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빛과 그림자
꽃그림자놀이 2015년 제11회 세계문학상 우수상 수상작
박소연 저, 나무옆의자. 2015.
어떤 종류의 소설을 읽는지는 개인의 취향이니까 진지함을 깔고 왜 읽는 거냐고 물어본들 그 대답에 특별히 반박할 이유는 없다. 또한 아무리 진지하게 물었다 해도 “재밌다”가 절반 이상의 답으로 돌아올 테니까.
하지만, 소설을 왜 읽느냐라는 물음엔 좀 진지해질 필요가 있다. 간혹 그 물음은 ‘소설을 읽지 마’라는 전제를 깔고, 그것을 결론으로 하기 위한 질문일 수도 있으니까. 지금이 어느 때인데 그런 일이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어쩌면 한번씩은 들어보기도 했을 것이다. 가만 생각해 보면 그런 소리들은 사실은 ‘책을 읽어야 된다’라고 가르치던 학교에서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기도 하다. ‘학교에서는 읽지 마’, ‘자율학습 시간엔 읽지 마’, ‘시험기간엔 읽지 마’ ‘이런 소설은 읽지 마’ ‘그거 읽을 시간 있으면 교과서나 봐’.
읽어야 한다고 말하지만 읽어야 할 책은 정해져 있고, 늘 목록화된다. 취향과는 상관없이, 취향을 찾을 여력도 없이 ‘읽어야 한다’는 책을 만나서 왜 그 책을 읽어야 하는지를 암기하고 나면, 내가 읽고 싶은 책을 찾을 수 있게 되는 건가.
과거에나 지금에나 여전히 소설을 금기하고 천시하는 분위기는 있다. 지금은 성적에, 대학 진학에 ‘방해’된다는 이유였고 과거엔 ‘위험’하다는 이유였다. 여기, 이 책은 조선 정조 시대 소설을 금지하던 때, 소설을 읽고 쓰는 사람들을 둘러싼 이야기를 미스터리와 액자 소설 형식으로 담고 있다.
소설가는 세속의 지기(知己)라지 않나? 문체가 시대를 반영하는 그림자라면, 소설은 조선이 변하고 있다는 증거일세! 난 그 변화를 소설이란 방식으로 기록하고 싶어. p13
정쟁이 심화되고 사회의 변화가 가속화되는 때, 사회의 사람들의 변화를 표현하고 싶어 하는 친구 최린의 얘기에 시골에서 스승의 조언에 따라 소설을 멀리 한 선비 조인서는 친구를 극구 말린다. 그러나 운명은 오히려 조인서로 하여금 소설을 읽고 쓰게 만든다.
조인서가 소설을 읽게 된 계기는 귀신이 나오는 집에 갇혔기 때문이다. 자발적인 갇힘이긴 하지만. 우연히도 겨울날 매화꽃에 홀린 조인서는 폐가를 방문하고 한 노인으로부터 그곳에 귀신이 없다는 걸 밝혀 달라는 제안을 받는다. 그곳에 얽힌 비밀을 밝힐 마음에 ‘유현당((幽玄堂)’이라는 폐가에서의 생활이 시작되는데 생계 때문에 소설을 써 세책점에 팔거나 중국 소설을 번역하게 된다.
그의 일과는 소설을 읽고 쓰는 일과 집 안의 비밀을 밝히는 것이다. 그을린 소설책을 발견하면서 빈집에 얽힌 이야기와 자신이 왜 빈 집에 살게 되는지를 알게 되는데 모든 것은 ‘역모 사건’과 얽혀 있었다. 그리고 이 역모사건과 유현당의 이야기를 다룬 소설 『아수라』가 세간에 나온다. 이 큰 틀의 이야기 속에 조인서가 읽는 여러 종류의 소설이 실려 있는데 그 이야기들은 우리가 알던 설화, 민담, 소설 등의 이야기를 새로 각색한 형태다. 주된 이야기와 맞물려 이런 소설 속 소설을 읽는 느낌이 이 책의 핵심이기도 하다. 작가가 『천일야화』 속 셰에라자드처럼 이 소설을 썼다고 한 것처럼, 소설 속 이야기들이 과거와 현재의 옷을 입고 글 속에 잘 녹여 들어 있다. 작가는 이것을 제목의 꽃그림자놀이로 표현한다.
소설은 일종의 그림자놀이예요. 현실이 실체를 드러낼 수 없으니, 대신 그림자로 보여주는 거지요. 실체가 없으면 그림자도 존재하지 않지만, 그림자는 실체를 그대로 반영하지 않아요. 이 손으로 토끼도 되었다 여우도 되었다 하잖아요? 이런 묘미가 나를 소설로 이끌었나 봐요. 내가 살고 있는 현실을 비추면서도, 때로는 의도하지 않았던 그림자만의 재미있는 세계가 펼쳐지니 말이에요. p207
누구에겐가 소설은 ‘도구’가 된다. 그것은 비밀을 드러내기 위한 욕망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그럴 때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재앙이 된다. 소설 속에 ‘이야기’를 담으려는 자와 이야기의 재앙을 피하려는 이가 맞붙을 때, 그것은 소설의 박해로 이어진다. 그것은 언제나 소설의 형식을 빌려 이야기를 담으려는 자는 억울하거나 소망을 가진 자이자 민중들이고, 억압하려는 이는 권력을 가진 자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소설을 읽는 폐인 중에 기생 계심과 최린의 여동생 란의 소설읽기는 남다르다. 계심은 소설 읽기를 통해 자신의 허한 마음을 달래고 자 하며 최란은 소설을 통해 사내들이 암글이라 천시하는 한글로 ‘조정에서 주도하는 문체반정과는 다르게, 수컷이 지배하는 조선의 문체를 바꿔보고 싶은 꿈’을 갖는다.
소설은 보잘것없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섬세하고 부드러운 것의 힘을 증명하려는 문장일세. p12
이 보잘것 없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들이 많을수록 탄압이 거세어진다. 탄압이 거세다는 것은 또한 소설이, 이야기가 가진 ‘힘’을 반증한다.
『아수라』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유현당의 옛 제자들이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려고 움직이고 있단 얘기를 들었어요. 유현당을 역모죄인으로 몰았던 노론은 긴장하고 있을 거예요. 오빠, 노론에는 소설 폐인이 많아요. 그들이 이 소설을 지켜보고만 있진 않겠지요. 『아수라』를 쓴 사람은, 유현당 집안과 사건의 내막을 훤히 아는 이가 틀림없어요! 노론이 손을 쓰기 전에 우리가 먼저 그를 찾아내 위험을 알려야 해요! p 174~175
소설이 가진 ‘힘’ 있다면 계속 이야기를 읽어야 하는 이유다. 문학이 죽고, 소설을 읽는 이가 시를 읽는 이가 점점 사라져간다고 해도. 어떤 이야기는 ‘금지’당한다 해도 그 금지의 이야기를 해나가야 한다.
한강 작가의 맨부커상 수상 이후 소설 독자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기사를 봤다. 어쩌면 특정 작가에 한정된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오랜 세월의 박해를 견뎌온 소설이 다시금 그 명맥을 이거나가고 사람들마다마다 가진 꿈들이 소설 속에서 펼쳐질 수 있기를. 소설을 통해서 펼쳐질 수 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