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의 모든 것 - 2017년 제62회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김금희 외 지음 / 현대문학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체크메팅


체스의 모든 것, 현대문학, 2016-12-07.


  한때 체스두기를 좋아했다. 체크메팅! 외쳐대며 즐기던 때가 있었는데 세월 오래 흘렀다고 규칙이 가물가물하다. 장기와 비슷한 룰을 가지고 있는 체스 규칙을 놓고 제법 옥신각신 했는데 누구와 두었는지 어디에서 두었는지 정말 내가 체스를 두기나 했던 건지 그런 체스 장난감을 어떻게 가지고 있었던 건지… 오래되고 묵직한 장기판이 여전히 집에 있는 것을 보면, 장기에 대해서는 생각나는 것이 많은 것을 보면, 장기를 두지 않은지 꽤나 오랜 세월이 흘렀어도 장기룰은 기억하고 있는 것을 보면 체스는 한순간 잠시 머물다가 사라진 신기루 같기만 하다. 오로지 체크메팅이란 단어만을 남긴. 체크메팅은 나의 말이었을까. 상대방의 말이었을까.

  ‘이기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소설 속 금화처럼 나는 체스를 두는 순간 오로지 이기기에 몰두했던가. 기껏해야 초등학생이었을 그때 놀이를 즐기지 않고 승리에 집착하고 있었을까. 이십대 국화가 되고픈 이기는 사람은 ‘부끄러움을 이기는 사람’ ‘부끄러운 상태로 그걸 넘어서는 사람’이다. 금화가 부끄러움을 모르는 듯이 행동한다고 여겨지기도 하는 것을 보면 금화는 진정 이기는 사람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금화를 바라보는 영지는 “정말 대단히 무심한 애라고 저 무심함은 어딘가 공격적인 데가 있다”고 생각한다. 동아리 선후배 사이인 세 남녀의 관계를 영지의 시선으로 바라본 이 소설에서 이 셋의 관계는 참 미묘하다.

  

선배는 정말 이해가 안 가요. 아니, 감자는 같이 먹으려고 그렇게 해놓은 것인데 어떻게 감자를 혼자 다 먹을 수가 있나고요. 감자는 그런 게 아니고요, 선배 혼자 맛있게 먹고 말라는 것이 아니고 감자는 우리가 다 먹어야 하고 그렇게 같이 먹으면 좋은 건데 왜 감자를, 그러니까 왜 감자를 그렇게 많이 먹느냐고요!


  감자를 두고 울분을 터뜨리는 금화를 볼 때 분명 무심함이 아닌 ‘공격성’이 느껴진다. 묘하게도 이러한 금화의 모습은 ‘노아 선배’를 향할 때가 많다. 자칫 이성적인 호감에 대한 반어적인 행동인 듯이 여겨질 수도 있을 만큼 금화는 노아 선배와 ‘함께’ 하면서 선배에게만  무심하지 않다. 어쩌면 노아 선배에게 관심을 두고 있는 영지의 시선에서는 금화의 ‘무심하지 않음’을 ‘이성적인 관심’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영지는 둘 사이에서 조정자인 듯 보이지만 없어도 무방한 위치다. 영지는 한번도 체스 게임에 등판하지 못하고 체스를 두는 둘을 지켜보는 존재다.


둘은 여전히 체스에 대해 얘기했지만 체스가 중요한 것 같지는 않았고 체스에 대해 말해야 한다는 의지 같은 것만 남아 있는 듯했다. 나는 그 대화를 들으면서 무슨 대화가 저렇듯 열띠면서도 무시무시하게 공허한가 생각했다. 대체 체스가 뭐라고, 저렇게 싸우는가. 우리 사는 거랑 무슨 상관이라고.


  영지의 공허함은 둘의 대화내용이 아니라, 영지가 체스룰을 몰라서가 아니라 그 둘 사이에 ‘함께’하지 못함에서 오는 것 같다. 체스가 중요하지 않아 보여도 체스 규칙을 아는 것과는 아무런 상관없는 체스가 아닌 대화에도 영지는 끼어들 자리가 없다. 이들에게서 과연 ‘규칙’이란 건 중요한 문제였을까. 금화는 체스협회 표준 규칙처럼 “퍼블릭한 게 아니라 프라이빗한” 저만의 규칙을 내세운다. 표준적인 규칙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는 노아 선배는 늘 ‘특정한 힘’에 굴복한다.

  영지의 생각처럼 체스는 우리 사는 거랑 상관없는 것이 아니라 체스가 뭐라고 이토록 상관있나 싶었다. 아닌듯해도 피할 수 없는 규율이 삶을 붙들고 있는 것만 같았다. 그 어떤 형태로도 체스판을 벗어나지 못하는 삶 같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