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책자를 위한 자연수업 - 우리 주변에 널린 자연의 신호와 단서들을 알아보는 법 산책자를 위한 자연수업 1
트리스탄 굴리 지음, 김지원 옮김 / 이케이북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존 로망


산책자를 위한 자연수업


  1971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이브, 아마존 상공에서 여객기 공중 폭발에서 열일곱의 줄리안 케프케만이 폭발 직전 좌석이 분리되어 살아남았다. 홀로 정글에 추락한 케프케는 사고후 11일만에 원주민에 의해 구조되었는데 그 기간 동안 생존을 위해 줄리안이 한 일은 놀라웠다. 나무의 나이테를 파악해 북쪽 방향을 향했고 갑각류가 살고 있는 물과 식용 가능한 식물을 골라 먹었다. 밤에는 모닥불로 불을 피우기까지 했다하니 본능적인 생존의 기술인가 싶었지만 생태학자인 줄리안의 아버지는 평소 외딴곳에서 생존하는 법을 알려주었다고 한다. 이것을 잊지 않고 활용하며 그 고통의 날들을 견뎌낸 것이다. 더구나 허벅지 상처에 구더기가 생길 정도의 극심한 상태였는데 버려진 오두막에서 석유를 부어 응급처치까지 했다고 한다. 그리고 또 마을을 찾아 강가를 걷고 건다가 쓰려진 상황에서 원주민에 의해 구조되었다고 한다.

  이런 상황이 다가오면 무엇을 해야 할지 판단이 마비될 것 같은데 자연에 대한 기본 상식도 없는데도 오지탐험에 대한 갈망은 주기적으로 살아나는 것 같다. 생각해보니 오지탐험은 로망이다. 오지탐험이 일반적인 여행이나 관광과는 확연히 다른 차원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이에 대한 갈망이 있는 것은 자연·원시적 생태에 대한 로망과 맞먹는 문명사회에 대한 회피 욕망이기도 할 것이다. 그속에서 살아가다보면 역시 고난과 환멸을 겪게 되겠지만 현실세계만큼은 아닐 거라는 생각이 로망을 부추기는 이유일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20년이 넘는 야외 탐험과 연구로 자연 탐험의 기술들을 터득하고 있다. 오지에서 저자의 생존력에 대한 부러움을 가득 안고서 가벼웁게 《산책자를 위한 자연수업》을 보면서 마냥 생존방법을 터득하는 책인양 보고 있다.

  이 책은 조금만 밖으로 나가면 볼 수 있는 자연에서 특정한 신호와 단서를 알아내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하늘의 별과 나무뿌리의 선을 통해 방향을 숙지하는 법, 구름과 무지개 식물 등을 통해 날씨를 읽어내는 법, 동식물을 통해 지대를 읽는 법 등등 재밌고 의미있는 관찰의 결과를 알려준다. 가벼운 산책을 더할 수 있는 흥미와 함께 길을 잃어버린 경우 유용함을 줄 수 있기도 한 방법들이다. 특히 저자는 인도네시아 고립된 지역에 살고 있는 다약족과 함께 자연의 단서로 살아가는 모습에 관해서도 들려주고 있다. 그리고 다약족뿐만 아니라 어느 시대에서든 오랜 삶의 경험으로 터득한 자연현상을 읽어내는 방법들이 노래형태로 사람들에게 전해지고 전해진다.


   참나무를 조심하라, 벼락을 끌어들인다.

   물푸레나무를 피하라, 번개를 유혹한다.

   산사나무 아래로 들어가라. 그러면 해가 없을 거다.


  전혀 생각지 못한 단서는 네잎클로버가 주는 단서다. 당연 네잎클로버 군락지를 보면 이런 더할나위없는 행운에 기뻐하겠건만 저자는 네잎클로버 여러 개가 한군데 모여 있다면 그것은 제초제를 뿌렸다는 징후라고 말한다. 제초제와 식물 비정상적으로 자라게 한다는 점, 그리고 네잎클로버가 비정상적이었기에 나폴레옹 역기 그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새삼 네잎클로버가 클러버의 돌연변이 형태라는 사실을, 그리고 거기에 인간이 뿌린 농약이 가세하고 있다는 사실을 상기했다. 네잎클로버가 한무더기 피어 있는 것을 보면 좋다고 달려가 마구 뜯거나 그 위에 드러누울 듯한데 그곳이 농약 한무더기 뿌려진 곳이라니.

  하지만 저자가 알려주는 방법들을 머릿속에 깊이 각인하지는 못했다. 그렇기에 동네 산책을 나가며 이 단서들을 파악하고 확인하리라 하겠지만 결국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을 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알지 못하지만 마냥 눈여겨 관찰하기는 할 지도 모르겠다. 이건 왜 이렇지라는 생각으로 흘낏.

  저자는 하늘의 별과 달, 해를 읽는 방법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다. 당장 오늘밤 35년여 만에 펼쳐지는 '슈퍼 블루문 개기월식'이다. 오늘이 지나면 19년 뒤에야 이 현상을 볼 수 있다는데 나는 이 책의 지식으로 이 현상을 잘 관찰할 수 있을까. 북극성, 북두칠성을 찾던 어린시절에도 내가 찾은 것이 그것이 맞다고 생각하면서 별을 바라봤지만 확실히 알 수는 없다. 제대로 북극성과 북두칠성을 찾은 것인지. 산책을 가든 등산을 가든 정상에 오르는데만 급급하고 산책을 하면서는 세밀하기 보다는 꽃이 폈네, 바람이 부네, 사람이 많네, 이런 정도로만 바라보면서 오지탐험에 대한 열망을 꿈꿀 때마다 우스워지곤 한다. 정말 바라는 것이 오지를 향한 여성이 아니라 현실을 탈피하고픈 욕망이라면 그속에서인들 기꺼이 산책하는 일이 이루어질 수는 있을런지 싶어서.

  한편으로 이 책이 산책의 욕구를 활활 타오르게 하기보다는 수그러지게 만들었다. 날이 추워서가 아니라 순간 ‘너무 머리가 아파서’. 자연학습 테스트처럼 이것을 다 알아야 하나 하는 생각을 들자 한숨부터 나왔던 까닭이다. 간사하고 모순에 가득찼다. 그러면서도 다약족과 함께 도보여행을, 그것이 생존의 방식이라고 하고 싶다고 생각한다. 아무것도 모르면 고난이고 누군가에겐 짐이 될 테인데도 다약족의 도움을 얻어서, 내가 가진 지식이 없더라도 누군가의 지식과 경험을 얻어서 그곳을 살아보고픈 욕구. 나같은 사람이 많아서 오지탐험, 정글의 법칙같은 프로가 장수를 누리고 있는 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