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한 이웃
이정명 지음 / 은행나무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하면 망한다

선한 이웃, 이정명, 은행나무, 2017-05-29.


  1987년의 6월이 있었지만 2016년의 12월을 겪어야 했다. 아직 2016년, 2017년은 끝나지 않았고 끝이라는 것도 어떤 식으로 결론날지 알 수 없다. 여전히 폭풍이다. 1987년 6월의 함성을 질렀던 이들은 2016년의 상황을 맞닥뜨릴지 알았을까. 그러니 모르는 것이다. 지금, 30년이라는 세월을 흘러서도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여전히 반복된 악의 고리를.

 『선한 이웃』은 연극연출가를 중심으로 1980년대의 삶을 이야기한다. 연극처럼 꾸며지는 이야기가 연극처럼 느껴지지 않을 때, 30년전의 이야기가 전혀 30년전의 이야기로 느껴지지 않을 때 이야기가 갖는 힘은 폭발한다. 무대에 올린 연극을 준비하는 등장인물들처럼 소설속 등장인물들은 하나같이 자신이 맡은 배역에 충실한 삶을 살기 위해 애쓴다. 어떤 식으로든 주어진 일에 호기심을 넘어선 사명감을 투영하며 움직이는 이들이 있다는 것은 나치시대에도 그랬듯이 아이러니하다. 비극이다.


하지 말아야 할 일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야 할 일을 하지 않는 것 역시 죄라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을 테니까. 세상을 지옥으로 만드는 건 살인자나 테러리스트 같은 악한이 아니라 자기 일에 최선을 다하는 선한 이웃들이다. 인간은 죽어서 지옥에 가는 것이 아니라 살아 있는 동안 지옥을 만드는 것이다. 그는 고해성사를 하는 죄인처럼 말했다.


  운동권은, 특히 7, 80년대에는 지식인이자 삶의 정의를 고뇌하는 철학자이자 세상을 구원하는 세력으로 여겨지고 그렇게 활동했다. 지금의 운동권이란 말은 오랜 동안의 프레임인지 지식인이라는 말보다는 특정집단을 비하하는 말로 다소 조심스럽게 여겨지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여전히 30년 전의 운동권이 가진 시대를 고민하는 사색과 행동력은 놀라우리만치 특별한 존재로 여겨진다. 소설 속 영웅으로 등장한 최민석처럼.

  소설속에서 드러나는 등장인물들은 몇되지 않는데도 이야기의 스케일이 거대하다고 느껴진다. 권력이라는 것이 중심에 있으면 그렇게 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운동권을 결집시키는 운동가이자 시민들의 영웅으로 칭송받는 얼굴없는 운동가 최민석과 정보부 수뇌부의 요원으로 최민석을 쫓는 엘리트 김기준의 대립을 기본으로 이야기는 펼쳐진다. 1차전은 최민석의 승리다. 최민석을 검거하지 못한 김기준과 팀은 해체되고 김기준은 좌천되기까지 한다.


‘로마는 한 사람의 권위 아래 무릎을 꿇을 것인가?’

Shall Rome stand under one man's awe?

그는 ‘awe'라는 단어에 주목했다. ’경외‘로 번역되는 그 단어는 공경과 두려움이라는 상반된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모든 권력이 존경과 공포의 두 가지 속성을 동시에 지녔다는 점에서 다분히 정치적인 함의를 지닌 단어이기도 했다. 두려움은 지배를 용이하게 하고 체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토록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 존경을 얻지 못하거나 혹은 일시적으로 얻었던 존경을 철회당한 지배자들은 어김없이 공포를 행사해왔다. 대본 집필 당시, 태주는 그 단어를 로마인들의 칭송을 받는 시저의 정치적 ’권위‘로 해석했다. 그러나 그 대사가 브루터스의 입에서 나왔다는 점을 생각하면 정반대의 의미로 해석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동조와 협력을 이끌어내는 정치적 권위가 아니라 복종과 굴욕을 강요하는 공포, 즉 ’독재‘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어쩌면 삶은 철저한 계획, 시나리오를 짠 이후에 실행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김기준과 최민석의 대립 사이에 연극연출가 이태주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이태주가 무대에 올린 <줄리어스 시저>의 대사 한줄이 문제가 되어 연극 상영이 중단되고 관련자들이 구속된다. 그런데 이태주는 보름만에 방면되었고 극단계에 변절자라 낙인찍히게 된다. 재기를 위해 이태주는 또다른 연극 <엘렉트라의 변명>을 준비한다. 그리고 이 연극에 삼류배우 인생으로 살던 김진아가 캐스팅된다. 재기를 위해 이태주가 열심히 연극을 준비하듯 좌천된 김기준 역시 최민석을 검거하기 위해 보다 더 철저한 검거작전을 위한 시나리오를 준비한다.

  김기준이 최민석을 검거하게 될까. 최민석은 이태주인가. 이태주는 자신이 준비한 연극을 무대에 올릴 수 있을까. 이것은 이야기를 따라 가며 사소하게 느끼는 궁금증이었다. 독재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이 전형적으로 느껴지다가 문득 한 지점에서 내가 크게 간과한 것이 있음을 알았다.

 오래도록 권력을 잡기 위한 권력층의 행동들은 선이 아니라 악이라는 당연한 생각을 떠나서 그들의 행동 하나하나, 말 하나하나가 너무도 유치하다고 늘 생각해왔다는 점이다. 유치찬란하고 너무도 뻔히 보이는 그릇됨이기에 일견 코믹스럽게도 바라봤다는 것이다. 그래서 늘 그들은 권력욕을 가진 허영덩어리이자 옮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하는 정도의 지적수준과 사고를 가졌다고 말이다. 생각해보면 그들 역시도 그 시대에서든 이 시대에서든 재력과 권력과 학력을 지닌 자들이라는 사실을 자꾸 잊어먹고 있었다. 그들이 실제적으로 드러낸 말과 행동 때문에 너무 수준을 낮게 보았거나 의도적으로 그렇게라도 그들을 무시하려 애썼는지 모르겠다.


지금 기준이 할 수 있는 행동은 기껏해야 말도 안 된다는 말을 거듭하는 것밖에 없었다. 관리관은 잠시 턱을 불끈거리더니 냉랭하게 대꾸했다. “인간은 무언가에 사로잡히기를 원하는 존재야. 예수, 마르크스, 모택동, 무슨 주의니 무슨 주의니 하는 이념들, 하다못해 엉터리 점쟁이까지. 앎으로써 믿게 되는 진실이 있는가 하면 믿는 대로 알게 되는 진실도 있다는 거지. 그러니 중요한 건 진실이 아니라 진실이라고 믿게 만드는 거야.


  막나감이 권력과 합쳐졌을 때 가지는 파괴력을 새삼스럽게 느끼며 소설속 관리관에게 뒤통수를 맞은 나는 다시 한번 기존에 가졌던 생각들 때문에 어질하다. 사과하나를 더 먹기 위해 어떻게 사과를 베어무는 양과 사과를 씹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과 같이 권력과 야망을 위한 본능적인 시나리오를 아는 자들을 너무 쉽게 유치하고 한심하다고만 생각했다. 그런 생각에 빠져서 그들의 시나리오조차도 한심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 시나리오로도 무대를 올릴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음을 간과했다. 그리고 그것이 전 상영관을 꽉 채우면 볼 것은 그것뿐이 없게 되리라는 것도. 시나리오가 뭐 별건가. 프레임이란 말로도 대체가 가능할 거다. 얼마든지 정교한 시나리오를 짜고 그에 맞는 배역들을 섭외할 힘을 가지고 있음을 명확히 인식하고 실감해야 할 듯하다. 지금 역시도 관리관은 새 판을 짜고 있다. 쉽게 무시하고 간과하다가는 열심히 일하고 살아감에도 불구하고, 당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6-18 08:4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