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작은 책은 언제나 나보다 크다
줌파 라히리 지음, 이승수 옮김 / 마음산책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완전한 열망


이 작은 책은 언제나 나보다 크다, 줌파 라히리, 마음산책, 2015.


  줌파 라히리의 소설은 읽고 싶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 그런 작가의 첫 번째 산문집이다. 풍경화같은 표지가 고요하고 여유로운 느낌과 약간의 쓸쓸함도 깃든 듯한데, 제목으로서는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없지만 또한 대체로 산문집이란 가까이 있는 것에 대해 보고 느낀 것들을 다루기에, 소설적 상상력이 아닌 일상의 줌파 라히리의 생각을 맛볼 수 있는 책이려니 한다.

  한마디로 하면, 이 책은 작가가 새로운 언어, 이탈리아어를 배우는 과정의 이야기다. 그 과정은 집안에 들어 앉아서 마냥 책을 달달달 외우는 것과는 한참 거리가 멀었고 기간 또한 길었다. 아마도 이 산문집의 묘미는 작가가 이탈리아어로 이 산문을 썼다는 데 있을 것이다. 산문이라서인지 소설에서 보던 것과는 다른 문장의 맛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탈리아어로 썼기 때문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이탈리아어를 안다면 잘 느낄 수 있었겠지만 아쉽게도 번역본으로 마주해야 하는, 이 언어의 벽. 그래서 작가처럼 이렇게 모국어가 아닌 언어를 배우고 싶다는 갈망이 강하게 든다. 아직 번역되지 않은 책을 읽고 싶을 때, 번역된 책이 매끄럽다고 느껴지지 않을 때면 늘 원서를 직접 읽어야겠다 생각하면서도 다음날이면 실천할 의지를 잊어버린다. 그저 세상엔 너무나 많은 나라가 있고, 그만큼 다양한 언어가 있기에라며 효율성을 생각하며 늘 번역인들에게 감사할 뿐이다.

  작가는 왜 이탈리아어를 배울 생각을 했을까. 외국어를 배울 생각을 한다는 것이 기이한 일은 아니다. 특히나 영어권 국가에서 몇 개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다반사이니까. 작가는 언어를 배우기 위해 직접 로마로 향한다. 이탈리아 친구도 없다는 작가의 이 이탈리아어에 대한 갈망. 그것은 20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잠시의 방문으로 스치듯 강렬하게 자리잡은 이탈리아어를 공부하던 작가는 마침내 가족과 함께 로마로 이주하여 본격적으로 이탈리아어를 공부한다.

  그것은 이탈리아어에 대한 갈망 이전에 작가로서의 자의식이 주요한 이유가 된다. 줌파 라히리는 “창작에서의 안정감이 위험하”기에 이탈리아어를 갈망하는 것이다. 이미 익숙하고 자유로운 영어가 아닌 변화와 새로운 표현을 위해 선택한 이탈리아. 작가는 영어로 된 책을 읽지 않고 이탈리아어로 된 책을 읽으며 생활한다. 작가로서의 열망이 내면에 깊이 자리하고 있는 이러한 모험은, 줌파 라히리에게 이탈리아어를 익히는 기쁨과 함께 새로운 변화에의 의지도 심어주는 것이다.

  줌파 라히리가 이 산문을 쓴 후 이탈리아에서는 문화와 민족과 인종 간 이해와 평화를 도모했다고 상을 건넸다. 그런데 네루다나 권터 그라스도 받았다 한다.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단지 외국어를 모국어로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외국어 자체를 습득하는 것이다. 그 언어의 사고체계를 습득하는 것이다. 또한 그 문화를 이해하는 길이기도 하다. 그런 면에서 이탈리아가 이 유명한 작가에게 이러한 상을 수여하는 것은 감사함일까. ‘새로운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구명대 없이 기슭을 떠나는 일’인 만큼 매우 절절한 의지가 필요한 일이니까.

  여전히 작가가 로마에서 살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로마에서 생활하는 이 여정은 마치 여행기처럼 느껴진다. 20년 전의 잠시의 방문처럼 가볍게 로마에 얹어져 있는 느낌이 드니까. 어떤 느낌일까. 주로 이민자 가정의 이야기를 다루었던 작가 자신이 이주민으로 생활하면서 느끼는 감정은.


어렸을 때부터 나는 내 말에만 속했다. 난 나라도, 확실한 문화도 없다. 난 글을 쓰지 않으면, 말로 일하지 않으면, 이 땅에 존재한다고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

말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리고 삶은? 결국 같은 것이리라. 말이 여러 측면과 색조를 갖고 있고 그래서 복합적인 특성을 갖고 있듯 사람도 인생도 마찬가지다. 언어는 거울, 중요한 은유다. 결국 말의 의미는 사람의 의미처럼 측정할 수 없고 형언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p75~76


  작가의 글쓰기. 그것은 작가 자신에게는 피난처이기도 하고 삶이기도 하다. 소설 속에서 보아오던 이민자의 정체성이 완전히 작가 자신의 감정을 벗어난 이야기는 아니었던 것이다. 물론, 이렇게 규정지어 얘기하는 것을 작가는 탐탁치않게 여기겠지만 인도인으로 미국에 살고 있다는 그 상황이 어릴 때부터 줌파 라히리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왔는지를 알듯한 느낌이었다.


 내 불완전을 잊기 위해, 삶의 배경으로 숨기 위해 어렸을 때부터 글을 써왔다. 어떤 의미에서 글쓰기는 불완전에 바치는 경의다. 사람처럼 책은 창작 기간에는 불완전하고 완성되지 않은 어떤 것이다. p94


  이 산문집은 줌파 라히리의 소설들이 그렇듯이 차분하고 고요하다. 언어를 배우는 일이 그저 ‘말’을 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기에 작가의 어린 날의 기억과 작가로서의 감정과 언어와 글쓰기에 대한 생각이 잔잔히 흘러나오는 산문집이다. 그래서 심심하다는 느낌도 들긴 하지만, 그것은 소설과 비교한 문장에서 느끼는 것이고 문장이 내포하고 있는 줌파 라히리의 생각은 여전히 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