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무론- 동양고전산책- 서양고전읽기



책읽기가 얕을 수밖에 없는 이유. 인문을 하는 사람들이 없다. 책속엔 책이 없다. 인문학 교수들에겐 인문을 찾아볼 수 없다. 재야의 그늘에서만 통찰과 고전읽는 방법에 대해서 듣게 된다. 아주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바닥의 책읽기에 대해서 말이다.세상엔 공짜가 없다. 아마 책읽기도 그러할 것이다. 다이제스트도 없고, 요약도 없다. 시간의 함수에 바래고 잊어지고 희미해져 골간마저 건져내기 힘들다. 어쩌면 공짜심보가 그렇게 마음 속에 딴 사람처럼 들어앉아 들어가는 족족 제것으로 만들었는지 모른다. 결국 제것이 된 것은 별반 없는지도 모르겠다. 생각의 그물망도 바래고 툭툭 끊어지기만 해서 별볼일 없는 것인지도 모른다.

지금 여기의 시선으로 저기를 재단하는 습관들. 숱한 논문들. 결국 아무것도 알려주는 것없이 거짓처럼 거품처럼 부화한 지식들만 부랑하는 지금. 삶도 없고, 함도 없고, 풍선처럼 바람만 잔뜩 든, 현실에 실뿌리하나 내리지 못하는 앎들만 왕왕거리는 지금.

부끄럽고, 답답하고, 마음나눌 곳 없이 흔들거린다. 지난 토욜. 조금씩 읽기 시작한 김영민샘 동무론을 마저 본다. 앞저트로 대나무와 매화의 그림들을 훑다. 커피 한잔 놓고 마주한다. 자아라는 것, 주체라는 것, 인간이라는 것들의 학문 근간이 흔들린다. 머리가 끄덕여지고, 아쉬움. 학문의 자기생산이란 것이 결코 혼자 설 수 없는 자아나 주체나 인간을, 혼자로 놓고 사고한 산물이란 것. 그리고 친구처럼 인문하는 앞선 학자를 불러내세우는 능력에 숙연해진다.

동무는 무엇일까? 서늘함. 욕심없는 의욕. 생각이 자라는 것이 아니라 늘 중동나는 모임의 시공간. 호의와 호감, 고백과 소문에서 별반 진전이 없는 생각시공간들. 모임시공간들

들어가고 나오길 반복하다보니, 어느 순간 콧잔등이 시큰거린다. 눈물이 비치고, 설움도 함께 울컥한다. 손수건으로 매듭한다. 어디 혼자 엉엉 울고 싶기도 하다. 여러 느낌이 교차한다. 답답함과 시원함. 인문학자들이 이렇게 마음 결 속에 단단히 숨쉬고 있음이 기쁘기도 하다.

뱀발.  밤, 일년 외국으로 다녀올 동네지인의 환송 겸 모임이다. 이래저래 생각이 깊어진다. 태생이 서늘하여 별반 호의나 호감을 온전하게 내것으로 만들지 못한다. 사실 그럴 생각조차 없다. 만나고 약속하고 또 만나고 삶에 대해 수직 고민이 없는 것은 아닐까? 그저 얇게 수평만으로 흐르는 것, 기분을 의탁하고, 품고 깊어지는 것 없이 일상이 반복되는 것은 아닐까? 동무의 접선으로 소내하기가 무척 버겁다. 접점이 생기지 조차 않고, 얕은 소문-호의-호감의 덫에 걸려 다른 것을 상상해내고 둘이 품어낼 것 조차 없다. 시도하지도 않는다. 고민은 나로 함몰하고 나-너의 씨앗으로 품어지지 않는다. 이런 모든 것들이 일상으로 유랑만 할 뿐이기 때문인가? 아무튼 좀더 깊이 품어보기로 한다. 제법 개념이 어렵다. 단지 앎을 얻고자 한다면, 난해하여 얻은 것이 하나도 없을지 모른다. 삶을 한가운데 놓고 생각길을 따라가본다면, 함께 산책을 하다보면 이것저것 수확이 크지 않을까 싶다. 그래도 이렇게 대면할 수 있음이 행운인 것 같다. 

 

꼬리들.

   
 

(말이 필요없는)친구와 (말이 통하지 않는)연인이라면 낯선 타자성의 관계 속에 길을 내는 일(동무)이 필요하다고 한다.

'아는체하기'가 아니라 '알면서 모르는 체하기', 무관심한 관심, 차림새가 없는 차림새, 수동적 긴장

사치의 부재가 아니라 부재의 사치, 비움과 나눔으로의 사치, 산책-부사적 사귐의 공간, 체계와 생산적으로 불화하려는 자들. 초인이 아니라 동무. 인문의 목자

부정적-부재적-부사적 연대의 사이길. - 공사의 사이, 가족인간과 회사인간의 사이, 애착과 기능주의의 사이, 애인과 타인의 사이, 좌우의 사이, 형이상학과 니힐리즘의 사이, 기계적 체계와 원자적 개인의 사이.

일상 - 회색 톤의 단조, 벡터가 없는 모노로그의 퇴행, 벡터가 없는 지식, 자기애 나르시즘. 모든 것을 아는체하고 젖먹이처럼 보챈다.

 
   

[ㅁ 의 변주]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란여우 2008-08-07 1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말랑한 것만 먹다보면 장운동이 퇴보됩니다.
가끔 딱딱한 것, 쓰거나 매콤한 것도 먹어줘야 혀도 좋고 장도 좋고 몸도 균형을 이루지
않을까 해요. 인문학, 골 아픈 걸 거부하는 소비패턴지향주의에 흠뻑 젖은 현대인들에겐
바위 덩어리 만큼이나 부담가는 책일겁니다. 저도 처음엔 그랬어요. 지금도 만만한 콩떡이 되지 않지만(영원히!)시간과 정신을 투자한만큼 인식의 지평은 확실히 달라집디다.

여울 2008-08-07 18:03   좋아요 0 | URL
흠뻑 젖은 현대인...여기요!! ... ... 안타까운 일들입니다. 아주 조금씩 천천히 들어오네요. .... 여우님 말씀에 백십프로 공감합니다.

밀밭 2008-08-07 19: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파란여우님 말씀에 동감입니다. 저도 읽고 싶은 책들인데 혹시 도서관에 비치되어 있을까요?
슬픔, 아픔, 울음, 삶, 앎, 마음, 배고픔, 열매, 장미(?) 매미(?) 'ㅁ'의 변주 몇 점?

여울 2008-08-07 18:25   좋아요 0 | URL
80점이군요. 마지막 둘. 지구를 [ㅇ]으로 보면 어떨까요! ㅎㅎ. 아~ 장미도 보이는군요. ㅎㅎ

밀밭 2008-08-07 2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마지막 하나 더요. 소음 또는 음미? 아님 말고요...ㅎㅎ 사소한 것에 목숨거는 형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