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

1.

제가 본 조류독감관련하여 본 사설은 두 건입니다. 충청투데이와 조선일보, 충청투데이는 꽤 지난 것 같구요. 조선일보는 최근 사설에 조류독감에 대한 타미플루의 확보율을 높일 것을 권면하는 내용이었습니다. 물론 강양구기자가 최근 올린 책소개글이 회자가 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궁금증이나 조류독감이란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지난해 동남아, 일본까지 일연의 흐름들이 눈에 들어오더군요. 그리고 약제에 대한 논쟁. 타미플루의 부작용(우울,자살충동)과 환경에 있어 난분해성으로 생태에 있어 내성 생성에 대한 부분. 고가 약제에 대한 저가약제의 필요성에 대한 것들이더군요.

[조류독감]이란 책자가 발간된 이후의 연구결과도 포함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인간-인간의 전염. 상기도부위나 폐, 태반으로 태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은 좀더 확인해보아야겠지만 충격적이더군요.

그러면서도 조류독감이란 키워드로 대형제약회사-생태-부자와빈자- -- 의 고리가 고스란히 꼬리를 물고 이어집니다.  그리고 국가별로 대응도 차이가 나는 사실도 그러하며, 기자들이 기사를 쓰는 수준도 그러하며...해결이나 예방보다는 한탕이라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노약자가 아니라 건강한 사람들에게. 새로운 전염병은 끊임없는 야생의 공간을 남겨놓지 않기 때문이라고도 합니다. 야생생물과 인간의 접촉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전염병을 야기할 수 있다고 말입니다. 조류독감이 고양이-돼지-- .

2.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1. 조류독감과 진보, 그리고 과학기술자 (作)
    from 木筆 2008-04-18 09:39 
    수습하는 것과 예방하는 것의 차이 생각에 꼬리가  문다. 불쑥 잠결에 묻어나고 선잠을 잔 듯 자란 생각에 몹시 불편하다.  예방을 할 수 없는 것일까? 물리적으로만 아니라 생각으로도 예방하는 길이 없는 것일까? 수습하기에 들어가는 비용과 피해보다 그 노력을 예방이나 다른 방법으로 선택한다면 얼마나 비용일 들까? 정말 미연에 막거나, 우리만의 문제로만 생각하지 않고 뭔가 다른 선택지, 마음의 선택지들은 없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