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전 노트 몇 곳~

 뱀발.  

1. 사실 많이 놀라다. **여*님 리뷰를 보고 건성건성 넘기고 책만 덩그라니 모셔두었는데 읽히질 않았다. 어느날 문득 마음에 걸리었고, 그렇게 시작하다. 평전을 들여보다가  분서가 궁금하여, 책을 빌리고 약속 빈틈의 시간에 원중도의 이온릉전을 보다가 울컥하는 것이 치밀어 올라 괜히 눈가만 축축해진다. 남들이 볼세라 주섬주섬 책들을 챙기고 나와 차안에서 마저 눈물을 챙긴다. 

2. 한번 공자-석가-예수를 한자리에 모셔 가상대화를 하는 책을 본 적이 있다. 책제목도 저자가 일본인인 것만 기억하고 느낌만 간직하고 있다. 전부 어설픈 이야기지만 유불도나 그리스도에 대한 그 자체로 보지 못하는 편향에 못내 아쉬운 구석이 있던 바다. 원시불교든 제자의 시각이 아니라 그 상황으로 보는 시선들로 인해 삶의 바깥은 없다.에 동의의 생각을 한두점 더할 수밖에 없었다. 

3. 최근 루쉰을 읽다보니 고사신편에 노자와 공자, 그리고 묵자가 너무도 시원시원하게 대비된 것을 본다. 예수도 그러하고, 루쉰의 고문연구나 번역도 그러하지만 예리하고 일거에 청량감을 더하는 평은 이지선생을 많이 닮아있다. 5.4운동 연후로 연계성을 아직 확인할 수 없지만 말이다. 

4. 세상은 옷과 밥, 자연스러움은 폴라니가 언급한 아리스토텔레스를 닮아있다. 삶을 그자체로 판단하고, 인문을 그 상황으로 날카롭게 이해하는 일은 삶 바깥을 미화하거나 폄훼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람을 저 삶밖으로 던져 삶도 개인도 자유도 옳아매지 않는다. 삶이 그 자체로 인문 人紋이다. 

5. 평전의 뒷부분으로 갈수록 방대함과 저작, 삶에 진폭에 흔들리지 않을 수가 없다. 무섭고, 두렵고 그저 가치를 하나 하나 찟어발라내어 사고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 앎과 삶은 어쩌면 그리도 같은 것인지? 함께 품어내지 못하면 그 역시 청관의 부조리만 만들어낼 수밖에 없는 현실이 답답하기도 하다. 

6. 지금까지 역시 겉만핥고 뱉은 구석이다. 들어서는 길에 호흡을 가다듬는다. 많은 것이 얽혀있어 그저 한두가닥의 맥락만을 연결해 가져갈 수는 없을 것 같다. 지난주부터 어쩌면 부들부들... ... 


댓글(2)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鄢烈山 & 朱健国, 『이탁오 평전』(1990)
    from 노는 사람 Play In 2009-10-28 10:13 
    2007년 2월 22일 탁오(李卓)가 호고, 지(贄)가 이름이었군요; “나는 어릴 때부터 성인의 가르침이 담긴 책을 읽었지만 성인의 가르침이 무엇인지 몰랐고, 공자를 존중했지만 공자에게 무슨 존중할 만한 것이 있는지 몰랐다. 속담에 이른바 난쟁이가 키 큰 사람들 틈에 끼어 굿거리를 구경하는 것과 같아, 남들이 좋다고 소리치면 그저 따라서 좋다고 소리치는 격이었다. 나이 오십 전까지는 나는 정말 한 마리 개와 같았다. 앞의 개가 그림자를 보고 짖어대자..
 
 
파란여우 2009-10-28 2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번겨울에 다시 이탁오를 순회할 계획을 잡고 있습니다.
마당님과 함께 탁오노자에 관해 나눌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저는 이 분을 알현하는동안 외롭고 쓸쓸하고 가슴이 아퍼서
못 먹는 술을 좀 마셨었습니다.

여울 2009-10-29 00:47   좋아요 0 | URL
책속에 소개된 책들이 있다면 알려주셔야해요. 가을바람이 쓸쓸하군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