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반 일용이 - 30년 동안 글쓰기회 선생님들이 만난 아이들 이야기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엮음 / 양철북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내 학창시절은 어땠을까. 시간이 지날수록 가물거린다. 아련하기도 하다. 초등학교를 거쳐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내가 만난 선생님들을 떠올려본다. 1년에 한 선생님씩 12분의 선생님이다. 그 분들은 나를 기억할까. 내가 기억하는 것 만큼과 같을까. 그건 욕심이거나 말도 안되는 일이다. 내가 그렇다고 특출난 아이도 아닌 그냥 평범한 학생이었을 뿐이니까.

 

우리반 일용이는 선생님의 아이들 이야기이다. 가슴 저미는 사연들이다. 그리고 우리가 만나는 아이들이기도 하다. 학생의 입장에서 선생님을 바라보는 것과 선생님의 입장에서 아이들을 바라보는 것은 다르다. 무조건 떠든다고 혼내는 일이 있는가 하면 그 사연이 궁금해 들여다보는 선생님이 계신다.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

 

모두 품어야 할 아이들이다. 그 일선에 계신 선생님들은 위대한 분들이다. 한 아이의 진로를 다르게 할 수 있는 분들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책임도 따르는 일이다. 그렇다고 짐을 드리고자 하는 일은 아니다. 다만 아이가 좋아하는 것들, 하고 싶은 일들을 찾아 가도록 방향을 열어주고, 물길을 열어주면 되는 일이리라. 그리고 그 다음은 스스로 길을 찾아갈 것이다. 가슴 따뜻한 선생님들의 글을 통해 학교 속 아이들의 풍경을 그려볼 수 있어 감사한 일이다.

 

어른들은 상처를 주는 사람들이고, 불편한 존재다. 불편하면 하고 싶은 말을 못한다. 말을 못하면 속에 쌓인다. 썩는다. 병이 된다. 어른도 그러는데, 아이는 더하지. 그래도 어딘가에는 풀어야 사는데, 어디다가 풀겠나.“(215페이지,‘불편하다중에서)

 

이렇게 선생님들이 현장에서 아이들을 통해 울고 웃은 사연들, 가슴 아픈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더 관심을 갖고 가져주어야 할 아이들임을 일깨운다. 그런데 어른들은 어떻게 하고 있는가. ‘공부해라’ ‘공부해라는 말만 달고 산다. 녹음기도 그런 녹음기가 없다. 잔소리도 그런 잔소리가 있는가. 눈뜨고 밥만 먹으면 하는 이야기이다. 나가 놀아라는 말을 더 듣고 싶어하는데도 듣고 싶은 말을 해주지 못한다. 경쟁이라는 테두리안에서 그렇게 아이들을 몰고 있을 때 그나마 아이들의 안아줄 선생님들이 아닌가. 힘을 내실 일이다.

 

서울 탑동초등학교 이주영 선생님은 민희 이야기에서 이렇게 말을 맺는다.

 

열한 살짜리 소녀 가장 민희가 보여 준 삶에 대한 자세는 나에게 많은 깨우침을 주었습니다. 내 생활을 밑바탕부터 되돌아 보게 햇으며, 나보다 가난하거나 불행하게 보이는 이웃을 동정하는 눈이 아니라 함께 나누며 살아가는 마음으로 행동해야 함을 알게 했습니다. 나아가 나는 민희한테 어떤 환경에서도 삶에 대한 희망과 믿음을 잃지 않을 수 있는 용기를 또렷하게 배웠습니다.”

 

교사로서의 반성과 배움을 솔직하게 고백한다. 그래서 눈물 나는 일이다. 흘려야 한다. 가슴 속 슬픈 마음들이 기쁨으로 돌아설 때 까지 말이다. 그렇게 해서 마음이 서로 포개질 일이다. 아이도 크고 선생님도 더 커야 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첫 문장에 반하게 하라 - 초특급 카피라이터에게 배우는 파워풀 라이팅
조셉 슈거맨 지음, 송기동 옮김 / 북스넛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글을 쓴다는 것은 단순히 나를 위해 내가 읽기 위해서만 쓰는 것은 아니다. 누군가에게 보여주고 설득하고 이끌어보고 싶은 욕망의 발로이기도 하다. 기업이나 개인이나 별 차이가 없다. 나의 심정을 이야기하고 기업의 제품을 알리기 위하여 다양한 문장들을 구사한다. 경험을 토대로 쓰고 과학적 근거를 갖고 대상에 맞게 글을 쓴다. 보도자료도 그렇고 일기도 그렇다. 나는 오늘도 공책 여기 저기에 몇가지 글을 남긴다.

 

글쓰기에 관한 책들은 돌아보면 볼수록 많다. 다양한 곳에서 일하는 분들의 책들이어서 그런지 새롭다. 같은 말이라도 어떤 사람의 경험인가에 따라서 다르다. 그리고 그곳에서 나는 공통된 부분을 발견한다. 첫 문장에 대한 것이다. 첫 문장을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다 한다. 왜냐하면 그것이 바로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첫 줄이기 때문이다. 처음이 읽혀야 그 다음을 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은 바로 그 고민의 시작에서 써진 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자신의 제품을 어떻게 하면 많은 사람들에게 어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책이어서 더욱 현장감있게 느껴진다. 신문의 광고방식이 그때와 지금과는 많은 차이점이 있고 동서양의 광고방식에도 차이가 있지만 본질은 변하지 않았다.

 

설득의 문제는 그때나 지금이나 차이가 없다. 어떻게 하면 좀 더 소비자들을 내 편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하는 분들이면 이 책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줄로 사랑했다 - 카피라이터 윤수정의 카피 노트
윤수정 지음 / 달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신문기사의 영화소개는 늘 몇 명의 관객이 들었느냐이다. 영화에 대한 평이나 살마들의 반응도 있지만 그 보다는 몇백만이 들었으니 보지 않으면 안되겠금 부추키는 듯 하다. 물론 영화자체의 성공도 있지만 결국 다른 영화들이 들어갈 수 없는 형태, 대형 배급사들의 영화관 독점으로 인한 편중된 시장이 만들어낸 결과는 아닐까.

 

이런 와중에 이 틈바구니에서 살아가는 한 사람이 있다. 카피라이터 윤수정. 사실 누구나 그런 타이틀을 달 수 있지만 아무나 그 바닥에서 살아갈 수는 없는 일이다. 그것도 17년간을 그 바닥에서 달려왔다면 말이다. 독립영화쪽에서 일할 수 밖에 없었던 일에 대한 태도를 들으면서, 그래도 돈을 있어야 하지 않나 하지만, 좋아하는 일과 부딪히는 돈 사이의 갈등을 그녀는 좋아하는 일을 하기로 한 것이다. 원치 않는 카피를 쓰는 것보다는 쓰고 싶어하고 좋아하는 카피를 쓰는 것, 그것에서 행복을 찾고 삶의 방향을 찾은 것이다.

 

누구나 다른 것을 갖기를 원하고 가기를 바라지만 쉽게 다른 길로 나서지 않는 것은 모순이다. 그녀가 그렇게 이야기를 한다. 다르게 살고 싶고 다르게 보고 싶지만 정작 다르게 살지 않는 것이다. 남과 다르게 가는 것을 굉장히 두려워한다는 사실을 말한다.

 

마포구립서강도서관에서 열린 윤수정 카피라이터의 강연 그리고 그녀의 책 한 권, ‘한 줄로 사랑했다’는 늘 그렇게 살아야 함을 당연하게 여겨왔던 일에서 한 발 비켜 다른 길로 들어설 수 있는 용기를 가질 것을 권하는 자리였다. 카피라이팅의 기술에 대한 기대를 하고 참가 했지만 그러한 것들은 그간 해 온 작업이나 책에 있으니 제쳐두고 자신의 이야기를 참가자들의 질문을 들어가며 하나 하나 이야기하며 풀어가는 시간이 되었다.

 

카피를 쓰기위해서는 한 쪽만 알아서는 안된다. 그 전분야를 알고 있어야 한다. 흐름을 알아야 맥을 잡을 수 있는 것이다. 단순히 카피만 썼다면 지금까지 그 자리에 있을 수 없었을 것이다. 영화제작과 배포 등 그 흐름을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으리라 본다.

 

그녀가 참여한 독립영화들이 그녀로 인하여 좀 더 꽃필 수 있길 또한 기대한다.

‘내공’이 필요한 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학의 도끼로 내 삶을 깨워라 - 문정희 산문집
문정희 지음 / 다산책방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정희 시인의 이번 산문집은 고독이다. 고독은 작가의 특권이다. 고독은 작가만의 독특한 생산방식이다. 나를 뚫고 들어가는 것이다.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언제나 자신의 고독속에서 다시 반추된다. 여행을 통해, 작가모임을 통해 곳곳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인연과 말들을 짧게 짧게 담아가며 가을 속에서 삶을 돌아보게 해주는 책 중 하나다.

 

“고독은 작가의 자긍심이다. 고독은 때로 사회성의 결여로 볼모를 초래할 때도 있지만, 인간을 위대하게 만드는 것은 결국고독이라는 옥타비오파스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하며 테트보의 여행을 깊게 고통스럽게 즐기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속 시원한 글쓰기
오도엽 지음 / 한겨레출판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쓰기에 관한 책들을 관심있게 읽는다. 나도 그들 처럼 써보고 싶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답은 없다. 한결같은 저자들의 말인 듯 하다. 재미있는 글, 가슴을 울리는 글, 지루하지 않은 글, 간결한 글, 핵심을 파고드는 글, 남의 이야기가 아닌 나의 글 등 저자들 만큼이나 그 정의도 많다.

 

오도엽의 속시원한 글쓰기는 기존 저자들과 달리 그의 생활, 그의 삶의 바탕에서 본 사실적인 글들이라서 더 다가오는지도 모르겠다. 글쓰기를 가르치면서 무엇을 써야 할까 고민하는 사람들이 그 고민에서 빠져나와 자신의 이야기를 시원하게 하도록 해준다. 두 문장이 세네 문장으로 늘어서고 한 페이지가 된다.

비로서 글쓴이는 자신도 이야기를 글로 쓸 수 있음을 느끼고 행복해 한다.

 

글쓰기는 그래서 행복한 거다. 자신의 삶을 고스란히 담을 수 있다면, 그래서 그것이 누군가에게 읽힌다면 말이다. 그래서 행복한 글쓰기가 되려면 속시원히 자신의 이야기를 해야하는것인지 모르겠다.

 

신문기사를 비롯, 다양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글을 다듬고 평해보면서 글쓰기의 길을 찾아가보도록 도와주는 책이라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