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에게 보내는 제의


   최진영, 구의 증명


   ‘구의 증명’에 당연하게 수학적인 논리의 전개를 생각했다. 수학을 좋아하지도 않고 푸는 것은 더 더욱 좋아하지 않고, 잘 풀지 못하면서, ‘증명하라’를 떠올리다니. 그런데 구가 구임을 증명하는 문제는 어떻게 풀릴까. 왜 흥미있게 느껴지는가. 그런데...


  터무니없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 때 믿음은 아주 유용하다. 말도 안 돼, 라는 말이 튀어나오는 일에야 믿음이란 단어를 갖다 붙일 수 있다는 말이다. p10


  소설책 제목을 보면서 수학, 논리, 증명을 생각했는데 그 ‘구’가 그 ‘구’가 아니라니. 수학적 사고, 논리적 전개를 생각한 나는 저 문구가 눈에 딱 들어온다. 나처럼 생각한 사람을 위한 문구가 전혀 아니긴 하지만, 그 간극이 너무 크기에 “말도 안 돼”를 외쳐야 할 지, 무조건 “믿음”을 끌어들여야 할 지 망설이는 동안, 한가지가 확실해졌다. 어쨌든 이 터무니없는 이야기의 어조가 아리고 쓰린 탓에 일단 믿어 보자고.


불행해도 행복해도 구를 생각할 텐데, 그런 삶을 살고 싶지는 않았다. 구를 생각하면서 살기는 싫었다. 구와 같이 살고 싶었다. 우리는 결코 좋은 사이가 아니라고 구는 말했다. 멍청한 집착이라고 했다. 분명 더 큰 불행이 올 거라고 했다. 불행이 커지면 함께 있어도 외로울 것이고, 자기와 같이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괴로울 것이고, 그때가 되면 아무것도 돌이킬 수 없을 거라고. p151


  그 애들의 이름은 왜 ‘구’이고 ‘담’인가. 왜 어릴 적부터 인연으로 맺어져 돌고 돌아도 서로가 되게 만들었을까. ‘구’의 이름에선 오래라는 말이, 돌고 도는 순환의 의미가 떠오른다. 그러면 ‘담’은, 담담하다인가. ‘넓고 큰 도화지를 두 손으로 구깃구깃 구겨 아주 작은 공처럼 만들어 놓은 것 같은 구’를 ‘담’은 사랑한다. ‘구’도 담을 사랑한다. 그들은 서로 사랑한다라고 말할 수 있을까. '이건 사랑이 아니야‘라고 말하지만, 뭐든 상관없는 덤덤하게 보이는 사랑. 덤덤하지 않다는 말이 더 적절할지 모른다. 불행해도 같이 있고 싶다는 담인데, “만약 네가 먼저 죽는다면 나는 너를 먹을 거야”라고 말하는 구인데 어떻게 사랑이 아니라고, 덤덤한 사랑이라 말할 수 있겠는가. 그들의 사랑은 그들의 힘겨운 삶 가운데 “영원이 변질되지 않을 따뜻한 밥과도 같은 것”이다.


몸은 고되고 앞날은 곤죽 같아도, 마음 한구석에 영영 변질되지 않을 따뜻한 밥 한 덩이를 품은 느낌이었다. p73


  구의 말처럼, 담은 조각조각 구를 먹는다. 어둠이 깔린 길 위에서 담은 구를 붙잡고 먹는다. 풍경으로 길바닥 위의 두 연인의 모습이 비쳐진다. 사람을 먹는 사람은 식인종이고 우리는 그들을 ‘야만적’이라고 칭한다. 하지만, 인육을 위해 살인하는 식인종과는 달리 죽은 이를 먹는 식인종에게는 그것은 제의와도 같다. 그러니, 구를 죽여 먹고 있는 게 아니라 이미 죽은 구를 먹는 담의 행위는 일종의 제의라고 볼 수 있는 것일까. 구가 죽으면 따라 죽으리라 생각하면서도 자신들의 시체를 걱정하는 담이기에 마치 죽은 동물을 태우듯 형식적이고 의미없이 처리되고 말리라는 걱정을 하던 담이니까. 태우기도 묻기도 싫었던 서로이니까, 담의 이 행위는 구가 죽기 이전부터 구에게도 얘기했듯이 죽은 후의 제례의식인 것이다. 야만적이라고 말하기엔 먹먹한. 또한 경건한.

   

여기 네가 있다.

    나는 너와 있는데, 너는 나를 느끼지 못한다. 그러니 네가 여기 없거나 내가 여기 없거나 둘 중 하나 아닐까 싶다가도, 고통스럽게 나를 뜯어먹는 너를 바라보고 있자니 있고 없음이 뭐 그리 중요한가, 그런 생각이 들었다. 있든 없든 그건 어디까지나 감각의 영역일 텐데, 나는 죽은 자다. 죽어 몸을 두고 온 자에게 감각이라니 무슨 개소리인가. 하지만 느껴진다. 나는 분명 너를 느끼고 있다. p172


   소설의 시작부터 담은 구를 먹고 있었다. 그러니까 이것이 환상인지 농담인지, 이것이 가능한지 가늠할 수 없었던 시작에서 논리따위는 멀리 치우고 ‘믿음’을 이끌어냈어야 했던 거다. 지금은 믿는다. 담은 오래도록 살아남아 구의 시체를 완전히 사라지게 만들었으리라고.

  작가는 애인과 같이 잇을 때 그의 살을 손가락을 뜯어 씹어 먹는 상상을 했다고 했다. 그러니까 담이 구를 먹는 것은 이 이야기는 그 상상에서 발현된 것이다. 작가의 말을 읽지 않았더라면 좋았겠지만, 작가는 그 상상을 하며 혼자 좋아 웃곤 했다고 말하는데 담의 처절한 행위가 작가의 말을 입으면서는 그냥 그런 연인들의 애정행각으로 느껴졌기 때문이다. 연인들의 애정이 비극적이고 처절하기를 바라다니, 무슨 가학적인 심보인가 싶긴 하지만, 여튼 그랬다. 그래서 여운이라는 것이 지속된 것이겠지만.

  최진영 작가의 장편소설 <나는 왜 죽지 않았는가>도 독특한 스타일의 구성이었다. 구성과 느낌이 구의 증명과 비슷하다. 내용의 차이와 좀 더 긴 장편과 짧은 장편의 차이. 어떤 책은 스토리에 집중하게 되고 어떤 책은 스타일에 집중되기도 한다. 이 책은 스토리보다는 이야기를 하는 방식에 눈이 더 간다. 제목과 등장인물의 이름까지 더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