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자와 비판자


나는 왜 눈치를 보는가- 나를 발견하는 심리학, 가토 다이조저, 고즈윈.


  눈치를 본다는 건 흔히들 말하는 한가지만이 아니라 행동에 대한 여러 의미를 말해 준다. 나약하고 부족한 자아를 눈치의 표상으로 보통 얘기하지만 세심하고 배려심이 많다는 얘기일 수도 있다. 또한 눈치없다는 말은 타박으로 주로 사용되느니만큼 센스있음을 위한 전제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눈치를 본다’는 건 그리 유쾌한 상황과 느낌을 주지 않는다는 점은 확실하다.

  ‘나를 발견하는 심리학’이란 부제가 이 이야기의 중심이다. 발견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저자는 항상 불안하고 인간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위한 처방전처럼 이야기를 펼친다. 인간관계는 누구나 어려운 것이며 그 이유에 대해 찾고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저자는 불안과 인간관계의 어려움은 ‘유아적 의존욕구’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렇기에 그 해결책은 내재된 의존욕구를 파악하며 자신과 자신의 삶의 태도에 대해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어쩌면 자주 모든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하는 나를 사랑하는 일, 그것이 모든 문제의 해결방안이라면 결국 나를 사랑하는 일은 나를 잘 아는 데서 시작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60개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있다.

  가령, 작은 일에도 상처를 받는 것이나 타인에게 헌신적으로 대하려고 하는 사람은 자존감이 낮기 때문이다. 가까운 사람이 하는 말이 ‘불만투성이’로 느껴진다면 그것은 어리광을 부리고 싶은 유아적 욕구를 억누르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살아가면서 부닥치는 많은 애로사항은 결국 내면아이의 문제로 귀결되는 것이다. 프로이트와 융의 심리학의 일정 부분들이 이 책을 지탱하는 기본이다.

  결국 유아기 때 제대로 충족되지 못한 욕구들이 성인이 되어서 ‘자아’를 뚫고 나와서 나를 지배하고 있다는 것인데, 심술궂고 미성숙한 어린 나의 모습들이 지금 불완전한 생각들 때문에 힘겨워하는 나의 모습을 만들어 내고 있다는 것을 거듭 말한다. 얼핏 인지는 하면서도 실제 생활을 하면서는 늘 까먹게 되는 마음속 깊은 유아적 의존 행동들. 뒤돌아서는 후회하고 답답해하면서도 사실, 쉽게 그 마음에서 벗어나기는 쉽지 않다. 이런 심리학책을 백번 읽은들 머릿속에서는 알고 있지만 마음에서 아이가 튀어나와 버리는 일이 빠를 때도 있으니까. 어쩌면 더 깊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진정 떨쳐내지 못했을 지 모를 일이고. 인간의 마음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이해자와 비판자가 순서를 무시해서일지도. 이해자와 비판자가 적절하게 나오기를 바란다면, 그것은 나의 마음속을 잘, 들여다보고 알아가는 일이라는 것은 변할 수 없는 핵심요소이다.


심리학자 필립 짐바르도는 ‘부끄럼을 잘 타는 사람은 자신에 대한 최악의 비평가’라고 말한 바 있다. 인간의 마음이 성장하는 데는 순서가 있다. 자상한 이해자가 존재하고 그 다음 단계에서 비판자가 등장하는 것은 별 문제가 안 된다. 그러나 자상한 이해자가 없는 상태에서 갑자기 비판자를 만나게 되면 마음이 파괴되고 만다. 이렇게 되면 자기 자신에 대해 자신감을 잃게 되고 스스로를 비판하게 되어 모든 일에 지나치게 부끄럼을 타게 된다.


  이런 저런 상황에 대해 심리학적 접근은 항상 재미있다. 이 책 역시 쉽고 간편하게 설명하고 있다. 미용실에 가득한 잡지에서 자주 보는 심리학테스트 같은 느낌이 들어서인지 사실, 인생의 중요한 문제들을 일깨우고 생각하게 만드는 내용들인데도 가볍게 여겨지고 가뿐하게 읽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