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311 B187 미적 대상들을 그러한 것으로 판정하기 위해서는 취미가 필요하나, 미적 기예[예술] 그 자신을 위해서는, 다시 말해 그러한 대상들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천재가 필요하다... B188 자연미는 하나의 아름다운 사물이며, 예술미는 사물에 대한 하나의 아름다운 표상이다.(p344) <판단력 비판> 中


V307 B181 천재란 기예에 규칙을 주는 재능(천부의 자질)이다. 이 재능은 기예가의 선천적인 생산적 능력으로서 그 자신 자연에 속하므로, 사람들은 또한 "천재란 선천적인 마음의 소질[才質]로서, 그것을 통해 자연은 기예에게 규칙을 주는 것이다" 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다.(p338) <판단력 비판> 中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 ~ 1804)는 <판단력 비판 Kritik der Urteilskraft > 중 <숭고의 분석학> 편에서 미(美, 아름다움)을 판정하기 위해서는 쾌/불쾌의 취미가 필요하지만, 아름다움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천재(天才)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천재를 통해 자연이 기예에게 규칙을 주고 이로 인해 아름다움이 일어난다는 칸트의 말에서 오비디우스(Publius Ovidius Naso, BC 43 ~ AD 17)의 <변신 이야기 Metamorphoses> 중 유명한<퓌그말리온의 기도 Pygmalion's prayer>를 떠올리게 된다.


퓌그말리온은 눈처럼 흰 상아를 놀라운 솜씨로 성공적으로 

조각했는데, 이 세상에 태어난 어떤 여인도 그렇게 아름다울 수는 

없었소. 그는 자신의 작품에 그만 반해버리고 말았소. 

그 얼굴은 진짜 소녀의 얼굴이었소. 그대는 그녀가 살아 있다고, 

곧은 행실이 막지 않는다면 움직이고 싶어한다고 믿었으리라. 그만큼 그의 작품에는 기술이 들어 있었소.(p477)  (247 ~ 252) <변신이야기>10권 <퓌그말리온의 기도>中


퓌그말리온이 마치 진짜 사람처럼 만든 소녀의 얼굴은 칸트의 설명대로 자연으로부터 부여 받은 기예의 규칙 덕분에 자연을 잘 모사했을것이고(복제품), 이로 인해 오비디우스의 말처럼 퓌그말리온의 소녀상은 아름다움을 부여받았을 것이다. 그렇지만, 퓌그말리온의 소녀상은 아름다운 예술품이지, 사람은 아니었다. 소녀상(像)은 퓌그말리온의 상상력을 구체화한, 인간의 모사품이었을 뿐이다. 이 지점에서 복제(複製)에 대해 말한 발터 벤야민(Walter Bendix Schonflies Benjamin, 1892 ~ 1940)의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barkeit>을 찾아보자.

 

 1900년 전후에 기술적 복제는 그것이 전승된 예술작품 전체를 대상으로 만들고 예술작품의 영향력에 심대한 변화를 끼치기 시작했을 뿐만 아니라 예술의 작업방식에서 독자적인 자리를 점유하게 될 정도의 수준에 도달했다.(p102)<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中


 벤야민은 1900년대 사진 기술의 급격한 발전이 많은 모사품을 양산한 당대의 현실에 주목하고, 기술적 복제로 인해 사물의 역사적 증언 가치, 사물의 권위, 아우라(Aura)가 빠져나감을 지적한다. 반대로, 아우라는 원본만이 가질 수 있는 독창적인 것이겠다. <퓌그말리온의 기도>에서 소녀상은 사진은 아니지만, 사람을 모사한 복제품이라는 점에서 아우라가 없는 존재다.


 가장 완벽한 복제에서도 한 가지만은 빠져 있다. 그것은 예술작품의 여기와 지금으로서, 곧 예술작품이 있는 장소에서 그것이 갖는 일회적인 현존재이다... 원작(Original)이 지금 여기 존재한다는 사실이 원작의 진품성(眞品性)이라는 개념의 내용을 이룬다. 진품성의 영역 전체는 기술적 복제의 가능성에서 벗어나 있고, 물론 기술적 복제뿐만 아니라 다른 어떤 복제의 가능성에서도 벗어나 있다.(p104)... 사물의 역사적인 증언 가치는 사물의 물질적 지속성에 그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복제의 경우 물질적 지속성이 사람의 손을 떠나게 되면 사물의 역사적 증언 가치 또한 흔들리게 된다. 이로써 흔들리게 되는 것은 사물의 권위이다. 우리는 여기서 빠져나가는 것을 아우라(Aura, 독특한 분위기)라는 개념 속에 요약해서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즉 예술작품의 기술적 복제 가능성의 시대에서 위축되고 있는 것은 예술작품의 아우라이다.(p106)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中


 퓌그말리온은 자신이 만든 작품(소녀상)의 아름다움에 빠져 여신 베누스(아프로디테)에게 '내 상아 소녀'를 닮은 여인을 만나게 해달라고 빌었다. 그렇지만, 그의 본심을 알고 있던 여신은 소녀상을 사람으로 만들어 주고, 이들이 결혼해서 행복하게 살았다는 이야기는 잘 알려져 있다.


[그림] Pygmalion and Galatea(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Pygmalion_and_Galatea_(Normand).jpg)


그는 집으로 돌아오자 곧장 자신의 소녀의 상(像)을 찾아가서

침상 위로 머리를 숙이고 입맞추었소. 소녀가 따뜻하게 느껴졌소.

그는 다시 입을 가져가며 손으로는 가슴을 만져보았소.

그가 만지자 상아는 물러지기 시작하더니 딱딱함을 잃고는

손가락들에 눌렸소.(280 ~ 284)...

사랑하는 남자는 소망하던 것을 다시 또 다시 손으로 만져 보았소.

그것은 사람의 몸이었소, 그의 손가락 아래 혈관들이 고동쳤소.(p479) (288 ~ 289) <변신이야기>10권 <퓌그말리온의 기도> 中


 사랑하는 남자의 기도로 생명력을 얻게 된 소녀상. 신의 능력으로 소녀는 아름다운 조각상에서 아우라 넘치는 존재로 태어나게 되고, 퓌그말리온에게 아름다운 존재에서 숭고한 존재로 거듭난다. 칸트는 개념없이 필연적인 흡족의 대상으로서 인식되는 것이 아름다움이라고 한다면, 다른 것과 비교하면 다른 모든 것이 작아지는 것이 숭고함이라고 <판단력 비판>에서 설명한다. 다만, 숭고함은 밖에서 찾아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 속에 있기에, 소녀상이 여인 갈라테아(Galatea)로 변화한 것은 아름다움에 숭고함이 더해진 것이라 해석할 수 있지 않을까. 여기에 아우라는 2+1으로 주어진다. 적어도 퓌그말리온 개인에게는.


V256 B95 진정한 숭고함은 오직 판단하는 자의 마음에서 찾아야지, 그것에 대한 판정이 마음의 그러한 정조를 야기하는 자연객관에서 찾아서는 안 된다는 사실이다... 마음은 그러한 것들을 고찰함에 있어 그것들의 형식은 고려함이 없이 상상력에 대하여, 그리고 전적으로 일정한 목적 없이 상상력과 결합되어 있으면서도 상상력을 순전히 확장하는 이성에 대하여 자신을 내맡겨서, 그럼에도 상상력의 전체 힘이 이성의 이념들에 걸맞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면, 자기 자신의 판정에서 마음은 고양됨을 느낀다.(p264) <판단력 비판> 中


 소녀상은 이제 아름답고 숭고한 그리고 유일한 존재인 '갈라테아'가 되어 아우라도 갖추게 되었다. 칸트의 말에 따르면 숭고함은 이성(理性)과 연결된다. 이제 피그말리온이 갈라테아를 부인으로 맞아들이는 것은 개인적으로는 별 문제 없어 보인다. 그렇지만, 사회적으로도 그럴 수 있을까? 


 퓌그말리온에게 갈라테아는 이성적 존재가 되었지만, 다른 사람들은 퓌그말리온이 느낀 숭고함을 가지지 못한다면(즉, 숭고함의 객관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에게도 갈라테아는 같은 이성적 존재로 공인(公認)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퓌그말리온의 주관적인 숭고함이 객관성을 인정받지 못한다면, 다른 사람의 눈에는 퓌그말리온은 자신이 만든 조각상에 빠진 소위 '히키코모리 + 오타쿠'에 불과하게 된다. 


 이제 불쌍하게 오해받게 된 퓌그말리온을 구해보자. 칸트는 이러한 사태를 예견했는지 <순수 이성 비판 Kritik der reinen Vernuft> 에는 이에 대한 내용이 언급된다.


A197 B242 우리는 우리 자신도 의식할 수 있는 표상들을 우리 안에 가지고 있다. 이 의식은 원하는 만큼 확장될 수도 있고, 정밀하고 정확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그것은 오로지 언제나 표상으로, 다시 말해 이 시간관계 또는 저 시간관계상에 있는 우리 마음의 내적 규정들로 머문다. 그런데 어떻게 해서 우리는 이 표상들에다 하나의 객관을 세우기에 이르는가? 바꿔 말해, 변양들인 표상들의 주관적 실재성을 넘어 표상들에다 내가 모르는 어떤 종류의 객관성을 부가하기에 이르는가? 객관적 의미는 다른 어떤 표상과의 관계에서 성립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만약 그러하다면 다시금, 어떻게 이 표상이 또한 그 자신으로부터 벗어나, 마음 상태의 규정인 표상에 고유한 주관적 의미를 넘어 객관적 의미를 얻는가 하는 새로운 문제가 제기될 것이니 말이다. '한 대상과의 관계맺음' 이라는 것이 우리 표상들에게 대체 어떤 새로운 성질을 부여하며, 우리 표상들이 이를 통해 갖게 되는 권위는 어떠한 것인가를 우리가 탐구한다면, 우리는 한 대상과의 관계맺음이란 다름아니라 표상들의 결합을 일정한 방식으로 필연적이게 한다는 것, 그리고 표상들을 하나의 규칙에 종속시킨다는 것을 안다. 뒤집어 말해, 우리는 우리의 표상들의 시간관계에서 일정한 순서가 필연적임에 의해서만 우리의 표상들에게 객관적 의미가 부여된다는 것을 안다.(p431) <순수 이성 비판 > 中


 해당되는 내용은 길었지만, 간략하게 줄이면 다른 사람들도 퓌그말리온 집에 와서(공간적 경험) 동시에 갈라테아를 보고(시간적 경험), 사람임을 인정한다면(범주) 같은 시공간에서의 범주 판단을 통해 미적 판단의 객관적 타당성이 부여될 수 있다는 것으로 정리될 것이다.


 경험이란 '지각에 의하여 객관을 규정하는 인식'이기 때문에, 경험 즉 경험판단은 객관적 타당성을 지니는 판단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경험의 가능성의 근거를 묻는 것은 경험판단의 '겍관적 타당성'의 근거를 묻는 것 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그리고 이 물음에 대한 대답은 경험의 가능성의 형식적 제약으로서의 공간, 시간, 범주에 의해서 비로소 경험(경험판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증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p17) <칸트 사전, '객관적 타당성'> 中


 요약하자면, <변신 이야기>에서 퓌그말리온의 기도로 생명력을 얻게 된 갈라테아. 아름다운 소녀상에서 (퓌그말리온에게) 숭고한 존재로 거듭나면서, 다른 조각품에는 없는 아우라를 획득하게 되었다. 갈라테아가 획득한 아우라는 이 경우 숭고함과 연결된 이성(reason)으로 볼 수 있겠다. 다만, 숭고함이라는 미적 감정이 주관적 판단에 한정된다는 비판에 대해 우리는 같은 시공간에서의 체험을 통해 객관성이 확보될 수 있음을 보았다. 일단 여기에서 멈추도록 하자. 여기에 더해 이성이 외부에서 주어지는 것인가, 아니면 본유관념(本有觀念)인가 하는 물음까지 나아가면, 데카르트(Rene Descartes, 1596 ~ 1650)와 존 로크(John Locke, 1632 ~ 1704)까지 나와야 하니, 이분들은 다음 기회에 모시는 것으로 하고, 이 정신 없는 페이퍼를 인단 정리하도록 하자...


PS. 퓌그말리온은 아프로디테(Aphrodite)에게 사랑받는 것으로 나오는데, 이는 아프로디테의 고향이 키프로스(Cyprus이고, 퓌그말리온이 키프로스의 왕이었던 것과 연결되 보인다. 특히, 그의 손자 아도니스(Adonis는 아프로디테의 연인이었는데, 그가 코린트의 여신 아르테미스(Artemis)에게 죽임을 당한다는 것이 키프로스와 코린트의 갈등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한 번 생각해봐야겠다...


 키뉘라스는 약간의 백성들을 데리고 퀴프로스(Kypros)에 도착하여 파포스(Paphos) 시를 세우고 그곳에서 퀴프로스 왕 퓌그말리온의 딸 메타르메와 결혼하여 옥쉬포로스와 아도니스를 낳고 이들 외에도 세 딸 오르세디케와 라오고레와 브라이시아를 낳았다. 그의 딸들은 아프로디테의 노여움을 사서 이방의 남자들과 동침하다가 아이귑토스에서 죽었다.(p270) <원전으로 읽는 그리스 신화>제3권 14.3 中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07-07 09: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7-07 10:0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