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신

느낌의 단편들 - 누더기를 걸친 자가 지나갈 때마다 발바리가 짖어대는 것은, 알고보면 번번이 개 주인의 의도나 사주에 의한 것은 결코 아니다. 발바리는 왕왕 그 주인보다 더 사납고 지독하다. 


한때 떵떵거리던 자들은 복고를 주장하고,지금 떵떵거리고 있는 자들은 현상유지를 주장하고, 한 번도 떵떵거려보지 못한 자들은 혁신을 주장한다. 대체로 그렇다. 대체로! 그들이 말하는 복고란, 그들이 기억하고 있는 몇 해 전으로 되돌아가자는 것이지 우,하,상,주의 시대로 되돌아가자는 것은 결코 아니다. 
 

 사람은 적막을 느낄 때 창작할 수 있다. 정갈을 느낄 때 창작은 나오지 않는다. 그는 이미 사랑하는 것이 하나도 없으니까. 창작은 사랑에 근거하기 마련이다. 양주에게는 저서가 없다. 창작은 자신의 내면을 서술하는 것이라고들 하지만, 보아줄 사람을 바라기 마련이다. 창작은 사회성을 지닌다. 그런데 어떤 경우는 한 사람으로도 만족하는 경우가 있다. 벗이나 애인.

2. 불교학과 불교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비견하여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던 문헌학은 로마시대, 중세의 신학적 부활과 재건에 봉사하면서 역사의 연대를 통해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문헌학은 예술의 차원에서 비판적이고 과학적인 차원으로 부상하게 된다. 다시 역사학과 문헌학의 관계는 르네상스에 이르러 더 공고히 된다. 영어로 문헌학 philology은 "배움과 문학에 대한 사랑"을 의미한다. 1716년에서야 '언어의 과학'이 되었고 18세기 말 독일에서 그리스 세계의 "과학적 연구"를 의미하게 되었을 대 비로소 언어에 대한 학문이라는 정의를 갖게 된다. 문헌학이 언어학적 변모를 거치는 것은 산스크리트의 발견으로 인한 비교언어학의 시작이다.(1786년)

르낭 - 문헌학이란 정신적 사물을 대상으로 하는 '정밀과학'이다. 여러 인문과학과 문헌학의 관계는 물체에 관한 여러 철학적 과학에 대한 물리학과 화학의 관계와 마찬가지다. 61

한일 불교학의 근대화에서도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 일본은 불교학의 근대화에서 학문의 제도적 인프라를 택했고, 조선은 사람을 선택했다. 양자의 차이는 장기의 말판과 말의 관계와 같다. 말판과 말은 둘 다 장기를 두는데 필수적인 것이다. 하지만 그 학문의 장기적 전망으로 볼 때, 차이의 결과는 상상할 수 없다. 장기 말이 없어지면 다른 물건으로 대체해서 게임을 계속할 수 있지만, 장기판의 온전한 형태가 없으면 게임은 성립하지 않는다. 이 구조적 비유는 지금 학계의 사정을 잘 반영해준다. "인물"을 중시하는 한국의 학계는 주로 출신학교나 학위에 모든 학문의 미래를 걸고 있다. 그러나 학문이 발전하기 위해서 마련되어야 할 제도적 장치가 소홀할 때에는 그 인물은 물론 학문까지도 고사해버리고 만다. - 일본은 '불교학'을 근대화시키고자 했고, 조선은 '불교'를 근대화시키고자 했던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74-75

'네팔-독일 간 필사본 보존 계획'(1970.2)-독일의 두 인도학자가 기획한 것으로 네팔의 고문서들이 모두 마이크로필름으로 남겨저 보존되었다. 독일은 이로인해 여러면에서 불교학이나 인도학의 영역에서 상당한 문화정보력을 획득하게 되었다. 이제까지 독일이 기록한 필사본은 모두 5백만장의 폴리오로 이루어진 16만건에 이른다.

[탈식민시대 우리의 불교학], 심재관, 책세상, 2001

 뱀발. 책접이를 해둔 것을 메모해두지 못해 잠시 짬독하기 전 남기다. 수구라는 것이 저기 무엇 내력이 있는 것이 아니라 '기억하고 있는, 경험하고 있는 이전'으로 돌아가자는 것일뿐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모두 떵떵거렸던 자들이었기에 더하다는 것이다. 주인의 사주도 없었는데, 개들은 물고 짓어대고 알아서기고 난리부르스다. 물에 빠진 개는 사람취급을 해주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창작에 대한 메모는 최민식님의 내용과 겹친다. 우리 불교에 대한 지적도...기억해둘만 한데 얕은 앎으로....겹칠 때가 올는지 모르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시장미 2009-07-23 0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창작에 대한 메모를 보고 고개를 끄덕입니다. 적막감은 생각을 헤집게 하고 또 다른 현실을 상상하도록 이끄는 것 같습니다. 현실에서 도피하고 싶은 게지요. :)

여울 2009-07-23 10:30   좋아요 0 | URL
도피만은 아니겠죠. 사랑하거나, 또다른 현실의 가능성을 만들거나, 또 다른 현실을 보여주거나.....다독거림을 받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