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도의 시간


여름을 지나가다, 조해진, 문예중앙, 2015.


  덥다. 달력은 지금을 봄이라 말하고 날씨는 여름이라 말한다. 소나기가 그리워진다. 쩍쩍 갈라진 논을 보면서 여름 속에 들어섰음을 실감한다. 어느덧 여름하면 무더위가 더 생각나는 걸 보면 나잇살이 주는 땀의 무게가 너무 힘들었나 보다. 지난 여름은 너무, 너무 지친 여름이었다. 그래도 겨울엔 봄을, 여름을 기다렸으니 또한번 지나갈 여름을 맞이하는 마음은 아직은 덤덤하다.

  그래, 지나갈 여름이다. 어떠한 삶의 경험이든 여름을 견뎌내는 이들의 감정은 격랑이다. 그리고 그 여름을 지나면 격랑의 자욱들이 또렷이 보일 것이다. 여기 조해진의 <여름을 지나가다>는 그 여름 청춘들에게 남은 자욱들을 보여준다. 민과 수의 교차적 시점으로 서술되는 6, 7, 8월의 이야기가 그들이 함께 마주치는 여름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파산으로부터 머물 곳을 찾지 못한 민과 수의 이야기다. 민은 감정의, 수는 재산의 파산으로 인해 여름을 넘기기가 힘들어 여름을 넘길 공간을 찾는다. 그들 마음의 위안을 얻을 장소를 발견했다고 느낀 순간, 그 순간은 여름의 절정이었을까. 여름의 끝이었을까.

  민과 수가 마주친 공간의 주인은 누구라고 해야 할까. 급매로 내놓은 버려진 가구점. 그래서 현재 아무도 머물고 있지 않은 집. 그곳을 민과 수가 찾는다. 그리고 연주, 종우. 여름을 쳐다보는 그들의 얼굴들이 하나같이 닮았다. 민이 가구점 그 공간에서 들여다보는 거울 속의 모습처럼 말이다. 흐릿한.


  민은 자신이 살아 있다는 게 의심될 때마다 이곳으로 거울을 보러 왔다.

  흐릿한 거울 속에서 흐릿한 자신이 흐릿한 표정을 지어 보이면 흐릿한 생애가 상상됐다. 가령 일정 기간 살다가 미련 없이 죽고 그 죽음에서 빠져나온 뒤엔 아무것도 모르는 순진한 얼굴로 다시 태어나는, 그러니까 일생이란 개념으로는 규정될 수 없는 태어남과 죽음의 끊임없는 반복. 그런 식의 삶은 기차 같은 거라고 민은 생각했다. 수많은 칸들이 연결된 기차처럼 각기 다른 생애들이 길게 이어져 전체 삶을 완성하는 것이다. 어제의 눈물을 기억하지 않고 내일의 포부 따위 갖지 않는.


  불안정한 터전을 삶의 피난처로 삼으며 하루를 버틸만큼, 그들의 삶엔 어떠한 아픔이 가득한 걸까. 부동산중개소에서 일하며 가구점을 드나드는 민에겐 파혼의 아픔이 있다. 그리고 종우와의 파혼의 이유가 되는 노동자의 사망이 있다. 거기에서 민은 마냥 자유로울 수 없다. 아버지의 빚을 떠안으며 신용불량자인 채로 타인의 신분증으로 살고 있는 수. 곧 철거될 옥상 놀이공원에서 열심히, 아주 열심히 일하고 있는 연주. 그들 삶을 관통하고 있는 것은 삶의 힘겨움과 아픔이다.

  그들이 아픔을 이겨내는 방법은, 여름이 지나가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아니, 이 말은 어울리지 않는다. 그렇게도 보이지만 그냥 제 아픔속에 매몰되어 있는 것 같이 보이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같다. 수동적으로 여름을 피하고 있는 것은 아닌듯 보이는 그들의 여름.

  “한 발만 잘못 디디면 계획에도 없던 다른 종류의 삶으로 빨려 들어가는 허약한 지점들이 우리의 인생에는 생각보다 많이 숨겨져 있다는 것(p50)”을 알지만, 그럼에도 그들은 서로에게 발을 뻗어본다. 타인,인 그들을 미워하지 않고 위로하며 또한 위로 받으며 그렇게 발을 뻗는다. 민이 말하듯 발을 헛딛는 것쯤이야 두려울 게 무엇있으랴. 더는, 발을 뻗는 곳에 디딜 곳이 없는 것에 개의치 않을 것이다. 다만 발을 뻗지 않고 계속 그 상태로 머무는 것이 더욱 힘든 일이라는 것을 그 여름에 느끼기에, 지금 그 관성을 벗어날 수 있을까. 지금 머문 기차 한칸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그들이 발을 뻗을 수 있는 것은 그렇게 아픔을 가진 또다른 존재를 확인하기 때문이 아닐까. 그들이 뻗는 발을 그대로 받아줄 아픔을 서로 나누는 존재. 피난의 공간을 함께 한 그들의 존재. 결국 아픔은 사람에서 시작되고 사람으로부터 치유받는 모양이다. 민이 수를 돌보는 것이 진짜 삶인 듯, 더 이상 부끄럽지 않게 여기는 것처럼. 그 더운 여름을 지나가기 위해서는 서로가 필요했던 존재들. 또한 타인에 대한 끝없는 애도. 그 여름은 그런 애도의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