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의 통로


 유시민·정훈이, 표현의 기술

  


  내 생각과 감정을 글로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대한 질문을 많은 사람들이 하는 듯하다. 또 그만큼 글쓰기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기도 한 모양이다. 지속적으로 글쓰기에 관한 책이 출간되는 것을 보면. 아니면 베스트셀러 작가에게, 글을 잘 쓴다는 사람에게 가지는 본능적인 궁금증인 걸까. 표현의 자유인 듯 자유롭지 못한 현실에서 당당하게 하고픈 말을 할 수 있는 힘을 얻고자 하는 걸지도. 그것을 실천하고 있는 사람이기에 유시민의 ‘표현의 기술’은 정치인이라는 이력을 떠나 수많은 독자들의 관심을 얻는 것일 게다.

   많은 정치인들이 선거를 앞두고 자신의 경력을 위해 혹은 선거자금을 위해 출간기념회를 가진다. 알고 보면 대필한 글이고 별 내용없는 선거용 자서전을 남발하는 상황이 수두룩하다. 그에 반해 유시민에겐 ‘작가’로서 글에 기대하는 바가 있다는 것, 글에 진정성이 있다는 것, 글에 감성과 논리가 있다는 것이 그의 글이 가지는 장점일 것이다. 작가 자신도 자신이 글을 쓰는 이유는 ‘여론 형성’이라고 말한다.  


 저는 김훈과 다릅니다. 물론 저도 글로 제 자신을 표현하지요. 하지만 나를 표현하는 것 그 자체가 목적은 아닙니다. 제 글쓰기의 목적은 언제나 ‘여론 형성’이었습니다. 내 생각과 감정을 남들이 이해하고 공감해 주기를, 그래서 사람들과 함께 무엇인가 옳은 일을 하게 되기를 바라면서 글을 썼다는 뜻입니다. p13


  글쓰는 목적을 명확히 아는 것은 표현의 기술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다. 목적에 따라 글에 대한 세밀한 표현이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글을 쓰는 방법상의 차이일 뿐, 우선적으로 글쓰기라는 것이 나의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기에 생각을 가지는 것, 생각을 명확히 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렇게 해야지만 하고싶은 말대로 정확하게 글로 표현이 될 것이다. 무엇이 중요하겠는가. 작가의 말대로 “글을 쓸 때는 오로지, 하고 싶은 말을 정확하게 실감나게 문자로 표현하는 것만이 중요한 게 아닐까요? 무엇에 관한 어떤 내용을 무슨 목적으로 쓰든, 모두 다!”


  김어준은 자신이 본 사람들 중에서 말을 할 때 처음과 끝의 말의 논리 정연한 사람으로 유시민을 꼽았다. 처음 시작하는 말에서 마지막 마침표를 찍을 때까지 주어, 서술어, 연결어미 등의 표현이 딱 맞아 떨어진다는 것이다. 말보다 글이 수정 기회가 많다는 점을 생각하면 말로도 명확히 표현하는 능력을 지닌 작가의 글이 명쾌하게 전달되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한없이 논리적인 추론을 잘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작가 자신은 ‘도덕적 직관’에 크게 의지한다고 한다. 우선은 느끼고 그 다음에 이유를 찾는다고. 공감이 되는 부분이다. 때론 이유없이 무언가에 대한 감정이 드러나고 후에야 왜 그런지를 반성하며 생각하는 일들은 비일비재할 것이다.

  도덕적 직관에 의하든 논리적 추론에 의하든 단지 인식의 틀에 갇히지만 않는다면 표현의 내용이나 구조는 달라질 것이다. 정해놓고 생각을 하게 되면 생각은 자유롭게 나아가지 않는다. 많은 것을 아는 것 또한 표현을 확장시키는 데 중요하다. 내가 보고 아는 것이 제한적이면 글 또한 표현할 수 있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그러려면 더 많은 독서와 생각이 필요할 것이다. 사실 이러한 제안은 글쓰기 책에선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말이다.

   작가는 자신의 경험에 더해 악플 대처방법도 알려준다. 두려움으로 자기 검열을 하게 되면 생각이 막힐 수밖에 없다며 마음을 살펴 받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무엇보다 악플과 비판을 나누는 것이 필요한데 자신은 ‘논리적 증명이 있는가, 글에 대한 역비판이 가능한가’를 기준으로 한다고 한다. 그리고 그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말이 정말로 통하지 않는 사람에 대해서는 ‘내버려 두라’고 말한다. 그들의 생각을 애써 바꾸려 하지 말라고. 우리 뇌의 ‘폐쇄적 자기 강화 메커니즘’이 강하게 작용하는 그들에게 강요하지 말라고 한다. 그들의 의견을 존중하며 다른 견해를 말과 글로 이야기하라고 말한다.


 글은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문자 텍스트입니다. 그런데 독자는 나와 전혀 다른 사람입니다. 내가 쓴 텍스트를 나와 똑같이 해석한다는 보장이 전혀 없습니다. 내가 글에 담은 생각과 감정을 독자도 똑같이 읽어 가도록 하려면 그에 필요한 콘텍스트를 함께 담아야 합니다. 글쓴이가 독자에게 해석의 자유를 무제한 허용하는 문학 글쓰기라면 그렇게 할 필요가 없겠지만, 정보 교환과 소통, 공감을 목표로 하는 생활 글쓰기와 논리 글쓰기라면 그렇게 써야만 제대로 메시지를 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142~143


  글도 말과 마찬가지로 타인에게 내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나 혼자만의 표현에 잠기어 글을 쓰는 때가 있다. 글을 쓸 땐 내 감정과 의견을 우선하여 이것을 남이 볼 거라는 생각을 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누가 ‘읽는다’라는 생각을 당시에는 떠올리지 못하는 것, 따라서 타인과의 교감이나 공감을 전혀 생각하지 않은 채로 글쓰기를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면서 일기장이 아닌 온라인 공간에 글을 올리는 것은 왜인지...

  이 책은 유시민의 글만이 아니라 만화가 정훈의 그림도 실려 있다. 유시민이 글로 자기의 표현의 기술을 알려준다면 정훈은 만화로 자신의 표현기술을 알려 준다. 방법적인 차이는 있겠지만 중요한 부분에서 두 사람은 일치하여 말한다. 정훈 역시도 이렇게 말하고 있다.

    

 한 장의 그림으로 사람을 웃게 하든, 한 줄의 글로 사람을 울게 하든, 한마디 말로 감동을 주든, 그냥 무심코 한 행동이든 간에 가장 좋은 표현의 기술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 입니다. p360


  결국 ‘표현’은 내 감정과 생각을 타인에게 알아달라는 호소이다. 이러한 열망을 가지고 글쓰기며 표현을 잘하는 방법을 알기 위해 애를 쓰는 우리들. 결국 이 힘들고 어려운 헬조선 사회에서 사실은 소통하고 싶은 열망의 몸짓들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