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약물평가청, 타미플루의 위험에 대한 경고 결정

>> 접힌 부분 펼치기 >>

 

 

 

인플루엔자의 위력을 강화시키는 PB1-F2

>> 접힌 부분 펼치기 >>

 

 

 

면역체계조절을 통한 조류독감치료제 개발논쟁

>> 접힌 부분 펼치기 >>

 

 

 

H5N1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태반을 통과할 수 있다

>> 접힌 부분 펼치기 >>

 

 

 

내성바이러스의 등장을 초래하는 타미플루의 난분해성

>> 접힌 부분 펼치기 >>

 

 

 

조류인플루엔자의 인간대 인간감염을 위한 핵심단계 확인

>> 접힌 부분 펼치기 >>

 

 

 

유럽의 조류 독감 바이러스, 숨겨진 위협

>> 접힌 부분 펼치기 >>

 

 조류 독감 발생에 오리와 벼가 미치는 영향

>> 접힌 부분 펼치기 >>

 

 

새로운 전염병 확산과 위험지역 지도

 

영국 독감대유행 대비 항바이러스제 비축량 두 배로 증가 결정

>> 접힌 부분 펼치기 >>

 

분말 형태의 독감 백신: 독감 대유행의 해결책이 되는가?

>> 접힌 부분 펼치기 >>

 

국제보건기구, 국제적 전염병 확산 경고

>> 접힌 부분 펼치기 >>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조류독감자료를 서핑하다가(作)
    from 木筆 2008-04-16 11:10 
    1. 제가 본 조류독감관련하여 본 사설은 두 건입니다. 충청투데이와 조선일보, 충청투데이는 꽤 지난 것 같구요. 조선일보는 최근 사설에 조류독감에 대한 타미플루의 확보율을 높일 것을 권면하는 내용이었습니다. 물론 강양구기자가 최근 올린 책소개글이 회자가 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궁금증이나 조류독감이란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지난해 동남아, 일본까지 일연의 흐름들이 눈에 들어오더군요. 그리고 약제에 대한 논쟁. 타미플루의 부작용(우울,자살충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