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사람은 잘 바뀌지 않는다고 한다. 사는 곳이 바뀌거나 사는 처지가 달라지거나 주변 환경이 예민하게 몸을 구속하지 않는 이상, 그 박자는 되돌이표를 넘어서지 못한다고 한다. 주중 데미안들과 만난 시간을 뒤로 하고 일터일도 챙기고 이곳에 익숙해질 겸, 머무르며 그림마실을 다녀오다.

한국의 선과 미를 가장 잘 표현했다는 김환기를 들어서자마자 다시 만난다.

바다, 섬, 햇살, 달, 파도

전쟁의 잔흔이 울려나오는 그의 삶의 이력을 가진 물방울의 화가 김창열

다시 접하는 이성자님....

스스로 추상에 기초를 둔 새로운 구상회화라고 자신의 작업을 말하는 김종학의 [숲] 193*300cm_2011 앞에 서서 한참이나 머무르게 된다.


이우환의 작품 [관계]는 그 말을 따라가다보니 시간과 몸을 개입해야만 온전해지는 것이다.


지역작가인 장두건화백의 전시실이 따로 마련되어 있어, 하나하나 그리고 재미나고 궁금해져 다시한번 발걸음을 한다.

뱀발.
1. 아이들이 올망졸망 그림 앞에 앉아 설명을 듣는다. 아이들은 어떤 느낌일까? 십년뒤, 십오년 뒤 어떤 기억으로 자리잡을까? 한산하지만 아이들이 같이 온 부모들의 관심 선에 있는 듯 차분해 보인다. 물끄러미 그림의 느낌이 다가올까? 아니면 자신의 마음도 되비쳐볼 수 없는 일상을 보낼까?
2. 해돋이 광장 전망대로 가는 길, 난 이 녀석에게 정신줄을 놓았다. 이런 놈들이 필요한데, 너무나 차분한 아이들과 대조적이다. 내려오는 길 다시한번 궁금하여 설명글을 읽는다. 도시난테는 돈키호테가 등에 안착하기 앞서 십 몇년전에 만들어진 것이라 하니, 시간의 흔적이 묻어 있는 작품이다.


3. 봄이 오는 소리는 있기나 한 것인가?

김환기, 봄의 소리 178*128cm
4. oo 시립미술관 개관 3주년 기념전 [한국 모더니즘 미술의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