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의 여전사

 

 

스티그 라르손, 밀레니엄: 벌집을 발로 찬 소녀

  끝이라고 생각할 때가 정말은 끝이 아닐 때가 있다.

  머리에도 어깨에도 엉덩이에도 총알이 박힌 채 온 몸에 피범벅이 된 리스베트가 과연 살아날까를 의심하지는 않았다. 그녀는 어떡하든 그 상태로 죽어버리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다. 3부의 시작은 심각한 상태의 리스베트를 병원에 옮기며 치료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문제는, 2부의 모든 ‘악’들을 찾아내고 근원을 찾아 처리한 리스베트가 여전한 ‘범죄자’ ‘살인자’로 잡혀왔다는 것이다. 이 심각한 상태의 환자가 살인자인 경우, 과연 최선의 치료를 받을 수는 있는 걸까.

 

   악의 한뼘쯤 되는 살라 역시도 머리에 도끼가 박힌 상태에서 살아나 호시탐탐 같은 병원의 리스베트를 죽이려 한다. 이들 부녀의 연은 정말 질기다는 말로는 모자라다. 또한 살라의 정체가 드러날까 두려운 악의 중심, 세포내 비밀조직 역시 살라는 제거하려 한다.

   악은 그보다 더 막강한 악에 의해 쉽게 제거된다. 그리고 악은 정의와 맞붙게 되어 있다. 그러니까 사건의 배후와 음모가 밝혀졌다고 해서 끝이 난 것은 아니다. 팽팽하게 유지되는 악의 축과 정의의 축의 싸움은 이제 법정으로 옮겨간다.

   여기서 또한 걱정이 앞선다. 법은, 법을 집행하는 기관은 과연 어느 편일까. 그 자체도 국가기관으로서 ‘공정’할 수 있을까. 대한민국 정권은 과거 국가기관이 행한 모든 잘못된 행위에 대해 사과도 법적인 책임을 지려하지 않고 그것을 덮기 위해 안달한다. 하긴 현재에도 그렇게 하고 있는데 새삼 과거의 일을 덮으려 하는 것이 뭐 놀랄 일인가. 국가기관의 조직 속의 그들은 ‘인간’, ‘인간성’ ‘양심’ ‘정의’에 대한 개념이 없다. 그들의 행동은 무엇을 위해 그토록 맹목적일까. 악의 평범성을 들이밀어 애써 이해를 해보려 한다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할 뿐이다.

 

    반면 리스베트를 돕는 사람들은 ‘정의’ ‘인간성’ ‘양심’을 위해 조직화되어 움직인다. 특히 많은 여성들이 이 법정에 등장하여 제 역할을 한다. 대표적으로 리스베트의 변호사를 맡은 미카엘의 여동생 안니카를 비롯하여 경찰 소니아와 모니카, 밀턴 시큐리티 요원 수산네 등. 그리고 역시나 이들과 함께 활약하는 리스베트의 모습은 마치 여전사들을 연상케 한다. 작가의 의도일지도 모른다. 3부에서 장이 시작될 때마다 갑자기 여전사들의 이야기를 끌어 들이고 있다. 밀레니엄 시리즈에 지속적으로 피해자로 등장하는 것은 ‘여성’이었는데 이젠 이들 피해자인 여성을 돕는데 ‘여성’ 역시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에서 모두가 연합하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역사서들은 단순한 병사였던 여전사들에 대해서는 별로 말이 없는 편이다. 무기 다루는 법을 훈련하고, 어떤 부대에 속하여 남성들과 똑같은 조건하에 적군과 맞서 전투를 벌여야 했던 그 이름없는 여성들 말이다. 하지만 이런 여성들은 분명히 존재했다. 여성의 참여 없이 이루어진 전쟁은 없었다. 1권 p8

    

 

  역사에서 ‘여왕’은 남자들만의 기록에 등장하지 않았다가 겨우 기록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여왕’이라는 점이 주요했다. 리스베트를 돕는 여성들은 전문적인 직업을 가지고 있고 뛰어난 능력을 지니며 활약하는 터에 이들을 특별한 대상으로 바라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뿐만 아니라 피해 여성들 역시도, 그저 적군과 전투를 벌여야 했던 여성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