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쁜 페미니스트 - 불편하고 두려워서 페미니스트라고 말하지 못하는 당신에게
록산 게이 지음, 노지양 옮김 / 사이행성 / 201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내 삶의 문제
나쁜 페미니스트-불편하고 두려워서 페미니스트라고 말하지 못하는 당신에게
최근 상당히 의아함을 자아내는 두 일을 언론을 통해 접했다. 갑작스레 페미니스트라는 단어가 실시간에 올랐다. 사람들이 이 단어의 뜻을 모르기 때문에 검색하는 걸까 궁금하기도 했다. 누군가 관련된 발언을 했다고 생각하긴 했지만 페미니즘과 페미니스트라는 단어에 대한 명확한 의미를 얼마만큼 알까. 이때의 단어는 사전상의 의미일까, 인터넷에 회자되며 부정적 의미를 가득 담은 의미일까. 이런 궁금증이 페미니즘이 이슈가 될 때마다 궁금해졌다.
실시간 검색어는 한 연예인이 자신이 페미니스트라고 주장한 일과 관계가 있다. 누군가의 페미니스트 선언이 놀랄 일인가 싶기도 하지만 ‘뜬금없는’ 선언이란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그가 대마초를 피웠다는 것은 이 선언에서 중요한 요인은 아니라고 보았기에 나름 대단한 걸이란 생각도 했다. 페미니스트라는 단어를 어떻게 사용하는가 그 사람의 언어가 궁금해졌다. 그런데 담배피는 사진을 올리며 페미니스트 선언을 했기에 그 이유와 연관성에 의아할 수밖에 없었다. “하고 싶은 말을 다해야 하는 성격”이라며 자신으로 인해 “페미니스트임을 당당히 밝히는 여자들이 많았으면 좋겠다”라는 말에선 사실, 경악했다. 논란이 일자 “'여성스럽게 입는다”, “남성적이게 운전을 한다”라는 말을 한 것과 페미니스트 발언에 대해 경솔하다고 사과를 했다고 하는데, 적어도 페미니즘에서 여성성과 남성성을 주창하지 않는다는 것만 봐도 그의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은 확실히 부족함이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두 번째는 요즘 한창 떠들썩한 김광석 부인의 발언이다. “이런 나라에요? 여자를 보호하지 않는 나라입니까?” 흔히 여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대표가 되는 말 중 하나가 바로 저런 ‘불리할 때만 여자냐’라는 말이다. 문제의 본질에서 벗어난 저 발언에 또한 경악했다.
여성이며 페미니즘에 일정 부분 동의하면서도 페미니스트라 ‘당당히’ 말하지 못하는 나로선 이로 인해 생겨날 페미니스트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염려했다. 내가 페미니스트라고 말하지 못하는 것은 인식의 문제이거나 타인의 시선을 의식해서가 아니라 오로지 행동력, 실천력과 관계된다. 페미니즘 또한 하나의 운동이기에 이를 위한 직접적인 행동을 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비롯된 것이다. 길을 가다 쓰러진 사람을 봤을 때 ‘저 사람을 일으켜 줘야 할 텐데’라고 생각은 했지만 행동하지 못했다면 ‘길가다 다친 사람을 도와줬어’라고 말하지 못하는 이유와 같다. 적어도 내 부족을 자각하기 때문에 ‘못하는’ 것이다. 때론 소극적 저항에 머물며 스스로의 인식전환에만 만족하는 건 아닌가, 생각하기도 한다. 그렇기에 록산 게이의 『나쁜 페미니스트』는 나와 같은 사람에겐 상당히 의미있는 생각을 하게끔 하는 책이 아닐까 한다. 그래서 한때 ‘나쁜’을 붙여볼까 생각하긴 했지만 그것도 뜬금없어 보이긴 할 것이고 어쩌면 “새삼스럽긴”이나 “당연한걸”이란 반응이 튀어나올 것도 같다.
나는 페미니즘을 되도록 단순하게 해석하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페미니즘이 어렵고 복잡한 개념이고 지금도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으며 빈틈도 많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나는 그저 이렇게 생각할 뿐이다. 페미니즘이 모든 것을 해결해 주지도 못하고 그렇게 하지도 않을 것이다. 다만 나는 여성과 남성의 동등한 권리를 믿는다. 여성에게는 자신의 몸을 지킬 자유가 있고 필요할 때는 복잡한 절차 없이 의료 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남녀가 같은 일을 했을 때 동일한 임금을 받아야 한다고 믿는다. 그러나 페미니즘은 선택이기도 하다. 어떤 여성이 페미니스트가 되고 싶지 않다면 그 역시 그녀의 권리이기에 존중한다. 하지만 그녀의 권리를 위해 싸우는 것 또한 나의 의무이며, 나라면 하지 않을 법한 선택을 하는 여성들을 지지하는 것이 페미니즘의 근본 원칙이라고 믿는다.
나도 페미니즘을 단순하게 해석하면 좋을 것을, 너무 이론에 매몰되어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하게 된다. 록산 게이의 글을 읽다 보면 페미니즘이 뭐 별건가 하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든다. 그만큼 부담감이나 거부감없이 이 책은 읽힌다. 저자 자신의 경험과 함께 서술되어 그의 경험을 함께 나누며 그가 말하는 것에 대해 공감하는 마음이 저절로 든다. 그리고, 재미있다. 대체로 페미니즘 관련 책들이 용어의 낯섦과 어려움이 가득하다는 걸 생각하면 몇 년 동안 폭발적으로 증가한 페미니즘 서적 중에서 이 책만큼 편안하게 다가오는 책이 있을까 싶기도 하다. 외국인의 저서인데도 말이다. 그런 점에서 페미니즘은 이론의 언어가 아니라 공감의 언어가 필요하지 않는가 생각하게 된다. 좀더 대중적이도록 운동으로 한정된 느낌이 들지 않는 그들만의 세계가 되지 않는 페미니즘이 필요하다.
십대 후반과 이십대에서는 페미니즘을 지지하면 매사에 일관적이고 논리정연한 사람으로만 살아야 할까봐 거부했던 것도 같다. 왜냐하면 죽었다 깨어나도 내가 그런 사람이 될 리가 없으니까. (…) 페미니즘이 어떤 대단한 사상이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의 성 평등임을 안 순간 페미니즘을 받아들이는 건 놀라울 정도로 쉬워졌다. 페미니즘은 우리 사이 교집합을 찾기 위해, 우리가 누구이고 어떻게 이 세상을 헤쳐 나가야 하는지 알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의 편이다.
얼마 전 지구촌 뉴스에서는 도로를 단속하던 경찰이 이유없이 흑인 여성을 세워 신분증을 요구하는 장면을 보도했다. 경찰은 조롱조의 태도로 일관하다 흑인 여성이 ‘검사’임을 보증하는 신분증을 받아들고 무척 당황해 허둥지둥했다. ‘흑인+여성’에 대한 차별을 보여주었는데 록산 게이 역시 흑인 여성이다. 그 역시 미국 사회에서 수없이 많은 차별과 편견을 겪고 있음을 토로하고 있다. 또한 대중문화에 나타난 다양하고 많은 여성혐오와 여성폭력 언어에 대해서도 지적한다. 여전히 많은 페미니스트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지만 페미니즘이 백인 여성 위주로 흘러가고 있음에 대해서도 지적한다.
록산 게이가 지적하듯 아직 페미니즘이 헤쳐 가야 할 길은 멀다. 또한 페미니즘 역시 생물로서 존재하기에 시대에 맞게 변화되어 가야 한다. 그리고 분명 함께 노력해야 할 일이다. 스스로 페미니스트라 불리기를 주저하거나 특정한 이가 페미니스트라 자처하는 것을 불편해 한다면 변화가 있을 수 있을까. 아니, 변화는 있겠으나 발전은 없겠다. 변화하되 발전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 필요하겠다. 록산 게이는 페미니스트라 불리는 것이 ‘인신공격’ 같았다 고백했다. 그리고 차츰 록산 게이가 알아간 세상에서 어쩌면 페미니스트가 될 수밖에 없는 삶을 경험해야 했다. 어쩜 필연적인 것 아니었을까 싶다.
“확실한 건 나는 여성이라는 이유로 개똥같은 취급을 당하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페미니즘과 페미니스트에 대한 자기만의 언어를 정립한 록산 게이는 이제, 스스로를 ‘나쁜 페미니스트’라 자처한다. 이때의 페미니스트는 페미니스트를 비난하는 이에 대항해 전혀 흠잡히지 않으려 스스로를 옥죄는 그런 페미니스트이지 않겠다는 말이 아닐까 한다. 어쩌면 주류로서의 페미니즘과는 다를 지라도, 그 실천방식에는 차이가 있을지라도 자신의 신념에 따라, 여성이기에 개똥같은 취급을 받지 않겠다는 전제에서 행동하겠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 말이 흑인 여성으로서 당해온 록산 게이의 경험을 생각나게 한다. 그렇기에 페미니스트가 된다는 것은 여성에게 인식의 문제이기보다 삶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