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화해를 권하는 당신에게


백설공주는 왜 자꾸 문을 열어 줄까 동화로 만나는 사회학, 박현희, 뜨인돌,


    백설공주가 자꾸 문을 열어 주는 것은 외로워서라고 그래서 낯선 이들에게서 접촉 위안을 얻는 것이라고 심리학에서는 말한다. 사회학에서도 같은 맥락으로 이야기한다. 난쟁이들이 백설공주에게 얼마나 잘해 주었나와는 관계가 없이 친구 없이, 친밀한 경험을 공유한 사람과의 교류 없이 지내는 백설공주의 일상. 지독한 정신적 허기가 백설 공주로 하여금 위험을 잊게 하고 문을 벌컥 열어 제키게 했으리라고.

  이 책에서 저자는 관용, 일탈, 지혜의 3장으로 나누어 16개의 동화를 선택해 인간을 둘러싼 관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1장 관용에서는 어른들의 가르침대로 살지 않거나 가르침대로 살았어도 곤경에 빠진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2장 일탈에서는 규범을 벗어던진 토끼와 거북이, 빨간 모자, 황금알을 낳는 거위, 분홍신에 대한 이야기를, 3장 지혜에서는 관계맺음에 서투른 이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들의 이야기를 사회적 동물로서 인간의 관계맺음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양상들, 욕망과 결핍과 연대와 우정 등에 관해 이 책에서는 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여우와 두루미 이야기를 한번 보자. 우리가 그동안 여우와 두루미에서 당연히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별표치고 반성하고 익혀야 했던 것을 뒤트는 이야기를 한다. 한 식탁에서 밥을 먹지만 각자 먹기 불편한 접시로 인해 제대로 먹지 못하는 여우와 두루미 이야기에서 작가는 화해에 대해 말한다. 그러나 화해를 해야 한다가 아니다. 오히려 “어떤 경우, 화해는 나쁘다”라고 한다.


사이끼리 강요된 화해는 나쁘다. 화해를 무조건 좋게만 보는 것은 잘못이다. 사이좋을 이유가 없는 사이끼리 사이좋으라고 하는 것은 살짝 변장한 폭력이다.

여우와 두루미가 꼭 사이좋게 지내야 하는가? 여우와 두루미가 왜 같은 밥상에 둘러앉아 밥을 먹어야 하는가? 그렇게 상대방이 먹을 밥그릇 모양새까지 머리 아프게 따져 보지 않아도 기쁘고 편안한 마음으로 함께 밥을 먹을 수 있는 친구도 얼마든지 있을 터인데, 꼭 여우와 두루미가 친구가 되어야 할까? p19

 

  그래, 여우와 두루미는 꼭 화해하고 친구가 되어야 하나? 그들이 서로 사과하면 화해가 될까. 마음의 상처가 다 아물어질까. 섣부른 화해가 가져오는 부작용에 대해선 아무도 생각하고 있지 않다. 작가는 그래서 이렇게 부르짖는다.


우리는 싫어할 이유가 충분한 누군가를 싫어할 권리가 있다. 용서하고 싶지 않은 누군가를 용서하지 않을 권리가 있다. 화해는 무조건 좋은 것이라는 우리의 관념이 때로 누군가의 가슴에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기고 계속해서 문제를 유발시킨다. 모두와 사이좋게 지내겠다는 것은 얼마나 무모한 욕망인가. 또 모두와 사이좋게 지내라는 것은 얼마나 무리한 요구인가. p22


  서로 ‘화해하고 친하게 지내’라며 오랫동안 강요받았던 우리에게 얼마나 낯설게 마음을 드러내는 말인가. 이 세상 마음이 맞는 친구들과 더 좋은 이야기를 나누기에도 모자라다. 애당초 싸움이란 것이 없는 것이 좋은 것이긴 하지만.

  아기 돼지 삼형제의 집짓기 현장으로 가보자. 작가는 이 이야기를 지어낸 사람들은 벽돌집을 짓는 사람일 것이라 말한다. 왜 그렇게 생각을 할까. 그런 벽돌집을 짓고 사는 이들은 서유럽 사람들이고 그들 눈에 나무나 짚으로 집을 짓는 것은 게으름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따위 엉성한 집을 짓는 아시아나 아프리카, 남태평양 등지에 사는 사람들은 게으르다는 결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제 이들의 가난 혹은 ‘비문명’은 게으름 탓이 된다. 게으름이 외부의 침입을 부른다. 이들은 외부의 적에 대응할 능력이 없다. 게으른 첫째 돼지와 둘째 돼지가 부지런한 셋째 돼지의 집으로 피신하여 목숨을 구했듯, 아시아나 아프리카 사람들은 유럽인의 집으로 피신해야 한다. 그런데 아시아, 아프리카 사람들이 유럽인의 집으로 모두 들어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니까 유럽 사람들이 아시아, 아프리카로 가서 유럽인의 집을 지었다. 그 이후 이어진 식민지 지배의 살벌한 역사에 대해서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다. p58


  빨간 모자에게 큰 길로 가라고 하는 것은 사회가 부여한 질서에 맞게 살라는 이야기이다. 그 질서를 깨지 말라는 것이다. 분홍신에 대한 금지 역시 같은 맥락이다. 자본주의 사회가 부당한 규제에도 묵묵히 따르는 순종적인 인간상을 학교에 바란다면 학교는 복장 규제로 답을 주고 있는 것이다. 부당한 규제에 참고 견디도록 길들여진 아이는 자라서도 부당한 것이 묵묵히 일하는 노동자가 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익히 들어왔던 ‘교훈’ 은 결국 사회적인 억압에 관한 다른 전달이다. 이 책은 좋은 이야기로 감춰놓은 드러내지 않은 한뼘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변화하는 사회에서 우리가 동화 속에서 환상을 품지 않게 되는 탓도 있지만 동화의 환상을 깨버리는 어이없는 교훈의 덧씌우기가 즐겁게 읽는 동화의 여운을 가시게 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또다른 시각으로 우리 사회를 짚어 보는 것, 동화를 짚어 보는 맛이 있다.

  작가는 ‘왜’라고 묻는 것을 세상이 불편해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왜’라고 묻지 않으면 우리는 지배자의 논리에 따른 삶을 살게 되리라 말한다. ‘왜’라는 한마디는 어른들로부터 쉽게 낙인찍히고 소외당한기 쉽다. 하지만 이들의 ‘왜’가 세상을 보다 밝게 이끄는 힘이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왜’라는 물음이 가진 힘을 함께 알고 나누는 것이 이 책을 쓴 목적임을 작가는 분명히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