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의 글쓰기 - 고민이 시작된 딸에게 건네는 엄마의 손편지
김정은 지음 / 휴머니스트 / 2017년 7월
평점 :
흐린 가을 하늘에 편지를 써
엄마의 글쓰기 - 고민이 시작된 딸에게 건네는 엄마의 손편지, 김정은, 휴머니스트, 2017-07-03.
명확히 하자. 이 책은 엄마가 아이에게 ‘글쓰기’를 가르치는 책이 아니다. 자라나는 아이에 맞는 적절한 글쓰기 교육서가 아니라, 실제 엄마의 글쓰기 이야기다. ‘엄마’란 누구일까. 여기서 ‘엄마’는 두 아이의 엄마인 저자 자신을 가리키겠지만, 또한 저자 자신과 저자의 엄마 그렇게 두 엄마의 존재라는 생각도 든다.
엄마인 저자는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겪게 되는 혼란을 이미 ‘거쳐온’ 경험자임에도 아이들이 물어오는 질문에 당황하고 아이들이 겪는 혼란에 적절하게 해줄 말을 찾지 못해 힘겨워하며 서로 간의 오해가 원망이 되어 갈등을 빚게 된다. 학교가기 싫다 하고, 자존감을 상실해 주눅들어 있고, 미래 직업에 대해 고민하고, 친구와의 사귐에 어려워하고, 성경험을 물어오고, 세장 진지한 질문을 하고, 마냥 엄마를 원망할 때… 저자는 아이들이 맞닥뜨리는 필연적인 혼란들에 안쓰러워한다. 또한 초보엄마인 자신의 역할을 탓하며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힘겨워한다. 그러면서 두 아이의 엄마인 저자는 자신의 ‘엄마’를 떠올린다. 저자의 어린 시절을 떠올린다. 학교에 들어갔을 때, 사춘기일 때, 이차성징을 겪을 때, 엄마와 갈등을 빚을 때, 그런 일상의 나날들에 엄마는 저자에게 어떻게 해주었던가.
그때 저자의 엄마는 도시락에 손편지를 넣어 두었다. 엄마의 손편지를 떠올리며 저자 또한 마주보고 하기 힘든, 그러나 전해주고 싶은 말과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손편지로 전달하기로 한다.
엄마의 편지를 받으며 아이들은 궁금했던 것에 대해 해답을 얻고 상처받고 화난 상황에서 엄마의 이야기를 들으며 마음을 다잡는다. 물론 저자도 아이들의 생각과 마음에 대해 더욱 잘 알게 된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그렇게 아이들에게 편지를 전해주는 과정에서 저자 역시 한발자욱 성장해 나간다. 자신의 마음속에 마냥 묻혀 있던 어린날의 상처들, 엄마에게 품었던 섭섭함과 이해하지 못할 엄마의 행동들을 다시, 엄마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기도 하고 마음으로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며 아이들에게 들려줄 더욱 좋은 이야기와 고민해결방법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된다. 그 방법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반성에서 이어지기도 하고 경험에서 얻은 문제점을 고려하면서 나타나며, 명확하게 가치관을 정립하는 과정으로 나아간다.
결국 이 엄마의 글쓰기는 아이들의 질문에서 아이들과의 생활에서 아이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아이들이 생활해 가는 동안의 지침, 가치관으로 삼았으면 좋을 방법들을 건의하는 것이다. 하지만 또한 그렇게 살아가리라 다짐하는 저자의 외침이기도 하다. 표면적으로는 ‘아이’의 성장을 돕는 엄마의 이야기일지 모르지만, 결과적으로는 엄마의 내면의 성장기가 이 책이 아닐까 한다.
엄마는 아이들에게는 아이들에게 맞는 언어로 편지를 쓰며 엄마의 생각을 전한다. 하지만 다시 자신의 언어로 아이들에게 들려준 이야기를 재정리한다. 그것은 과거와의 화해이기도 하고 현재에 대한 파이팅이기도 하며 보다 나은 미래를 아이들과 함께 하고픈 희망의 목소리이기도 하다. 그래서 어쩌면 아이들에게 띄운 편지보다 내면의 욕망을 잘 정립한 저자의 ‘일기장’이 눈에 간다.
아이들에게 모든 최고의 것을 해주고픈 우리네 엄마들. 과거 극도로 가난한 나라의 상황과 비교해보면 보면 물질적으로는 풍요로움을 안겨주고 있기도 하다. 개별적이고 상대적이긴 하지만 이전 세대에 비해 풍족한 물자의 혜택을 받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다만,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물려받는 경험은 덜한 이 세대가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전달해주는데 익숙하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이 책은 아이들에게 건강한 가치를 전달해주기 위한 ‘엄마’ 자신의 건강한 가치관을 정립하는 과정으로 읽혀진다. 내 마음속에 각인된 ‘내면아이’를 끄집어내고 치유해야만 흔들림없는 이야기들을 아이들에게 들려줄 수 있지 않을까.
아이와 저자와 저자의 엄마, 이 3대가 함께 편지로 이어진 일상의 삶들이 일회적인 이벤트로 끝나지 않고 지속되어 온 기록을 보며 자연적으로 ‘글쓰기’가 갖는 힘을 알게 된다. 글쓰기 방법에 대해서 얘기하지 않지만 ‘글쓰기’를 얘기하고 있는 이 책은 엄마와 아이들의 사랑과 이해의 연결고리를 지난 추억과 현재와 미래의 삶에 대한 의지와 가치관의 연결고리를 정리해주는 소중하고 아름다운 도구가 된다.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인데도 불구하고 왜 김광석의 노래가 떠오를까. 엄마가 다시 쓰는 일기 때문일까. “나를 둘러싸는 시간의 숨결이 떨쳐질까 / 내가 간직하는 서글픈 상념이 잊혀질까 / 내가 알고 있는 허위의 길들이 잊혀질까 / 잊혀져 간 꿈들을 다시 만나고파”
엄마가 다시 쓰는 일기장 속에서 아련한 상념을 맞닥뜨리며 아이들의 성장을 위해 고민하고 생각하며 전해주는 엄마의 글쓰기도 필요하지만, 나 자신의 상념과 꿈을 기록하는 나만의 글쓰기도 필요함을 깨닫는다. 저자 역시 자신의 엄마에게 글을 쓰기를 권한다. 두 아이의 엄마가 된 지금에도 엄마로부터 손편지를 받는 저자이니만큼, 이 이야기의 시작이 자신이 엄마에게 받았던 편지로부터 기인한 만큼 ‘엄마가 다시 쓰는 글’이란 느낌은 아련함을 동반한다. 이 세상의 엄마는, 엄마이기도 하지만 엄마 이전에 ‘나’이기도 하다.
『가족에게 권하는 인문학』 · 『엄마의 글쓰기』
김정은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