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살 것인가 - 힐링에서 스탠딩으로!
유시민 지음 / 생각의길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설계한 삶을 살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닥치는 대로 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설계한 대로 사는 가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아니라고 한다면 이 책을 더 읽어볼 필요가 있다. 왜 그러해야 하는지, 그러한 삶과 그렇지 않은 삶의 차이가 어떤 것인지를 이야기한다. 누구도 원망할 수 없다. 그러한 삶에는 그러나 우리는 얼마나 원망하며 사는가. 이렇게 살았는데도 왜 지금 삶의 모습이 이러한지를 말이다. 누구를 미워하거나 원망할 일이 아니다. 주어진 삶을 계획대로 사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늦지 않았다.

 

누구도 타인에게 삶이 어떤 의미를 가져야 한다고 대신 결정해 줄 수 없다. 삶의 의미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중요한 건 나름의 답을 가지고 사는 것이다.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는 삶은 훌륭할 수 없다.”

 

최근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여러 문제들은 왜 생기고 있는 걸까 묻는다.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대로 살고 싶어 한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구조적인 문제도 있고 장벽도 있다. 그 거대한 장벽 앞에서 작은 인간은 어찌 할 수 없다. 그럼에도 살아가는 힘은 자신의 답을 그 속에서 찾아가는 것이다. 인생은 그래서 여행인 것이라 나는 생각한다.

 

대학가에서는 안녕하냐고 묻는 대자보가 있고, 최근에는 교과서 채택을 둘러싼 고등학생들의 참여도 일어나고 있다. 자신의 설계대로 살고 싶은 의지가 아니겠는가. 저자 역시 정치에 뛰어들었지만 그 길에서 벗어나 지식소매상의 길을 자신의 길로 정하고 가고 있다.

 

이 책은 그러한 길에 들어선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어떠한 삶을 설계하며 살고 싶은지 풀어나간다. 우리 스스로가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질 것은 촉구한다. 잘 사는 것은 결국 잘 죽는 것이다. 어떠한 죽음을 맞이할 것인가를 우리는 선택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잘 사는 것이다. 어떻게 살아야 잘 사는 것인가를 이렇게 풀어간다. 우리 자신에게는 미래의 삶을 새로 설계하고, 새로운 도전을 할 권리가 있다고 말한다. 2장의 내용은 바로 그러한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자신의 삶을 설계할 줄 아는 사람은 잘 노는 사람이다. 잘 노는 사람은 창의적이다. 오늘 우리 사회가 모두 똑같아지기를 바란다. 다른 길을 가는 것이 쉽지 않지만 그럼에도 자신의 길을 찾아 떠나는 이의 삶은 의미 있다. 의미를 찾아 떠나기 위한 생각들을 따라가 보자.

 

나는 글쓰기로 되돌아왔다. 정치가 싫다거나, 잘할 수 없을 것이라는 좌절감 때문만은 아니다. 내 인생의 남은 시간 동안 내가 원하는 삶을 살고 싶어서다. 인생이라는 너무 짧은 여행이 그리 길게 남지 않아서다. 그래서 더 절실한 마음으로 자문해본다. 나는 지금 잘 살고 있는가? 이 삶은 훌륭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 - 이윤기가 말하는 쓰고 옮긴다는 것
이윤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읽어야 할 책 중에 이윤기가 번역한 책들이 있지만 채 읽지 못했다. 그리스로만신화에 대해 많이 이야기하는데도 불구하고 읽어야 할 것을 읽지 못하고 이 책을 먼저 접한다. 그간 써 온 글을 글쓰기라는 주제로 모았다. 무엇보다 내 생각대로 하고 싶은 말을 쓰면 되는데 그것을 어려워하고 잘 보이려고 하다보니 더 못쓰는 꼴이 되는 것이 바로 나인 것처럼 느껴졌다. 잘 알지 못하면서 끄적대는 일들이라니. 단순하지만 깊이 있는 말들이다. 무엇을 지켜야 하는가에 대한 생각을 갖게 한다. 살아가며 그가 느낀 많은 생각들을 통해 그의 삶의 궤적을 따라갈 수 있다. 미처 읽지 못한 그리스인 조르바를 읽으며 그가 남긴 번역의 선물을 받아 감당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창의적 글쓰기 - 일주일 반복 사용설명서
서미현 지음 / 대림북스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사실 블로그에 이렇게 저렇게 시간 날 때마다 혹은 매달려 글을 쓰는 것은 좀 더 나은 문장을 만들어보고 싶은 욕심 때문이다. 언제나 끝이 날지는 아님 계속 하더라도 끝이 안날 일인지도 모르겠다. 다른 이의 글을 읽고 다시 내 글을 쓰는 과정을 통해서 좀 더 나은 글이 되고 읽히는 문장을 만들어 보고 싶은 마음을 버리지 못한다.

 

창의적 글쓰기는 요일별로 글을 시작해서 글을 이끌어가는 힘을 갖게 하는 요령을 던져주고 실습하도록 한다. 거창하지 않지만 작게라도 일단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일상의 것들을 다르게 바라보고 그것들을 자신의 색깔대로 표현하는 일을 지속적으로 해보길 권한다. 하루에 조금씩이라도 해놓는다면 그것이 쌓여 힘이되는 것임을 강조한다. 저자도 그렇게 책을 쓰지 않았겠는가.

 

여러 재료를 같이 주어도 다른 맛을 내듯 각자의 솜씨대로 재능대로 글을 이끌어가며 그 맛을 내는 것이리라. 그래서 주저하거나 두려워하지 말라는 것이리라. 다만 그렇게 하려면 꾸준함 만 한 것이 없으니 그것을 이 몇가지 방법을 따라 해보라는 것이다.

 

역시 저자도 관찰의 힘을 가볍게 여기지 않는다.

 

누구나 쓰는 평범한 글이 아닌, 자신의 뜻이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되어야 한다. 그것은 또한 구체성을 뛰고 있어야 한다. 구체성의 힘, 일상에 대한 반역, 표현과 상상력의 힘은 관찰과 기억으로부터 시작된다. 앞으로 꾸준히 말할 것 중 하나는 관찰과 기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외롭고 높고 쓸쓸한 - 안도현 시집 문학동네 시집 99
안도현 / 문학동네 / 200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읽고 싶어서 읽는 시도 있지만 누군가의 글과 강연에서 들은 시를 다시 꺼내 읽거나 보는 것은 또 다른 맛이다. 그의 말과 해석으로 다시 살펴보기 때문이다. 처음 볼 때 뭔가 이해가 되지 않은 부분들이 새롭게 들어온다. 시집을 보면 그 안에 눈에 띄는 단어들이 있다. 시인의 화두인 것 같기도 한 단어들을 모아보면 생각과 삶이 보여 진다. 수 많은 쇄를 거듭한 이 시집의 첫 번째 시는 두말할 필요도 없는 시다. 어느 날 누군가에게 이 시를 말해주었다. 뭐야 하며 놀라면서 그 글을 보내 달라고 했는데 그럴 만큼 긴 글도 아니다. 그렇지만 그 강렬함이란 뭐랄 말 할 수 없다.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라는 그 마지막 줄은 살아가면서 나를 돌아보는 글이 될 듯 하다. 그렇게 살아가고 싶다. 남을 탓하고 비난하기 앞서 나를 살펴보고 나의 현재를 돌아보는 것 만큼 큰 일이 있고 앞설 일이 있겠는가 싶은 거다. 그리고 그 다음 그 다음의 시를 찬찬히 읽는다. 삶과 떠어져있지 않은 안도현 시인의 시는 맑고 때로는 솔직하고 아이와 같다. 자연 속에서 삶의 현장에서 봐온 것들이 그대로 드러나 친근하기 까지도 하다. 편안함이라고 말해도 좋을 듯 하다. 사람들의 감성을 이끌어내어 공감을 더욱 키운다. 시인이 있어 우리는 더 편하고 그로 인하여 불현한 마음을 씻어낼 수 있는 것이리라. 힘들고 지칠 때 그가 겪은 삶의 고통 한 조각 한 조각으로 오늘의 나를 돌아보는 일은 더욱 힘을 내도록 해 준다. 편하게 갈 길을 어떻게 보면 우리 스스로 어렵게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도 한다.

 

삶이 가르쳐준 길을 따라 제대로

나는 가고 있는지, 가령

쌀 한됫박에 감미료 조금 넣고

한 없이 돌리다가 어느 순간 뻥, 튀밥을 한 자루나 만들어내는 것처럼

순식간에 뒤집히는 삶을 기다려 오지는 않았는지

튀밥으로 배 채우려는 욕심이 크면 클수록

입 안에는 혓바늘이 각성처럼 돋지

안 먹겠다고, 저녁밥 안 먹겠다고 떼쓰다

어머니한테 혼나고 매만 맞는 거지

 

('튀밥에 대하여 중'에서)

 

가장으로서, 시인으로서 살아가면서 부대끼는 일들을 통해 우리 삶의 드라마를 본다. 그리고 그곳에서 올라오는 시골집 굴뚝의 연기로 마음은 설레기도 한다. 아 좋다. 나는 참 좋다. 초록 생명, 작은 풀 하나를 보면서도 염려한다. 여기가 지금 어떤 세상이라고 어떻게 살아가려고 하면서도 그 순수함과 초록의 빛을 따라 살고 싶다고 말한다. 백석의 시에서 제목을 따온 이 시집 한 권이면 마음의 불편함을 달랠 수 있으리라. 두고 두고 볼 일이다. 다만 아끼지는 말고.

 

저 어린 것이

이 험한 곳에 겁도 없이

뾰족, 뾰족 연초록 새순을 내밀고 나오는 것을 보면

애쓴다. 참 애쓴다는 생각이 든다.

저 쬐그만 것이

이빨도 나지 않은 것이

눈에 파랗게 불 한 번 켜보려고

기어이 하늘을 한번 물어뜯어보려고

세상 속으로

여기가 어디라고,

 

 

('저 물푸레나무 어린 새순도'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미숙의 몸과 인문학 - 동의보감의 눈으로 세상을 보다
고미숙 지음 / 북드라망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을 아는 일 만큼 중요한 일이 있겠는가. 일을 알아가려는데는 몸부림치지만 정작 사람, 자기 자신에 대해서는 알아보려 하지 않는다. 알고 있다고 생각을 하거나 알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혹은 알려 해도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냥 놓고 사는지도 모르겠다. 자기 자신을 그리고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정작 뭘 아냐고 묻는다면 딱히 떠오르는 답이 있는가. , 솔직히 없다. 그렇다 아는게 없다. 건강이 무너지고 사회의 병폐는 어디에서 오는 건가. 결국 사람의 정신, 마음의 흐트러짐에서 오는 것이 아닐까. 고미숙의 몸과 인문학은 그 지점에서 이야기를 한다. 인간의 오장육부와 음양오행 등 지구의 질서와 몸의 질서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님을 느끼게 한다. 자연의 질서가 파괴되고 황폐화되는 것은 왜 그런것인가. 인간의 탐욕에서 비롯되는 일이다. 탐욕은 어디에서 오는건가. 욕심을 버리고 내가 지녀야 할 것만 갖는다면, 최소한으로 줄인다면 우리는 더 잘 살아갈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잘 사는 길이라 인정하지 않는다. 하나라도 더 다르게 더 많이 가져야 한다. 그렇게 부추키며 살아간다. 동의보감을 통해 인간 몸을 이야기하며 질서를 이야기하는 동안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반성하는 시간을 잠시나마 가져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