것, 것, 것


 망가뜨린 것 모른 척한 것 바꿔야 할 것 - 한국 사회의 변화를 갈망하는 당신에게

 강인규 저, 오마이북, 2012.

 

  이 책이 기분 나쁜 건, 하나다. ‘너 때문에’라며 탓을 돌리다 문득, ‘내가?’라는 사실을 생각하게 되기 때문이다. ‘너’가 90이상이고 난 0.00001%만 하련다. 그게 솔직히 맞다고 본다. 그런데 기분 나쁘게 0.00001%에 발목 잡혀 버린다. 나의 %가 결정적인 한방일 수 있음을 넘치지 않고 잘 버티는 컵에 내가 떨어뜨린 한방울에서 물이 넘쳐흐르는 상황을 목격한 기분이랄까.

 

“한두 사람이 세상을 바꿀 수는 없다”고 말하는 이들이 있다. 거짓말이다. 사실은 “한두 사람이 세상을 바꿀 수는 없다”는 생각이 세상을 바꿀 수 없게 만든다. 사회는 개인의 집합체이기에 한두 명의 개인이 바뀌면 그 사회는 그 몫만큼 바뀌게 된다. 나 혼자만 바뀌어도 세상은 한 사람만큼 바뀌는 것이다. 게다가 사람은 관계망 속에서 살고 있기에 나의 변화는 항상 주변의 변화를 몰고 온다. p5~6


 지금, 우리는 망가진 사회에 살고 있다. 지금이라니, 주욱 지금이었다. 지금은 늘 현재진행형이었다. 망가진 사회에 여러 가지가 포함되어 있다. 정치, 경제, 교육, 복지, 모든 것들이 개판이다. 망가진 것은 내 책임이 아니었으니 복구의 책임도 내 몫이 아니라고 하면서 열심히 지켜봤다. 사실, 망가진 것들을 탓하는 것 말고 할 게 뭐 있었겠나 싶다. 아니 그거라도 해야지.

  수많은 지표들이 최하위로 곤두박질치고 그나마 유일하게 총기사고는 거의 없는 나라에서 사는 것은 다른 나라로부터 ‘치안이 안전한’나라로 부각되고 있다. 당장 총기자유가 되면 이것도 사라지겠지만, 체감하는 입장에선 치안이 안전한지 잘 모르겠다. 그것만이 자주 없을 뿐이라는 걸 아니까. 망가진 것들을 하나 하나 열거하고 있는데 하나씩 정리되어 보니 이토록 많았었나 싶은 것이 망가지지 않은 것을 꼽는 것이 더 쉬울 텐데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포털 메인화면 뒤로 재빨리 숨어버린 당장의 전기, 가스 민영화 소식이나 ‘혐오’와 ‘분노’를 기반한 사건들, 기하급수적으로 벌어지는 안전사고들도 ‘망가짐’을 더하는 요소가 되겠지.

  망가짐의 이유는 결국 망가진 ‘의식’이 결정적인 건가. 망가뜨리는 주체와 더불어 망가짐을 방치하고 망가짐에 익숙한 사고들은 권력과 자본에 종속되어 진행된다. 약자가 되는 것은 권리는 사라지고 권력이 힘을 펼치기 때문이라는 걸 안다. 하지만 뭐, 권리를 챙기며 산다는 것이 쉽지 않게 되어버린 것을 어쩌라고. 닭이 먼저인지 달걀이 먼저인지를 따지는 것만큼이나 물고 물린 이 약자의 삶과 권력의 세상.

  우리가 망가진 공동체 속에서 살아가는 것은 패배주의에 물든 공명심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인간에 대한 예의가 상실된 것도 있지만 인터넷 상에서 비난이 속출하고 조롱이 난무하는 것은 공명심마저도 망가져 있기 때문이라고.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일까? 패배의식 때문이다. 공명심은 느끼고 싶지만 정말 중요한 사회문제를 바로잡을 용기가 없을 때 하는 짓이 ‘만만한 상대 물고 늘어지기’다. 이는 한국 주류 언론의 고질적 병폐이기도 하다. p87~88


 이러한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저자는 외친다.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를. 많이 들어온 소리지만 투표해야 한다고. 지금 당장은 총선도 끝난 마당이라......마냥 투표를 끝내 놓은 시점에서도 ‘가시적’인 것이 아직은 보이지 않아 답답하긴 하다. 당장 내년이 대선인데 ‘투표’가 답이 될 수 있는 사회적인 여건과 상황이 만들어진다면 얼마나 좋을까.  어쨌든 저자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는 말에 속지 말라고 강조한다.

  안타깝게 한국사회의 문제를 진단하는 모든 사회학 서적들은 ‘투표’를 강조한다. 나 또한 모든 것들에 결국 답은 투표이고 의식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너무 자주 듣고 자주 말하다보니 어느 순간 이것에 대한 정당성이나 진실성이 조금씩 빠져나가는 느낌마저 들 때가 있다. 이것은 실체 없는 구호에 지나지 않는 걸까, 아닐까.

  수많은 사람들이 변화를 갈망한다. 하지만 이렇게 망가진 사회에서의 ‘변화’에 대한 갈망은 일단은 나 자신의 삶의 변화가 우선될 것이다. 당장 내가 취업하는 것이 우선이고, 내가 명퇴당하지 않는 것이 우선이고, 내가 무얼 더 가지거나 내가 현재 가진 것을 빼앗기지 않는 것을. 눈 앞이 아득한 상황에서 내 안정을 먼저 취하지 않은 상황에서 더 먼 곳을 바라볼 수 있을까. 내 눈 앞의 안전을 확보해야 그 다음의 안전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 본능인걸.

  그래도 저자는 인간은 본래 이기적이라는 말은 거짓말이니 내 삶이 절박할 때에 다른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라고 말한다. 내 삶을 다른 이가 보아주길 원한다면 말이다. 이렇듯 역지사지의 심정을 가지고 한국 사회의 변화를 이루어가자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한국사회, 희망이 있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