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호를 보았다


할머니는 죽지 않는다, 공지영, 해냄, 2017-04-03.


  작가가 13년 만에 펴내는 단편소설 모음집이라고 하는데 수록된 다섯편의 글을 보면서 소설과 수필 사이에서 갸우뚱했다. 마지막 수록된 「맨발로 글목을 돌다」는 2011년도 이상문학상 수상작일 때 읽었던 것이라 단편소설상을 받은 만큼, 소설로 생각하지만 사실 그때도 수필 느낌을 더 받았다. 「할머니는 죽지 않는다」외에는 대체로 수필로 느껴졌는데 그건 특히 작가 자신의 이야기라 여겨지는 내용과 작가의 등장 때문일 듯하다. 장르가 글을 읽는데 어떤 영향이 있느냐 할지 모르겠지만 꼬집어 말할 순 없어도 읽을 때의 느낌이나 방법에서 나름 차이가 있다고 여겨진다. 상상의 면에서도 다르다고 해야 할까. 어쨌든 글은 상당히 속도감 있게 읽혔다. 수록된 단편이 적은 분량이긴 했지만 산문집을 보는 듯한 편집의 영향도 있었다.

 「할머니는 죽지 않는다」의 출간 소식을 들었을 땐 고령화시대의 노인들의 연륜을 긍정적으로 이야기하거나 탄핵 사건을 계기로 노인세대에 대한 비판의 이야기일 거라고 생각했다. 작가의 성향을 보건대 후자쪽으로 더 기울었다. 막상 읽어보니, 이 장르를 뭐라고 해야 할까.

 

할머니는 현대 과학을 다 동원해 의사가 예측한 대로 일 주일이 지나고 한 달이 지나도 돌아가시지 않았던 것이다. 할머니는 숯덩이 같은 빛깔의 얼굴로 숨을 몰아쉴 뿐이었다. 할머니의 숨소리는 정신 나간 거위가 꽥꽥거리는 것처럼 커서 가끔 할머니의 용태를 확인하러 집에 들르던 친척들은 할머니 방에 얼씬하지 않고도 거실에서 느긋하게 햄과 치즈 그리고 연어 따위를 안주삼아 위스키를 마시면서 골프 이야기를 했다. 할머니에 대해서 말하는 것이라곤 아마 “저 양반 참 오래 버티시네…… 당신을 위해서라도 이제 고만 가셔야지.”라고 모든 것이 할머니를 위한 생각이라는 듯, 스스로를 매우 선량하게 여기는 얼굴로 말했던 것뿐이었다.


  가진 것은 돈밖에 없는 할머니의 죽음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어쩌면 기다리고 있을 때 할머니는 당신 자신의 자식을, 며느리의 죽음을 겪고 생생하게 살아난다. 이후에도 할머니의 마지막 순간이 왔다고 기다리면 어김없이 다음날 할머니는 생생한 모습으로 살아났고 그 대신 다른 생물들이 어김없이 죽었다. 생생한 몸을 일으키며 미음을, 밥을, 갈비를 뜯어먹는 할머니에게 ‘나’는 경악하지만 ‘나’가 목격한 것은 할머니의 죽음의 순간 강렬하게 내뿜는 할머니의 기운이었다. 그리고 ‘나’는 자신을 옭아매려던 기운에 소리쳐 반항하며 빠져나왔다. 여전히 할머니는 죽을 때가 되었다가 다른 생명의 죽음과 함께 생생히 살아나 밥을, 갈비를 먹고 있다.

  오래도록 병을 앓은 채 이제 죽음이란 문턱에 있던 노쇠한 할머니가 어느날 갑자기 생생해지는 모습은, 그 사이에 ‘다른 것이 (대신) 죽었다’가 삽입된 상황을 맞닥뜨리며 할머니에게서 구미호를 겹쳐보이게 한다. 매일밤 가축들을 잡아먹으며 아침이면 인간의 얼굴을 들이밀었을 구미호. 인간이든 동물이든 다른 것을 죽여 일상을 살아가는 에너지를 얻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오래도록 당연한 것으로 용인되었고 생명의 본질로 여겨졌다. 용인된 것과 용인되지 않은 것의 차이, 어떤 것이든 이 문명화된 사회에서 항상 문제는 그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불쑥 든다.

  오래전 구미호를 보며, 읽으며 구미호에게 연민을 느꼈던가. 인간이 되고자 하나 하루를 착각해 결국 인간이 되지 못한 구미호에게 안타까움을 느꼈던가. 기껏해야 사람을 잡아먹는 여우가 인간이 되고자 하는 발버둥을 가소롭게 여겼던가. 여우가 인간이 됨을 타당하지 않다 여겼던가. 글쎄, 확실히 어린 날엔 전설의 고향 속 구미호가 무서워보기인 했을 지라도 결국 눈물 흘리며 바라는 바를 이루지 못한 구미호에게 마냥 안타까워했다. 지금은, 어떤가.


내가 아는 것은 그 힘이 분명 할머니에게서 왔다는 것뿐이었다. 내가 알 수 있는 것은 그것뿐이었다. 그 힘은, 그렇게까지 목숨 바쳐 자신만 생각하는 사람에게서, 가여운 사람을 가엾게 여기지 못하는 사람에게서, 가난해서 마음을 굽혔던 것도 사람의 영혼을 상하게 하는 일이지만 힘으로 남의 것을 빼앗는 일도 사실은 자신의 영혼을 상하게 하는 일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에게서,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 꼭 남을 해칠 필요는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는 것을 믿지 않는 그런 사람에게서 나오는 힘이라는 것을……

  

  할머니가 죽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했다. 죽지 않는가, 죽지 못하는가를 생각할 때 무의식중에 쏟아 나오는 기운을 보건대는 분명 죽지 않는 것이다. 그 기운이 여전한 탐욕과 욕망이라 말한다면 자신보다 약한 생명들을 죽임으로써 살아나는 할머니의 생에 대한 욕구는 타당하지 않은 듯 보인다.

  그러다가 할머니가 강자인가라는 질문을 했다. 할머니 대신 죽은 생물들은 약자라는 이 프레임은 어디서 기인하는가. 고양이가, 진돗개가, 까치가 그렇다고 치다. 할머니의 아들이, 며느리가 약자인가? 대체로 우리는 노인들을 사회적 약자로 간주한다. 그래, 분명 할머니는 사회적 약자다. 더구나 할머니는 병들었다. 이보다 더 약자인 경우가 어디 있는가. 그런데도 왜 할머니를 약자라 하지 않는가. 오로지 할머니가 가진 게 ‘돈’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우리는 ‘돈’만 가지면 그저 세상의 강자로 바라보는구나. 이 서글프고 씁쓸한 깨달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