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의 북극곰...
우리의 남극 탐험기, 김근우, 나무옆의자, 2017-07-10.
http://www.ytn.co.kr/_ln/0104_201712261515210315
얼음 구멍 속으로 얼굴을 내민 물개를 보고 깜짝 놀라 넘어진 새끼곰이 너무 귀여워 눈여겨보다가 『우리의 남극 탐험기』를 떠올렸다. 책을 읽을 당시에는 흥미는 없었고 아쉬움이 많았기에 쉬이 잊고 넘겼는데, 극과 극은 통하는 건가.
곰을 부를 때면 늘 북극곰이라 부르듯 남극에는 곰이 살지 않고 대표적으로는 펭귄이 산다. 남극은 대륙이고 북극은 바다인데 곰이 바다 북극에서 살고 펭귄이 대륙에서 살고 있다는 게 오랫동안 그렇게 알아 왔으니 익숙할 뿐, 이상해라고 생각하니 더없이 이상하게 생각되기도 한다. 이 소설은 남극탐험기이지만 남극을 탐험하는 내용은 후반부에나 나온다. 전반부는 각각의 등장인물의 만남과 상황 등이 나오는데 사실, 주인공들의 남극탐험에 대한 개연성이 느껴지지 않는다. 더구나 남극을 탐험하러 가면서 만난 북극곰도. 놀란 북극곰을 보다가 떠올린 건 이것이었다. 그래 북극곰을 남극에서 만나다니. 뒤늦게 말이다.
대륙으로 둘러싸인 바다 북극이나 얼음으로 덮인 땅 남극이나 땅과 바다가 보이는 것이 아니라 얼음과 눈이 떠올려져 늘 추운 곳이라고만 생각해 오다가 새삼스럽게 남극과 북극의 차이를 세심하게 살펴보게 되었다. 남극탐험에 관한 이야기는 자주 들어봤어도 북극탐험에 관한 이야기는 들은 기억이 없다는 것도. 이누이트족, 에스키모인들이 살고 있어 탐험이라는 말이 적당하지 않을 지도 모르겠다만 이래저래 북극이든 남극이든 탐험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은근슬쩍 든다.
물론 소설속에서처럼 북극곰을 남극에서 만난다거나 하늘을 나는 펭귄을 만난다거나 그런 기대는 하지 않는다. 더더구나 말하는 곰과 펭귄에 대해서도. 극한의 지역을 탐험하며 발가락이 썩어 잘라낸 이야기도 나오지만 소설에서의 남극텀험기는 현실성있게 느껴지지 않는다. 그저 환상같고 장난같다. 오히려 이야기에서 현실성을 획득하고 나름 흥미로운 인물은 섀클턴 박사다. 미숙아로 태어나 망막병증으로 시력을 잃고 살아간 그가 겪는 일련의 일들은 남다르다. 상류층에 재력있는 집안에서 자랐지만 그것과 또한 시력을 이유로 겪는 멸시와 조롱들, 그럼에도 타고난 의지와 특별한 성향으로 어린나이에 박사가 되고 교수가 된다. 늘, 여러 사람들로부터 공격받고 그리고, 동성에 대한 박사의 사랑과 이별이야기가 더해진다.
병렬식으로 박사와 주인공 나의 이야기가 펼쳐지지만 그리하여 어느 한 지점에서 그들이 만나 남극탐험을 떠나지만 시종일관 왜 남극인지는 모르겠다. 그저 남극탐험을 떠났던 섀클턴 박사의 목소리가 이끌었다는 이유를 대기엔 부족하게 여겨졌다. 소설이니까 하면서도 너무 말이 안된다는 생각을 하면서 소설이 무엇인가, 내가 소설에서 기대하는 게 무언가를 생각했던 소설이 되었다.
소설의 주인공이 소설가라는 설정이 이 생각을 더하게 했다. 누구나 제 인생에 대해서는 아쉽고 안타까운 점이 있겠지만 주인공 ‘나’의 행동들은 치기어리게 보여서 공감이 덜했다. 이 주인공은 우연히 쓰게 된 글로 연이어 상을 받고 소설가가 되었지만 자신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내 스타일이란 게 별건 아니고 정신 나간 놈들이 등장해서 되는대로 사고를 치고 헛소리나 찍찍 내뱉는 것이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엉터리이고 헛소리로 일관하는 스타일이었다. 그래도 내게 문학상을 안겨준 심사위원들은 그런 스타일을 신인 작가의 패기라고 좋게 평가해주었고 독자들의 반응도 괜찮았다. 내 유일무이한 장점이었던 것인데 그게 망가져버린 것이다. 문학 비슷한 거라도 써보겠다는 생각에 초심을 잃고 진지하게 글을 쓰기 시작했더니 내 글은 무척 진지한 헛소리가 되고 말았다. 진지한 헛소리는 헛소리가 될 수 없었다. 재미도 없고 미학적 가치도 없는 쓰레기에 불과했다.
진지한 헛소리가 무언가에 대해서 생각하며. 적어도 이 소설을 읽고 나서 ‘진지한’은 못느꼈고 소설을 다 읽고 난 후 허무함이 밀려왔던 것만 기억에 남는데, 이렇게도 다시 소설을 떠올리는 일이 있다고 생각하니 아이러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