챈들리스크
레이먼드 챈들러 - 밀고자 외 8편, 레이먼드 챈들러, 현대문학, 2016-04-08.
새정부 들어 공인탐정제에 대한 논의가 있다. 탐정은 어린 시절부터 읽은 셜록 홈스 덕분에 익숙하고 열광적인 직업으로 여겨진다. 아니, 직업으로서의 탐정을 생각해보진 않았기에 왠지 로망이 현실가 맞물려 어떤 형태가 될지 궁금해지긴 한다. 실제 존재한다면, 실생활에서 적용한다고 생각하면 소설 속에서 보던 그 낭만적인 느낌은 아닐 거라는 생각이 든다. 사실 ‘탐정’의 형태가 흥신소의 고급 버전이니까. 흥신소가 갖는 그 불법적이고 불쾌하고 음침한 이미지가 ‘탐정’에 드리워질까 염려되는 점이 있다. 그래도 나날이 범죄가 증가하고 CCTV 보관기일의 한계로 단서를 놓치는 경우도 많으니 이 제도가 도입이 된다면, 어떤 형태로든 범죄수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물론 단점도 있을 테고 그 장단점이 잘 맞물려 해결되기를 희망할 뿐이다.
범죄가 증가하는 것은 싫지만 범인을 잡고 사건의 해결하는 과정을 들여다보는 것은 분명 짜릿함 쾌감이 있다. 탐정소설, 추리와 미스터리 소설이 인기있는 이유일 것이다.
레이먼드 챈들러는 이 탐정소설을 ‘문학’으로 이끈 작가로 유명하다. 또한 헤밍웨이체로 유명한 ‘하드보일드’를 장르화시킨 장본인이자 여타의 작가들-무라카미 하루키, 로스 맥도널드, 마이클 코넬리, 하라 료-이 그의 영향을 받았음을 얘기하고 있다. 1930~40년대의 미국의 분위기를 흠씬 드러내는 레이먼드 챈들러의 작품은 영화계에서도 크게 호응해서 그의 작품은 영화화된 것이 많다. 그리고 그가 남긴 것이 바로 탐정 필립 말로이다. 유명한 캐릭터를 창조한 것이다.
“하드보일드.” 이 말의 본뜻은 삶은 계란을 의미한다. 그러니까 푸욱 삶은 계란이다. 반숙이 아닌 완숙으로 팍팍하고 물기 없는 건조한 계란을 가리키는데 이 말이 소설과 영화로 넘어가면서 새로운 의미가 더해졌다. 바로 건조한 문체다. 수식이나 감정은 배제한 사실주의적인 표현을 쓰는 걸 가리킨다. 폭력의 잔인성 때문일까, 폭력적이니 주제에 주로 사용되어 오히려 더 공포감을 배가시키기도 한다. 당연, 탐정소설에서 자주 볼 수 있고 레이먼드 챈들러가 이런 스타일로 탐정소설을 가볍게 읽고 넘기는 글이 아니라, 문학적인 경지로까지 이끌었다고.
작가의 생애 또한 흥미롭다. 1932년 대공황으로 일자리를 잃고 대중소설 잡지를 읽으며 지내다가 소설을 쓰고 마흔이 넘어서 작가로 데뷔한다. 하지만 대공황 이전에도 그는 특별히 ‘일’에 대한 애착이 있었던 것 같진 않다. 공무원 시험에 합격했지만 6개월만에 그만두고 몇 번의 일자리를 얻었지만 그때마도 불성실한 근무태도를 보였다. 전쟁에 참전하였고 18세 연상의 여인과 연애를 했고 어머니의 반대로 어머니의 사망 후에 결혼했다. 다른 여성들과의 염문 이야기도 흘러나오는데 아내의 죽음 이후에는 과음과 우울증으로 자살을 시도하기도 하고 건강악화로 입퇴원을 반복했다. 그가 사망하던 해엔 비서에게 병원에서 청혼했다고 한다. 70평생의 그의 삶을 보건대, 어쨌든 자유로운 영혼이었다고 느껴진다.
고전적인 느낌이 드는 그의 소설은 탐정소설임에도 그 건조한 문체에도 불구하고 낭만성이 풍긴다. 시대적인 분위기가 가미되어서 그런가 싶기도 하지만 확실히 ‘흥신소’에 일을 맡긴 것이 아니라 고급 탐정에게 일을 맡긴 기분이 든다. 잔인하고 악랄한 느낌보다 쓸쓸한 느낌이 먼저 다가온다. 어쩌면 사건보다 인물, 탐정 필립 말로에 중점이 두어지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그날 밤 사막바람이 불었다. 고온 건조한 샌타애나의 전형적인 열풍이었다. 이 바람이 산 고개를 넘어 내려오면 머리카락이 곱슬곱슬 말리고 피부가 가려워지고 괜히 초조해진다. 그런 밤이면 어느 술판이든 한바탕 싸움으로 끝난다. 유순하고 가냘픈 아낙네들은 식칼의 날을 만지며 남편의 목을 노려본다. 어떤 일이든 가능하다. 칵테일 바에서 거나하게 맥주를 걸칠 수도 있다.
사건이 있었고 문제가 발생했고 그것을 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확실히 ‘사건’보다 저런 묘사가 기억에 남는다. 소설을 읽는다는 것은 이야기, 스토리를 이해하며 쫓는 과정이기도 하지만 표현방식에도 눈길을 주고 있다는 걸 다시금 알았다. ‘챈들리스크Chandleresque’라 불리는 작가의 문체가 갖는 힘일 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