글에는 집단적 삶에 영향을 미쳤던 역사적 사건의 흔적을 찾기는 어려워 보이지만 벤야민이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은 개인적 경험과 집단적 경험이 마주치는 차원이다. _ 발터 벤야민,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베를린 연대기>해제 中, p23



벤야민의 회상에서 순간들은 하나의 이미지 혹은 소리의 형태로 떠오른다. 이미지로 떠오르는 회상의 메커니즘은 종종 사진의 비유로 설명된다. 사진의 비유에서 보듯이 유년기 회상은 서사적 연속성을 구성하지 않는 불연속적 순간들의 단편적 이미지들로 이루어진다. - P11

유년에 대한 추억은 단지 잠자고 있을 뿐 아니라 자라는 아이처럼 성장한다. 망각된 유년시절은 그 유년의 체험과 연관성을 지닌 삶의 순간들을 끌어모으기 때문이다. 망각된 것은 지난 모든 삶의 무게로 무거워진다. 이처럼 벤야민의 기억 이론에서 중요한 것은 기억하지 못하는 상태인 망각이 기억과 대립관계에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잠재적 기억이라는 점이다. - P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