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 알라디너 모꼬지?! , 누리꾼의 공간과 한계
070728 누리꾼 생각글 - 풍요로움을 위한 윤리(作)



0. x축을 지금이라두자. y축을 시간이라고 하자. 지금이라는 수평면을 상황이 벌어지는 국면(생각면)이라고 하자. 그리고 a라는 사람의 생각, b라는 사람의 생각이 부딪치거나 발화하는 지점이라고 하자. a라는 사람의 생각은 반드시 직선일 필요는 없지만, 일정한 생각의 방향성을 가지고 왔다고 하자. 굳이 a와 b일 필요도 없고, c와 d로 이어진다고 하자. 그러니 다양한 주제로 다양하게 생각면을 가질 수 있다고 하자.

1. 사람들은 발화지점, 논쟁이 열리는 지점에 몰려든다. 논리라는 것이 논거를 대략 꼭지가 3가지 이상이라고 하자. 그러면 생각면의 발화지점을 포위할 수 있다. 그 그물에 들어오거나 근거를 원형으로 하거나, 별모양으로 하거나 하트모양으로 하거나 평면에서 다양한 형태로 그 지점을 에둘를 수가 있다.

2. 그러다보면, 논거를 가진 논리의 그물이 촘촘해지면서, 애초의 감정이나, 쟁점에 담겨진 방향성을 가진 지적,선입견,논의의 출발점이 시간에 따라 사라진다. 그리고 소멸한다. a와 b가 만난 지점, 아니 좀더 정확히 하면 a 든 b든 삶과 생활의 과정을 담고 균열을 낸 지점. 폭탄이 터진 현장이 아니라, 폭탄이 왜 던져졌는가?

3. 논쟁의 출발은 포탄이 터진 파편이 아니다.

4. 그리고 논리의 그물도 허약하기때문에 수선도 해야하고, 시간에 따라 자동수선이 가능한 것이 아니다. 지고 이기는 것을 떠나서 과연 a, b, c, d라는 사람이 수용을 할까? 논쟁이 격해질 수록 수용에 대한 마음의 문은 좁아진다. 그리고 지금이 아니라 이것저것 자양분으로 자란 생각이란 것이 바뀌어야 한다고 강요한다고 되는 일도 아닌 것 같다. 논리적으로 합당하더라도 몸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지 않는가?

5. 그것도 모르는 쫌생이, 자기생각만하는 뭐뭐. 라는 또 하나의 꼬리표를 만들어 마음 속에 넣는 일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생각들이 충돌한 지점에 대한 관심(이것은 또 언젠가 계기를 만나면 논쟁을 열게된다. 단지 수면 아래 있을뿐..)과 시공간에서 여전히 유효할 것인가?도, 현명하다면 가져가야 하는 것은 아닐까?

6. 우리의 토론문화가 미숙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a와 b의 또 다른 c와 d일지도 모른다. 단지 수면 아래 있을뿐, 그리고 또다른 생각주머니들이 터질지도 모른다. 어쩌면 계속 반복될지도. 뭘 이야기하고 싶은지 한마디로 정리가 되지 않는다면, 그리고 그것과 별개로 파생된 논리-논쟁에 갇혀 또 다른 논쟁이란 안개에서 헤매고 있다면, 한번의 논쟁에서 모든 것이 결정난다고 여전히 착각한다면, 시간이란 변수 속에 건망증처럼 모두 잊혀지기를 반복하는 것은 아닐까?

7. 익히 예상된(그것 역시 꼬리를 잡다가 생긴 파생된 논쟁?이었다) 일들이 고스란히 재현되는 것을 보면, 안타깝다. 상처내지도 상처받지도 않고 이끌어갈 재주있는 분들이 당장 해결해야 한다는 조급함에, 아니면 논쟁이란 나무에 집착해서 혹 숲은 보지 못하는 것은 아닌가하는 안타까움이 든다. 따로따로 꼭지를 떼어 새로운 논쟁거리들과 품은 생각들도 많이 나와 활홀할 지경인데, 사건에 가려 제 빛을 내지 못하거나, 제 값을 받지 못하는 쟁점들도 그냥 묻혀질까봐 아쉽다.

8. 토론도 논쟁도 그 만큼만, 꼭 그 만큼만 자라는 것은 아닐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울 2007-11-21 11: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펌]인터넷 상에서의 논쟁에 대하여

인터넷에서 벌어지는 논쟁은 논쟁 당사자들과 그것이 전개되는 과정에 따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첫째는 논리와 합리성을 중시하며 진심으로 자신의 글에 애정을 가지고 있는, 가질 수 있는 이들이 논쟁의 당사자가 되는 경우이다. A가 예리한 문제의식이 담긴 시의적절한 글을 인터넷에 올린다. 그 글과는 다른 의견을 가진 B가 A의 글을 논박한다. B의 논리에 의해 A글의 균열과 외부가 발견되고 A는 그것을 수긍하며 자신의 논리를 수정한 뒤 B의 논리에 내재한 문제점을 지적한다. 이렇게 논쟁은 건설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어 논쟁의 결말과는 관계없이 논쟁 당사자들은 각기 긍정적인 지적 자극을 받게 된다. 두번째는 논리와 합리성은 무시하고 결점이 있는 글을 올린 A에게 B가 그 결점을 지적하면서 시작되는 논쟁이다. 이 경우엔 대개 A가 B의 글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외면함으로써 논쟁은 어느 순간부터 논쟁의 외피를 쓴 B글의 공개강의가 되어 버린다. 마지막, 쌍방이 모두 논리와 합리성 따위엔 관심이 없는 경우이다. 마지막 유형은 논리싸움論爭이라기보다 자존심을 건 감정싸움이라고 보는 편이 옳을 것이다.

한국에서 벌어지는 논쟁은 대부분 두번째나 세번째 유형에 속한다. 두번째, 세번째 유형의 논쟁을 지켜보면 어느 일방이나 쌍방이 본질적으로 똑같은 말을 언어만 바꿔서 계속 반복하는 식으로 전개된다. 게다가 어느 시점부터는 논점과는 상관없이 상대방의 인격을 공격하는 표현이 등장하기까지 한다. 대부분의 논쟁이 이렇게 소모적으로 전개되는 이유는 논쟁의 일방 혹은 쌍방 모두가 논리적 무결성을 중요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애초에 글쓴이는 글의 내용엔 관심이 없었다. 그가 관심있었던 것은 글을 통해 획득되는 인정, 이미지였다. 당시 화제가 되는 사회적 이슈에 대해 발언한 어떤 이는 애초에 그 이슈에 진지한 문제의식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사회적 이슈에 대해 발언함으로써 획득되는 '의식있는, 참여적인 이미지'와 그에 따른 인정, 공감을 원했던 것이다. 물론 그 이슈는 정교한 사고를 요해서는 안되며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 합의가 되어있기에 전혀 민감하지 않은, 말랑말랑한 것이어야 한다.

이런 이들에게 있어 글의 내용은 부차적일 것이다. 애초에 논리나 논점 따윈 안중에도 없었으니 상대가 논리적으로 지적하고 들면 감정을 앞세워 상대의 글을 제 입맛에 맞게 오독하고, 상대 글의 논리적 맥락과는 상관없이 따온 구절을 토대로 <자신의 감정과 자존심>을 방어하기에 바쁘다. 따라서 논리적 무결성이 전혀 중요하지 않은 A에게 B가 논리적 결점을 지적하는 것은 별 소용이 없다. 서로가 중요시하는 전제와 화법부터가 다른 것이다. 그럼 그것을 알면서 왜 논쟁을 하느냐. 결론부터 말하자면 난 A에게 아무런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논쟁이 두번째와 세번째 유형으로 전개되는 경우 난 A가 내 논리에 설복하리라는 기대를 처음부터 접어 버린다. A와 대화하고 A를 설득하여 생각을 바꾸게 할 마음이 전혀 없는 것이다. 내가 의식하는 것은 A가 아니라 <말없이 논쟁을 지켜보고 있는 익명의 독자들>이다. 즉, A와 나, 그 어떤 쪽에도 편향된 정서를 지니지 않고 중립적인 위치에서 논쟁을 지켜보고 있는 이들이다. 입은 A를 향하고 있되, 눈은 논쟁의 외부를 향해 있는 것이다.

단지 부술 뿐이다. A글의 논리적 외피를 파괴하며 <논리적인 듯이 글을 쓰고 있는 상대는 사실 논리 따위엔 전혀 관심이 없고 그저 자신의 욕망에 충실할 뿐>이라는 사실을 <말없이 논쟁을 지켜보는 익명의 독자들>에게 폭로할 뿐이다. 파괴되는 A글의 외피를 보며 정서적으로 어떤 쪽에도 기울어져 있지 않고 중간지대에 서있는 대다수의 독자들은 A논리의 허구성을 깨닫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대가 어떤 반응을 보이는 지에 관계없이 논쟁은 중립적 위치에 있는 제3자가 A논리의 결점과 A주장의 허구성을 깨달을 정도의 수준에서 종결된다. 애초부터 논리에 관심이 없었던 데다가 논쟁 외부를 보지 못하는 A는 아무리 정교하게 논박해도 끊임없이 <자신의 훼손된 자신감>을 방어하려 들 것이기에, B는 자신의 해설글이 정규교과를 정상적으로 이수한 정도의 평범한 독자들에게 충분히 이해될만한 수준이라고 판단되면 미련없이 논쟁을 끝마쳐야 한다. 잔말은 필요없다.

그렇다고 철저하게 논리에만 집중해버리면 안된다. 한국인들은 로고스보다 파토스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이다. 자신의 글이 제3자들에게 미칠 정서적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논리만으로 밀어붙인다면 그 글은 지적 마스터베이션을 위한 A의 글과 다를 바 없게 된다. 내용이 아무리 정당할지라도 선택한 어휘와 표현들이 제3자들에게 반감을 불러 일으킨다면, 논쟁 상대와 익명의 독자들 그 누구에게도 논리를 통해 자신의 문제의식을 호소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한국인들에게 있어서는 파토스가 로고스에 선행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논쟁글을 쓸 때는 자신이 선택한 어휘와 표현, 구성이 제3자들의 정서에 미치는 파장까지도 철저하게 고려하여 글을 써나가야 한다. 내가 글쓰기 능력이 부족하다고 자조하는 것은 이와 같은 전략적인 글쓰기 능력이 아직 미숙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인터넷 상에서의 논쟁에 회의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얻는 것 하나도 없이 감정만 소모할 뿐이라는 것이다. 맞는 말이다. 이성이 욕망을 누르기는 정말 어려운 일이기에 내 글에 동의, 동감하는 이들도 막상 실제 현실에서 어떤 행동을 할지는 알 수 없다. 열심히 머리 굴려가며 최대한 전략적으로 글을 써도 그 글의 현실적 유용성은 보장받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내 이상을 이 세상에 관철시키고자 하는 나는 그럴 수 없다. 이상은 저 높이 있으면서, 모순된 현실을 바꾸고 싶으면서, 현실적으로는 아무 것도 하지 않는 내가 넋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 좌파들이, 지식인들이, 아무리 비웃어도 어쩔 수 없다. 위대한 사람들이 현장에서 치열하게 싸우고 있는 동안, 못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고작 이것 밖에는 없는 것이다.




논쟁# by 이글루스 샤피로 | 2007/10/22 22: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