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헛함

 

홀, 편혜영

 

 

 글을 읽어가면서 계속 ‘이걸 읽었는데, 어디서 봤더라?’ 묻고 있었다. 분명 이 내용을 알고 있기에 같은 책을 또 읽었나 하며, 나의 기억력을 탓했다. 역시 책은 읽은 후 바로 기록을 남겨야 한다라는 생각을 했다. 오래 전 기억에 사라져 버린 책들을 다시 읽지 않는 한 “읽었다”와 “읽었던 것 같은데”로 남을지 모른다. 물론 읽은 기억이 있는 책이라 해도 “재밌다”로만 기억될 것이고. 그래서 기록의 이유는 기억과 편리일 것이다. 안타깝지만 게으름이 기억력마저도 게으르게 만들었다.

  다행히 나의 기억력은 완전히 죽은 건 아니었다. 이 장편소설은 작가의 단편 <식물 애호>를 전개시킨 것이었다. 2015년 현대문학상 <소년이로>수상집에 수상작가 자선작으로 실려 있던 것이었다. 불과 1년 새 기억이 가물하다는 사실을 확인하다니......후반부로 갈수록 이 책을 읽었다고 생각한 익숙함은 그 때문이었다.

  작가 자신도 자선작으로 이 단편을 꼽았고 다시 단편에서 확장시켜 장편으로 전개시킨 만큼 이 단편에 애착을 느끼는 모양이다. 하긴, 오기 씨에게 연민이 느껴진다. 작가는 등장인물의 심리를 더욱 더 세심하게 그리며 내용을 전개시켰다.

  편혜영 작가의 소설에서 느껴지는 분위기는 <아오이가든>에서 느꼈던 것처럼 전반적으로 공포를 동반한다. 피터지는 끔찍스러움이 아니라 몸을 오싹하게 만드는 괴기스러움, 기이함. 극도의 불안을 동반하는 심리적인 긴장감이 느껴졌다. ‘홀’이라는 제목만을 보고선 요즘 증가하는 싱크홀을 연상했다가 표지의 ‘집’그림 때문에 집안에서, 가정에서 느끼는 삶의 구멍, 인생의 헛함을 생각했다.

 

기억이 선명해지고 정황이 분명해질수록 오기는 슬퍼지고 서글퍼져서 비통할 것이다. 차라리 어떤 것도 떠오르지 않기를 바랄 것이다. 기억이 떠오를수록 아내를 잃었다는 것을, 다시는 아내를 볼 수 없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 테니까. p34

 

  사고로 아내를 잃고 반신불수로 누워 있는 사내. 오기 씨. 오기 씨의 시선으로 그에게 안타까움을 보낸다. 더구나 운전자가 자신이었으니 스스로에 대한 자책은 얼마나 더할 것인가. ‘그래도 의지를 가지고 살아야지요, 오기 씨’라고 응원하는 마음을 계속 갖게 될까. 삶의 의지를 다질까 말까를 고민하는 오기 씨의 사고 이전의 기억들은 그에 대한 응원을 지속하는 것을 계속할까를 고민하게 하지 않는다. 그냥, 오기 씨는 어떻게 될까가 관건이 된다.

  사고 이전의 그의 아내와의 관계, 오기 씨의 행동은 둘만 아닌 듯 아닌 듯 오기 씨의 기억에 저장되어 있지만, 그 파장은 사고 이후의 그의 삶을 지배한다.

 

간혹 자신의 성공만으로 성에 차지 않을 때가 있었다. 가까운 누군가의 실패가 더 안도감을 주기도 했다. p184

 

  우리는 오기 씨의 성공을 바랄까, 실패를 바랄까. 사고 이후 몸을 회복하고 다시 일상의 생활을 이어가기를 바라는 응원의 마음이 갈림길에 놓여 있는데, 오기 씨가 인생을 살면서 가졌던 저 마음이 내 마음에도 스르륵 자리잡는다. 나에게도 저런 순간이 있었던 건가?

 

어떻게 삶은 한순간에 뒤바뀔까. 완전히 무너지고 사라져서 아무것도 아닌 게 되어버릴까. 그럴 작정으로 하고 있던 인생을 오기는 남몰래 돕고 있었던 걸까. p28

 

  삶이 한순간에 바뀌는 것이 아니라 한순간 뒤바뀔 순간을 위해 여러 층의 행동들을 쌓는 것 같다. 그러니까 무너질 탑을 쌓아 가는 순간순간의 행동들이라고 해야겠지. 아내의 행동들, 장모의 행동들에 불안감을 느끼는 오기 씨 역시도, 지난 순간순간의 자신의 행적들 때문에 그토록 두려워하고 있는 것이었다. 누군가에게 눈에 띄지 않는 듯하지만 내 행동은 세밀하게 기록되어 남는 것 같다. 그러다 어느 순간 그 기록의 페이지가 세상에 펼쳐지는 것. 살아가면서 내가 느끼는 삶의 헛함은 무엇일까. 그 헛함으로 만들어 버린 구멍은 무엇일까. 사람을 더욱 공포스럽게, 불안하게 만드는 것은 뜻하지 못한 불행한 사고가 아니라 하나하나 만들어 낸 떳떳하지 못한 삶의 행동들 아닐까. 아니, 그 행동들이 드러나는 것. 잊어먹고 있었던 것을 기억하는 순간, 아무도 모르리라 여겼던 것을 타인에 의해 까발려지는 순간.

 

죄와 잘 어울린다는 것만큼 사십대를 제대로 정의 내리는 것은 없었다. 사십대야말로 죄를 지을 조건을 갖추는 시기였다. 그 조건이란 두 가지였다. 너무 많이 가졌거나 가진 게 아예 없거나. 즉 사십대는 권력이나 박탈감, 분노 때문에 쉽게 죄를 지었다. 권력을 가진 자는 오만해서 손쉽게 악행을 저지른다. 분노나 박탈감은 곧잘 자존감을 건드리고 비굴함을 느끼게 하고 참을성을 빼앗고 자신의 행동을 쉽게 정의감으로 포장하게 만든다. 힘을 악용하는 경우라면 속물일 테고 분노 때문이라면 잉여일 것이다. 그러므로 사십대는 이전까지의 삶의 결과를 보여주는 시기였다. 또한 이후의 삶을 가늠할 수 있는 시기이기도 했다. 영영 속물로 살지, 잉여로 남을지. p78

 

  어쩌면 오기 씨의 고발자가 되었을 아내는, 교통사고로 사망하고 그 역할을 맡은 것은 오기 씨의 장모다. 오기 씨의 장모는 특유의 분위기로 오기 씨를 옥죈다. 그 장모의 손에서 벗어나려고 발버둥치는 오기 씨의 공포는, 자신의 지난 날의 잘못에 대한 기억이 선명할수록 더욱 더 커진다. 그래서 오기 씨는 아름다운 나의 집, 정원이 있는 자신의 집에서 꼼짝할 수 없는 몸과 심리에 놓인 자신을 탈출하기 위해 애를 쓴다.

 

어떤 가정도 낙관적이지 않았다. 이 순간을 무사히 넘기더라도 얼마 후 비슷한 일이 끝없이 반복될 것 같았다.

오기는 무력해졌고 내부의 공동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 것을 느꼈다. 그 구멍 속으로 자신이 아예 빠져버릴 것 같았다. p184~185

 

  오기의 불안을, 공포를 잠재워 줄 수 있는 것은 작가다. 그러나 또한, 독자의 몫이기도 하다. 구멍 속으로 ‘빠져버릴 것 같은’ 오기를 구멍으로 밀어버릴지 말지를. 오기 씨에게 다시 기회를 오기 씨에게 연민을. 아니면 내 성공과는 상관없이 누군가의 실패에 느낄 안도감을 위해 오기 씨를 더 깊은 구덩이로 쓰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