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살아도 괜찮은가(ing)

 

 도덕에 가까운 것이 아니라 자유에 가까운 것인지 모른다.  도덕이 정치에 근사한 이분법의 도식이라면 윤리는 행동과 순간, 자유의 만끽을 예비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행위는 늘 이분의 도식과 적을 가르는 것이 아니라 이분을 감싸고 있는 나머지 여덟, 아니면 나머지 98, 어쩌면 998의 여분에 대한 배려인지도 모른다. 문제는 우리가 너무도 이분의 현실에 치우쳐 늘 다른 것은 보이지 않는 것으로 처분했다는데 문제가 있는지도 모른다. 모든 결을 두가지 가닥으로 모으는 유치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 지금의 문제인지도 모른다. 그렇게 살아지는 것이 우리들의 운명인지도 모른다.


댓글(2)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함께 고민하는 꿈을 꾸자
    from 木筆 2011-09-21 19:17 
    밤이 늦다. 스타일에 대한 딩가딩가 강의 뒤 옷맵시 이야기로 가을밤이 깊다. 법인사업1팀 영업동선을 한번 따라가본다. 목표와 실적 시간을 팔고, 마음을 팔고, 영혼까지 팔아야하는 동시대인의 버거움이 느껴지기도 하지만, 생동감은 지금 여기를 달군다. 가을 바람이 알맞아 아카데미 잡지 영업을 해본다. 어디를 가볼까? 수자원공사, 담배인삼....등등 법인 대상으로 광고영업이 먹히지 않겠느냐는 조언이다.공동이냐 공동 체냐지역의 착한 단체들, 지역화폐 렛츠, 문
 
 
마늘빵 2009-09-01 19: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윤리는, 철학은 더더욱, 자유에 가깝다는 생각입니다. 교과목으로서는 도덕과 윤리를 거의 동일한 개념으로 보는데, 교과서로의 도덕과 윤리는 자유와는 반대 개념처럼 보이죠. 그래서 철학, 윤리교육을 전공한 저는 다른데 가서 당신이 가진 도덕과 윤리의 잣대로 나를 이미지화시키지 말라고 합니다. 구속, 강압, 규정에 가까운 도덕과 윤리로 저를 알기도 전에 가두어버릴까봐요.

여울 2009-09-02 13:46   좋아요 0 | URL
철학만 이야기하셔야겠는데요. ㅎㅎ. 윤리?라! 많이 친숙해지시면 내공을 건네주셔야겠는데요. ㅎㅎ. 암튼 윤리에 대한 도움을 많이 받겠습니다...고민도 건네주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